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자기 수리복원 방법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s Process Repair and Restoration Method of Ceramic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1, 2011년, pp.49 - 59  

양필승 (서울역사박물관) ,  서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손상된 도자기는 고대부터 여러 가지 방법과 재료를 사용하여 수리복원 되었다. 도자기 수리복원의 역사는 전통적인 수리방법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재료들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새로운 재료의 도입과 다양한 처리기법의 시도 및 사용된 재료의 분석에 이르는 전문적인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넓히며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도자기 수리복원 방법의 변천과정은 출토유물과 문헌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동물이나 식물에서 추출된 접착제, 석회와 같은 복원제 등을 사용하여 수리 복원하던 천연재료 사용 시기(고대~일제 강점기 이전)와, 주사비 등 천연재료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시기(일제 강점기~1970년대), 새로운 처리기법과 재료가 도입되고 보존규범에 입각하여 수리복원이 이루어진 합성수지 사용 시기(80년대 이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maged ceramics were repaired and restored thru various methods with various materials. The history of Ceramic repair and restoration has developed widening its areas from traditional stage utilizing applicable living material to the specified field that introduces new materials, new process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이시기에도 깨진 도자기를 수리하는데 옻칠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리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재까지는 그러한 수리 방법이나 사용재료에 대한 자료를 아직까지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발굴된 유물과 문헌에 나타난 자료를 토대로 수리복원방법을 기술하였다.
  • 합성수지는 수리복원 후에 실용기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재료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이 시기의 수리복원이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전시나 예술적인 감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자기 수리복원 사례에 대한 국내외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서 확인 가능한 도자기 수리복원 기법 및 사용재료, 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방법과 재료, 그리고 일제 강점기 이후 수리복원된 도자기에서 확보한 시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된 기법과 사용재료의 성분을 규명함으로써 과거에 수리복원된 물질로 인한 손상위험으로부터 도자기를 보호하고 올바른 보존처리를 하기 위한 기초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의 도자기 수리복원의 사례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의 도자기 수리복원은 기원전 4000년경의 갈머리유적 출토 토기편1과 안성양기리 출토 토기뚜껑2 등 여러 유적에서 수리복원을 위해 구멍이 뚫린 토기들이 발굴되었고, 평택 대추리 출토 대형옹관 파편에서 접착제로 옻칠을 사용한 사례3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자기의 수리복원에 사용된 재료는 무엇인가? 또한 여러 문헌에서 도자기 수리복원에 대한 기록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문헌기록은 실생활에서 도자기를 사용하다가 깨졌을 때 기능상 결함을 보완하여 다시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수리복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수리복원에 사용된 재료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동물이나 식물에서 추출한 달걀흰자나 역청(송진) 등의 접착제나 석회, 백반 같은 무기물 충전제 등 천연재료이며, 고대부터 전해오던 전통적인 처리 기법으로 수리복원이 이루어 졌다.
도자기 수리복원에 대한 문헌기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또한 여러 문헌에서 도자기 수리복원에 대한 기록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문헌기록은 실생활에서 도자기를 사용하다가 깨졌을 때 기능상 결함을 보완하여 다시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수리복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수리복원에 사용된 재료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동물이나 식물에서 추출한 달걀흰자나 역청(송진) 등의 접착제나 석회, 백반 같은 무기물 충전제 등 천연재료이며, 고대부터 전해오던 전통적인 처리 기법으로 수리복원이 이루어 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안승모, 이영덕, 김대성, "갈머리 유적". (재)호남문화재연구원, 진안군, 수자원공사, 호남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 제13책, p62-63, 340-341, 344-345, (2003). 

  2. 박연서, "안성 양기리 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조사보고총서, 제50책, p209-210, (2008). 

  3. 조남철 외, "평택 대추리 유적출토 원삼국기 대형옹관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제29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216-218, (2009). 

  4. Stephen Koob, "Obsolete Fill Materials Found on Ceramics". JAIC, 37(1), p49-67. (1998). 

  5. Horie, C. V. "Materials for Conservation". Butter- worths, London, (1987). 

  6. Susan Buys and Victoria Oakley,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eramics". Butterworth-Heinemann Ltd. Oxford, (1993). 

  7. Strahan. K. and Boulton. A. "Chinese Ceramic Quad- Ruped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Institute for Conservation Kyoto Congress on The Conservation of far Eastern Art, (1988). 

  8. Williams. N, "Ancient Methods of Repairing Pottery and Porcelain". In Early Advance in Conservation, Occasional Paper 65, British Museum, London, p147-50, (1988). 

  9. Beeton, MRS. I. M. "Book of Household Management". S. O. Beeton, London, (1861). 

  10. Williams. N, "Ancient Methods of Repairing Pottery and Porcelain". In Early Advance in Conservation, Occasional Paper 65, British Museum, London, p147-50, (1988). 

  11. Harris and Service, "Conservation of the Centrepiece of the Sevres Egyptian Sevres". The Conservator, 6, p37-44, (1982). 

  12. Hey. M, Althofer. H, and Organ. R. M, "The Limitation of Polyethylene glycols: Some Advice and Waming". Studies in Conservation, 5, p30-33, (1960). 

  13. Gedye, I. "Pottery and Grass, In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UNESCO Press, (1968). 

  14. Strahan. K. and Boulton. A. "Chinese Ceramic Quad- Ruped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Institute for Conservation Kyoto Congress on The Conservation of far Eastern Art, (1988). 

  15. Oddy, A. "Care of ceramics in Japan". Conservation News, 40, p18-19, (1989). 

  16. Nakasato. T, "Urushi as Restoration Materials". The Conservation of Eastern Art: Abstracts of the Contributions to Kyoto Congress, London: IIC, (1988). 

  17. 出川哲朗, "瓷器の?による修理とその審美的な價値". 陶瓷?釘?現代修護科技國際硏討會論 文集, 臺灣國立歷史博物館, p11-26, (2006). 

  18. 中央文化財硏究員, 國防部, "平澤 大秋里?金角里遺蹟". 中央文化財硏究員 發掘報告書, 第149, p36-38, 133, (2008). 

  19. 서정호, 김효영, "파주 혜음원지 출토 청자 금속부 유물분석". 제25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41-43, (2007). 

  20. 변성문, 황현성, "청백자인각화훼문은구완과 백자은구대접의 금속테두리 재질 성분 및 제작방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9, p1-16, (2008). 

  21. 홍진근, "도질토기 보수 소고". 고고학지, 15, 한국고고미술연구소, p109-124, (2006). 

  22. 李殷昌 외, "慶北 北四里 古墳群". 啓明大學校博物館, (1991). 

  23. 中央文化財硏究員, 國防部, "平澤 大秋里?金角里遺蹟". 中央文化財硏究員 發掘報告書, 第149, p36-38, 133, (2008). 

  24. 조남철 외, "평택 대추리 유적출토 원삼국기 대형옹관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제29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216-218, (2009). 

  25. 이규경 작, 최주 주역, "오주서종박물고변 ". 학연문화사, p151, 154, 155, 172-174, 191, 192, (2008). 

  26. 함철희, 양필승, "도토기 보존처리 사례(역사) 연구". 제21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1-11, (2005). 

  27. 출처 : http://gsm.nricp.go.kr,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금석문 찾기, 해석문. 

  28. 방병선,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p55-56, (2005). 

  29. 황현성, 양필승, 서정호, "도자기 구연에 부착된 금속 테두리 연구". 보존과학회지, 22, p109-120, (2008). 

  30. 陳馨, "陶瓷修復技術之?釘補瓷技術的起源及其相關". 陶瓷?釘?現代修護科技國際硏討 會論文集, 臺灣國立歷史博物館, p85-8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