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이론적 모형을 기초로 한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6개월 금연성공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Six Months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4, 2009년, pp.433 - 442  

김윤희 (부산시청 건강증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n the successful cessation of smoking for six months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8 adult smokers who had registered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흡연관련 특성들과 함께 범이론적 모형의 구성변인에서 중재가능한 금연성공요인들을 총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금연성공률이 낮은 집단을 파악하여 이들 집단의 금연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기초로 하여 보건소 금연클리닉 대상자의 6개월 금연성공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B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개 구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금연을 결심한 성인흡연자 5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기초로 하여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대상으로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독립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흡연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범이론적 모형의 구성변인을 함께 고려하여 광범위한 금연성공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6개월 금연성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의료보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기초로 한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6개월 금연성공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어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가? 2005년부터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흡연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요법과 행동요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6개월 금연성공률이 뉴질랜드에 비해 높고 4주 금연성공자 1인당 운영비용 또한 영국의 약 40%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어 흡연자에게 금연을 직접 지원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Song, 2007). 1980년에 79.
범이론적 모형이란 무엇인가? 범이론적 모형은 여러 이론에서 금연유도에 관련되는 주요변수를 도출하여 만든 통합모형으로(Prochaska, Velicer, Diclemente, & Fava, 1988) 건강행위의 변화를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고 행위의 결과보다는 개인이 건강행위를 변화시켜 나가는데 관여되는 인지적 특성에 중점을 둔다. 금연에 적용되었을 때에는흡연자 개인의 금연의도와 금연행위실천정도에 따라계획전, 계획, 준비, 행동, 유지단계의 5단계 변화단계로 구분하며 각 변화단계에 맞는 변화과정을 적용하여 금연변화단계의 긍정적이행을 유도한다는 이론이다(Velicer, Rossi, Prochaska, & DiClemente, 1996).
보건소 금연클리닉 대상자의 6개월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6개월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일반적 특성 및 흡연관련 특성에서는 서비스내용, 상담횟수, 음주문제, 과거금연시도, 니코틴의존도, 첫 방문 시 호기일산화탄소농도가, 범이론적모형구성변인에서는 자기재평가, 조력관계, 부정적/정서적 상황에서의 흡연유혹, 흡연손실평가가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결과를토대로다음과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O. H., Yeun, E. J., Kwon, S. B., Chung, H. K., & Ryu, E. J. (2005). Predictive factors of aspect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n smoking cessatio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285-1294. 

  2. Anderson, S., & Keller, C. (2002). Examination of the transtheoritical model in current smokers. West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4(3), 282-294. 

  3. Aveyard, P., Griffin, C., Lawrence, T., Cheng, K. K., Croghan, E., & Johnson, C. (2006).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moking cessation for pregnant women to test the effect of a transtheoritical model-based intervention on movement in stage and interaction with baseline stag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2), 263-278. 

  4. Carlson, L. E., Taenzer, P., Koopmans, J., & Casebeer, A. (2003). Predictive value of aspects of the transtheoritical model on smoking cessation in a community-based, large group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Addictive Behaviors, 28, 725-740. 

  5. Chang, S. O., Kim, E. J., Kil, S. Y., Seomun, G. A., & Lee, S. J. (2005).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ntion and action to quit smoking between adolescent smokers and adults smokers-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410-1419. 

  6. Chang, S. O. (2004). The concept development of smoking tem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60-171. 

  7. Cho, K. S., Song, T, M., Lee, C. M., Kim, H. C., Lee, J. Y., & Lee, J. K. (2006). Evaluation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at public health center in 2004 - Analysis on Key Factors and rate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1(1), 35-48. 

  8. Heatherton, T. F., Kozlowski, L. T., Frecker, R. C., & Fagerstrom, K. O. (1991).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re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9), 1119-1127. 

  9. Hwang, S. J., Ou, S. W., Kim, S. N., Hwang, H. S., Cho, B, L., & Huh, B. Y. (2000). Smoking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in Korean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1(3), 344-356. 

  10. Hoeppner, B. B., Velicer, W. F., Redding, C. A., Rossi, J. S., Prochska, J. O., Pallonen, U. E., et al. (200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moking cessation processes of change scale in an adolescent sample. Addictive Behaviors, 31, 1363-1372. 

  11. Irving, J. M., Clark, E. C., & Smith, C. (1988). Evaluation of part-able measure of carbon monoxide. Preventive Medicine, 17(1), 109-115. 

  12. Jun, Y. W., Ji, N. J., & Lee, W. Y.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for 6 months at smoking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1), 25-38. 

  13. Kang, Y. S., Kim, J, R., Jang, J. S., Hwang, Y. S., & Hong, D. Y. (2003).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s. Journal of Korean Preventive Medicine, 36(3), 248-254. 

  14. Kim, M. R. H. (2005). Recent option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3), 259-276. 

  15.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Health (2007, October 2). The report of smoking. Retrieved December 10, 2008 from http://www.kash.or.kr/user_new/pds_list.asp? 

  16. Lawrence, T., Aveyard, P., Evans, O., & Cheng, K. K. (2003). A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smoking cessation women compar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bacco Control, 12(2), 168-177. 

  17. Lee, K. J., Chang, C. J., Kim, M. S., Lee, M. H., & Cho, Y, H.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5), 742-750. 

  18. Mayfield, D., McLeod, G., & Hall, P. (1974). The CAGE Questionnaire: Validation of a new alcoholism screening instru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1(10), 1121-1123.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National tobacco control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 guideline. Seoul. 

  20.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 Norcross, J. C. (1992).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Application to addictive behaviors. American Psychologist, 47(9), 1102-1114. 

  21. Prochaska, J. O., Velicer, W. F., Diclemente, C. C., & Fava, J. (1988).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4), 520-528. 

  22. Sim, J. Y., Han, N, Y., Cheong, Y, S., Yoo, S. M., & Park, E. W. (2002).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3(3), 325-332. 

  23. Song, T. M., Lee, J. Y., & Cho, K. S. (2008).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2), 19-30. 

  24. Song, T. M. (2007).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129, 50-56. 

  25. Son, H. K., Jung, U. Y., Park, K. S., Kam, S., Park, S. K., & Lee, W. K. (2009). The factors implicated when an individual starts to smoke again after a 6 month cessation. Journal of Korean Preventive Medicine, 42(1), 42-48. 

  26. Spencer, L., Pagell, F., Hallion, M. E., & Adams, T. B. (2002).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tobacco cessation and prevention: A review of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7(1), 7-71. 

  27. Velicer, W. F., Rossi, J. S.,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96). A criterion measurement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ddictive Behaviors, 21(5), 555-584. 

  28. Velicer, W. F.,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 Brandenberg, N. (1985). A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smoking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5), 1279-1289. 

  29. Velicer, W. F., Prochaska, J. O., Rossi, J. S., & Snow, M. G. (1992). Assessing outcome in smoking cessation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11(1), 23-41. 

  30. Zimmerman, R. S., Warheit, G, J., Ulbirch, P. M., & Auth, J.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attempts and success at smoking cessation. Addictive Behaviors, 15(3), 197-20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