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기상 요인의 영향 정도에 따른 속도 변화를 분석하여 고속도로의 교통상황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서해대교의 RWIS와 VDS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교통상황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인은 날씨, 온도, 시정거리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따른 교통상황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별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날씨는 맑음과 강우, 온도는 $5^{\circ}C$ 이하와 이상, 시정거리는 강우 시에만 10km 이하와 이상으로 분류되어 총 5개 유형의 교통상황으로 분류되었다. 보다 원활한 교통관리를 위해 각 상황별로 교통량-속도 모형을 추정하였으나 분석자료의 부족으로 설명력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장기간의 자료를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과정에 입각하여 분석할 경우 기상요인에 따른 유형별 교통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traffic condition in freeway by the impacts of road weather.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weather factors, which are considered as influential, are identified as weather condition (rain or clear), temperature and sight distance with RWIS and VDS data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왜냐하면 모든 기상요인을 고려할 경우 분류되는 집단의 수는 2n개가 되어 불필요한 연산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상요인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교통 상황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을 찾아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요인분석은 변수 간의 상관행렬로부터 공통요인을 끄집어내어 그 공통요인을 이용해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공통요인과의 관계에 의해서 각 변수의 성질을 간결한 형태로 기술하여 변수나 관측대상의 분류를 위해 이용되는 통계적 분석기법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 이는 날씨 이외에 다른 기상 요인도 교통 상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상요인에 따라 고속도로의 교통상황을 분류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RWIS를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기상 요인의 영향 정도에 따른 속도변화를 분석하여 고속도로의 교통상황을 분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해대교의 2008년 1월~6월의 RWIS와 VDS(Vehicle Detection Sys tem) 자료를 활용하였고, 교통량과 같은 교통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량이 유사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상 요인의 영향 정도에 따른 속도 변화를 분석하여 고속도로의 교통상황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해대교의 2008년 1월~6월의 RWIS와 VDS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 및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능형교통체계의 역할은? 최근 20년 동안 국내에서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는 것 대신에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도입하여 기존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통자료를 수집·가공하여 신호 운영 및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교통상황은 어디에 영향을 받는가? 그러나 교통상황은 해당 지점의 교통량이나 속도와 같은 요인 외에 기상 및 도로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다. 실례로 첨단교통 모델 도시 중 하나인 제주시에서 ITS를 구축한 초기에 강설로 통행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소통원활이라는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문제가 된 적이 있다.
지능형교통체계 정립을 위해 제공하는 것은? 최근 20년 동안 국내에서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는 것 대신에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도입하여 기존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통자료를 수집·가공하여 신호 운영 및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성환, 이청원(2008) 강우량에 따른 고속도로 최대교통류율 및 속도 변화 분석, 제58회 대한교통학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 500-509. 

  2. 오주삼, 최대순, 조윤호, 정진혁(2002) 안개로 인한 속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일반국도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4D호, pp. 677-685. 

  3. 최정순, 손봉수, 최재성(1999)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변화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7권 제1호, pp. 29-40. 

  4. 최필순(2003) WIS를 활용한 가변속도규제방안,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5. Brilon, W. and Ponzlet, M. (1996) Variability of speed-flow relationships on german autobah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5,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 91-98. 

  6. Edward Chung, Osamu Ohtani, Hiroshi Warita, Masao Kuwahara and Hiroshi Morita (2006) Does Weather Affect Highway Capacity? 

  7. Hanbali, R.M. and Kuemmel, D.A. (1993) Traffic volume reductions due to winter storm condi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 rch Board 1387, pp. 159-164. 

  8. Hassan, Y. A. and Barker, J. J. (1999) The impact of unseasonable or extreme weather on traffic activity within lothian region, Transport Geography, Vol 7, No. 3, pp. 209-213. 

  9. Ibrahim, A. T. and Hall, F. L. (1994) Effect of adverse weather conditions on speed-occ upancy relationships, Transportation Resea rch Board 1457, pp. 184-191. 

  10. Ju Sam Oh, Yong Un Shim, and Yoon Ho Cho (2002) Effect of weather conditions to traffic flow on freewa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대한토목학회, Vol. 6, No. 4, pp. 413-420. 

  11. Knapp K. K. and Smithson L. D. (2000) Winter storm event volume impact analysis using multiple-source archived monitoring data,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700, pp. 10-16. 

  12. Keay, K. and Simmonds, I. (2005) The asso ciation of rainfall and other weather vari ables with road traffic volume in melbou rn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7, pp. 109-124. 

  13. Lamm, R.,Choueiri, E. M., and Mailaender, T. (1990) Comparison of operation speed on dry and wet pavements of two-lane rural highwa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80, pp. 199-207. 

  14. Manish Agarwal, Thomas H. Maze, and Reginald Souleyrette (2005) Impacts of weather on urban freeway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apacity, Proceedings of the 2005 Mid-Continent Transportation Research Symposium. 

  15. May. A. D. (1998)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for Freeway Systems,3rd Interim Report, Phase C-Tasks C1 through C10. 

  16. Michael Kyte, Zaher Khatib, Patrick Shannon, and Fred Kitchener (2001)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Free-Flow Speed,pp. 108. 

  17. Robert Hranac, Emily Sterzin, Daniel Krechmer, Hesham Rakha and Mohamadreza Farzsn도 (2006) Empirical Studies on Traffic Flow in Inclement Weather, FHWA-HOP-07-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