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덕진요 백자 구연부 금속 테두리의 제작기법 및 접착방법 재현
Revival Manufacturing Technique and Bonding Method for Jingdezhen Whit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3, 2009년, pp.273 - 282  

양필승 (서울역사박물관 보존처리과) ,  서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초록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신안 해저 출토 유물인 경덕진 백자 중 '청백자인각화훼문은구완' 4점과 '백자은구대접' 1점의 금속 테두리 장식에 대한 연구 논문을 조사한 결과, 테두리의 재질은 은이 아닌 주석이었고 접착제로는 옻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서는 도자기 구연에 부착된 금속 테두리의 제작기법과 접착방법에 대한 재현실험을 실시하였다. 테두리 재현방법으로는 주석 판의 다양한 재단방식 중 재료의 손실을 줄이거나 작업성이 가장 좋은 방법은 직선재단방식이었으며, 옻을 사용한 금속테두리 부착방법 실험에서는 순수한 옻 성분만을 사용하기보다는 토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 보다 더 작업성이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건조방법 실험에서는 전통 칠기 보존처리에서 사용하는 상온에서 가습하여 건조하는 방법보다는 비교적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건조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concerning the metal bound rim decoration on four pieces of 'Bowl, white porcelain with impressed floral design and sliver bound rim' and one piece of 'Bowl, white porcelain with sliver bound rim' from among the Jingdezhen white porcelain, which are Sin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헌과 도록, 발표된 연구논문 등을 조사하여 도자기 구연부에 장식된 금속 테두리의 재질과 접착제의 성분 분석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금속 테두리의 제작기법과 접착방법을 재현실험 하였다. 금속 테두리 제작 실험에서는 주석 판의 다양한 재단방식을 통해 재료의 손실을 줄이거나 작업성이 가장 좋은 방법을 도출하였다.
  • 이번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인 신안 해저 인양도자기의 재질 성분 및 제작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국 경덕진에서 도자기를 제작하던 장인들은 이 금속 테두리를 어떠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접착하였는지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번 실험을 통하여 금속 테두리의 제작 기법 중 당시 주석 판을 어떤 방법으로 재단하여야만 재료의 손실을 줄이거나 작업성이 뛰어난지를 유추해볼 수 있었으며, 도자기 구연부에 어떠한 접착재료와 건조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그러나 도자기와 같이 습도에 민감하지 않은 재질은 가습이라는 환경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작업의 신속성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이러한 방법은 도자기 금속 테두리 접합 작업에서는 다소 건조 속도가 느린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옻의 건조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습이 아닌 고온조건에서의 금속테두리 부착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중국 경덕진에서 제작된 망구완 백자에서 장식으로 사용된 금속 테두리는 분석 결과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석재질의 판(Sn, O, Pb, S)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6,7. 따라서 이번 제작 실험에서는 당시 중국 장인들이 사용했을 다양한 재단방법의 재현 실험을 통해 작업 편리성과 재료 효율성을 찾고자 하였다.
  • 금속 테두리 제작 실험에서는 주석 판의 다양한 재단방식을 통해 재료의 손실을 줄이거나 작업성이 가장 좋은 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옻을 사용한 접착 실험에서는 순수한 옻 성분만을 사용한 것과 토분을 함께 혼합한 시료에 대하여 가습과 가온과의 연관관계를 비교분석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건조방법을 규명함으로써 재질파악의 오류로 생긴 중국 경덕진 도자기의 명칭 변경과 제작기법, 그리고 접착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 무역자기의 대표적인 생산지는 무엇이며,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중국의 도자기 문화는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에서 유럽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주었으며 세계의 도자사를 주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고대 무역자기의 대표적인 생산지로 잘 알려진 경덕진 가마터는 중국의 장시성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미 송나라 시절부터 명성을 얻기 시작하여 원나라부터 청나라까지 전성기를 누리던 도자기 생산지였다1(Figure 1). 이와 같은 경덕진요를 포함한 중국 도자기는 그것을 만들던 시대의 경제와 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다.
토기나 도자기 보존처리에 있어 원재료와 다른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처리방법도 제작기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복원하고 있는 이유는? 그러나 토기나 도자기 보존처리에 있어서는 원재료와 다른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처리방법도 제작기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복원하고 있다. 이는 도자기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굽는 과정 중에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토기나 도자기를 제작할 때 사용된 태토나 유약으로 수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자기 구연에 부착시킨 금속테두리는 전통 기법으로 수리할 수가 있다.
매장환경이나 부식으로 인해 구연부에 부착시킨 금속 테두리가 탈락되거나 부식된 것들을 전통 방법으로 수리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가? 하지만 도자기 구연에 부착시킨 금속테두리는 전통 기법으로 수리할 수가 있다. 매장환경이나 부식으로 인해 구연부에 부착시킨 금속 테두리가 탈락되거나 부식된 것들을 전통 방법으로 수리하기 위해서는 금속테두리의 재질이나 성분과 더불어 어떤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수리를 해야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영미, 경덕진요 청백자-푸르름 속에 핀 순백의 미. 국립중앙박물관, p8-9, (2008) 

  2. http://gsm.nricp.go.kr,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3. 방병선, 조선도자사, 학연문화사. 172, (2008) 

  4. 이규경, 오주서종박물고변, 고려대학교출판부. p55-56, (2005) 

  5. 양필승, 박기정, 서정호, 김효영, "도자기 구연 금속 테두리 부착목적과 사용재료". 2007 동아시아 문화유산 보존국제심포지엄 발표 요지집, p227-228, (2007) 

  6. 서정호, 김효영, "파주 혜음원지 출토 청자 금속부 유물 분석". 제25회 학술대회발표눈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41-43, (2007) 

  7. 변성문, 황현성, "청백자인각화훼문은구완과 백자은구대접의 금속 테두리 재질 성분 및 제작방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제9집, 국립중앙박물관, p1-15, (2008) 

  8.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문화재 2. p380-1, (2003)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소장품 검색창 도자기 청자편. 

  9. 이용희, "목칠공예품의 최신연구 동향". 한국전통문화학교 제2회 보존과학과 학술대회, 한국전통문화학교, p30-33 ,(2006) 

  10. 이칠용, "漆工硏究". 한국나전칠기보호협회, 미진사, p41-42, (1984) 

  11. 정동찬 외, "겨례과학인 우리공예". 겨례과학총서 1, 민속원, p41-42, (2002) 

  12. 國立歷史民俗博物館, "漆文化 -繩文,彌生時代-". 國立歷史民俗博物館, (1994) 

  13. 조성민, "옻액 및 옻 도막의 공정에 따른 특성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14. 김현경, "환경 친화적 옻칠코팅제의 구조-물성연구-". 조선대학교,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