$\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소재복합물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활성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 감소
Natural herbal extract complex induces the degrad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reduces the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381 - 392  

황지홍 ((주)네추럴에프앤피 중앙연구소) ,  김미연 ((주)네추럴에프앤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연소재 12종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라디칼 소거능, 알코올탈수소효소(ADH),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하고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배합한 복합물의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수한 개별 소재를 선정하고 배합비를 달리하여 효능 평가를 통해, 배합비가 효능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8종의 추출물 중 보이차, 소나무, 갈근 순으로 ADH 활성이 높았고, 갈근은 배합량과 효능 간의 양의 상관관계, 보이차, 소나무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소재로 배합한 F1~F7 을 대상으로 ADH, ALDH 활성평가를 통해 F.7에서 상승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여 최적 배합비로 도출하였다. F.7를 섭취한 시험군에서 알코올 섭취 30분 후부터 호기 알코올 농도가 섭취 직후 호기중 알코올 농도 대비 58%로 유의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120분 후 27%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었다.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증상 설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음주 후 발생하는 피곤함과 갈증에서 유의적인 개선효과 (p<0.05)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urposed to check up the natural 12 kinds of herbal extracts suitable for hangover and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Selected 8 kinds of herbal extracts are b...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산화되어 분해되고, 나머지 20% 정도의 알코올은 마이크로좀 산화계에 의해 처리된다[27]. 본 실험에서는 12 가지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효소의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숙취 및 간 보호, 항염증 효과가 알려져 있는 소재들의 개별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효과를 평가하고, 알코올로부터 발생되는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도 및 알코올분해가 높은 소재를 복합하여 배합비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소재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폴리페놀, 항산화, 숙취개선 효능 간의 상관 관계 평가를 통해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여 숙취해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이 체내에 유입되었을 경우의 경로는? 일반적으로 알코올은 위장에서 소량 분해되며, 위장을 거쳐 소장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혈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간은 알코올 분해에 가장 중요한 장기로, 섭취한 알코올의 90% 이상이 간에서 분해가 되며, 섭취한 알코올의 2~5%는 분해되지 않고 소변, 땀, 호흡을 통해 배설이 된다[1]
알코올 분해에 가장 중요한 장기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알코올은 위장에서 소량 분해되며, 위장을 거쳐 소장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혈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은 알코올 분해에 가장 중요한 장기로, 섭취한 알코올의 90% 이상이 간에서 분해가 되며, 섭취한 알코올의 2~5%는 분해되지 않고 소변, 땀, 호흡을 통해 배설이 된다[1]
흡수된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는데, 이 때 활용되는 효소는 무엇인가? 흡수된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는데 주로 2가지 경로를 통해서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된다. 알코올은 주로 ADH(Alcohol dehydrogenase, 알코올 탈수소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지만, 과음으로 체내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면 MEOS(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마이크로솜 에탄올 산화 체계가 활성화되어 알코올을 처리한다. 알코올 과량 섭취로 인해 야기되는 숙취현상으로는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 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등이 있으며, 지속적인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전체 간질환의 약 15%를 차지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 I. Cederbaum, "Alcohol metabolism," Clinical Liver Diseas, Vol.16, No.4, pp.667-685, 2012. doi:10.1016/j .cld. 2012.08.002 

  2. J. G. Wiese, M. G. Shlipakand, W. S. Browner, "The alcohol hangover,"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32, No.11, pp.897-902, 2000. 

  3. N. T. Orfanidis, "Alcoholic Liver Disease," Merck manual consumer version,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ospital, 2019. 

  4. S. C. Kim, "Truth of hangover helper," Korea Phramceutical Information Center, 2017. 

  5. J. K. Kim, "Scale of anti-hangover drink market," http:// www.ezyeconomy.com/ news/ articleView.html?idxno95492 

  6. Market Analysis Report, Hangover Rehydration Supplements Market Size, Share & Trends Analysis Report By Product (Solutions, Tablets/Capsules), By Distribution Channel (Offline, Online), By Region, And Segment Forecasts, 2019-2025, 2019. 

  7. M. H. Jong and C. P. Jong, "Effects of the Aerial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and Its Bioactive Component on Hepatic Alcohol-Metabolizing Enzyme System,"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 9, No. 3, pp. 336-341, 2006. 

  8. S. W. An, Y .G. Kim, M. H. Kim, B. I. Lee, S. H. Lee, H. I. Kwonm and H. Y. Lee,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 7, No. 4, pp. 263-268, 1999. 

  9. T. J. Yoon and S. Y. Jo,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on Alcohol Degradation andAnti-Inflammatory Activity in Mice,"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 23. No. 4, pp. 542-548, 2010. 

  10. I. Song, I. S. Choi, H. K. Yoon and S. J. Koo,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 21, No. 4, pp. 591-598, 2005. 

  11. D. Y. Lee, M. Kim, D. Yoon, Y. Lee, G. Kim and Y. C. Yoo, "Ginseng Berry Prevents Alcohol-Induced Liver Damage by Improving the Anti-Inflammatory System Damage in Mice and Quality Control of Active CompoundsInt,"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 20, pp. 3522, 2019. 

  12. S. T. Kim, H. B. Kim, K. H. Lee, Y. R. Choi, H. J. Kim, I. S. Shin and S. S. Joo, "Steam-dried ginseng berry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ontrols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nd body weight in type 2 obese diabetic db/db mi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60, No. 21, pp. 5438-5445, 2012. 

  13. K. H. Cho, H. J. Choo, M. G. Seo, J. C. Kim, Y. J. Shin, G. H. Ryu and Y. S. Hah,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s from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on Liver Cell Toxicity and Ethanol Metabolism,"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 21, No. 2, pp. 158-166, 2017. 

  14. W. M. Keung and B. L. Vallee, "Daidzin and its antidipsotropic analogs inhibit serotonin and dopamine metabolism in isolated mitochondr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PNAS), Vol. 95, pp. 2198-2203, 1998. 

  15. B. S. Ko, J. S. Jang, S. M. Hong, D. W. Kim, S. R. Sung, H. R. Park and S. Park,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5, No. 7, pp. 828-834, 2006. 

  16. C. S. Na, N. C. Chung, K. H. Yang, S. H. Kim, H. S. Chung and M.S Dong, "Hepatoprotective and Blood Alcohol Lowering Effects of fruit peduncle extract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in the In Vitro and In Vivo Animal Models," Yakhak Hoeji, Vol. 48, No.1, pp. 34-40, 2004. 

  17. J. Wiese, S. McPherson, M. C. Odden and M. G. Shlipak, "Effect of Opuntia ficus indica on Symptoms of the Alcohol Hangover,"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 164, No. 12, pp. 1334, 2004. 

  18. K. I. Ahn, E. O. Choi, D. H. Kwon, B. H. Hwang M. Y. Kim, H. J. Kim and Y. H. Choi,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in human bladder cancer T24 cells through ROS-mediated in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Bioscience Trends, Vol. 11, pp. 565-573, 2017. 

  19. H. Y. Ahn, D. J. Choe, B. K. Kim, J. H. Lee and Y. S. Cho,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5. No. 9. pp. 1014-1020, 2015. 

  20. M. F. Mason and K. M. Dubowski, "Alcohol, traffic, and chemical testing in the United states : Aresume and soruere maining problems," Clinical Chemistry, Vol. 20, pp.126-140,1974. 

  21. O. Folin and W. Dennis,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12. pp. 239-243, 1912. 

  22.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 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Medicine, Vol. 26, pp. 1231-1237, 1999. 

  23. S. M. Shin, S. Y. Park and T. Y. Kim, "Effects of SM-2015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angover,"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ol. 38, No.1, pp.20-31, 2017. 

  24. N. H. Park, J. O. Lee and I. H. Cho, "Effects of mixed supplementation on Hovenia dulcis Thunb extracts and Ginseng-Berry extracts on hangover curv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on Culture Technology, Vol.5, No.3, pp. 359-367, 2019. 

  25. J. N. Park, A. Ali-Nehari, H. C. Woo and B. S. Chun, "Thermal stabilities of polyphenols and fatty acid in Laminaria japonica hydrolysates produced using subcritical water,"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29, pp. 1604-1609, 2012. 

  26. S. O. Lee, H. J. Lee, M. H. Yu, H. G. Im and I. S. Le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pp. 233-240, 2005. 

  27. C. S. Liber,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ethanol,"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15, pp. 573-592, 1991. 

  28. C. H. Jeong, S. T. Kang, O. S. Joo, S. C. Lee, Y. H. Shin, K. H. Shim and H. J. Heo,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 cholin 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ol. 16, No. 2, pp. 230-237, 2009. 

  29. S. K. Kim, D. L. Ok, E. Park and S. C. Le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Domestic Blue Mussel and New Zealand Green Lipped Mussel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3, No. 9, pp. 1363-1368, 2014. 

  30. C. A. Rice-Evans, N. J. Miller and G. Paganga,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ence, Vol. 2, pp. 152-159, 1997. 

  31. R. D. Hawkins and H. Kalant, "The metabolism of ethanol and its metabolic effects." Pharmacological Reviews, Vol. 24, pp. 67-157, 1972. 

  32. S. Zakhari, "Overview: how is alcohol metabolized by the body?," Alcohol research & health Vol. 29, pp. 245-254, 2006. 

  33. J. Do, J. Gwak, S. Lee, J. J. Rho, K. Lee and D. C. Kim,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Ethan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Vol. 21, No. 3. pp. 286-291, 2017. 

  34. S. M. Kim, S. H. Kang, J. Y. Ma and J. H. Kim,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efficacy of bioactive compound from Hovenia dulcis,"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ol. 21, No. 1, pp. 11-15, 2006. 

  35. W. H. Lee, J. Y. Jung, S. Y. Ha and J. K. Yang,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on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Vol. 51, No. 3, pp. 11-189, 2016. 

  36. D. L. Ok, S. K. Kim and S. C. Lee,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Blue Mussel and Several Plants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 30, No. 5, pp. 613-619,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