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정거리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류 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raffic-Flow Characteristic Changes on Expressway by Visibility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2 no.6, 2013년, pp.116 - 126  

손영태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전진숙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설, 안개발생 등 기상상태의 변화는 운전자의 주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으로 기상악화 시 차량의 차두간격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도로용량을 감소시키고, 교통사고 발생으로 인한 차로감소 등의 상황을 유발하여 맑은 날보다 더 큰 혼잡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운전자의 시정을 감소시키는 기상악화는 통행속도가 높은 고속도로가 일반도로 보다 기상상태에 따른 통행속도 변화 민감도와 교통사고 심각도가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고 분석됨에 따라 고속도로의 교통류 특성변화에는 시정거리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행속도가 높은 고속도로 기본구간의 교통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교통량과 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일정수준 이상의 교통량 확보가 가능한 수도권내 고속도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상자료와 교통자료를 수집하여 시정거리 변화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수립하고 고속도로의 시정거리 수준을 선정하며, 통계적 차이 검증을 수행하고 시정거리에 따른 고속도로의 교통류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용량 및 서비스 수준 분석 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ather factor to affect driver's driving environment are due to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is caused rainfall, snowfall, fog etc and the reducing of road capacity and because deteriorating weather could be affect the headway and vehicle speed and the decrease in lane caused by an accident occu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해 기상상태에 따라 고속도로 효과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연구의 분석방법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필요한 시정거리 영향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상악화 시 고속도로의 효과척도를 검토하여 효과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고 기상악화와 시정거리와의 관계를 규명한 후 기상상태에 따른 시정거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료수집과 통계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변화에 따른 교통류 변화가 민감하게 발생하는 고속도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속도로 중 합류 또는 분류, 엇갈림 등의 발생이 없는 기본구간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여 강설 및 안개발생 등 기상악화에 따른 시정거리 변화의 영향을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립된 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시정악화로 인해 고속도로 교통류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영향요인에 대한 통계적 차이 검증을 실시하고 기상악화 시의 시정거리 변화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구간에 대한 효과척도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정하여 분석하기 위한 자료 조사방법을 우선적으로 수립하였다.
  •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 방법론 수립을 위하여 시정거리에 따른 교통류 특성 변화에 관한 기존 연구사례를 검토하였으며, 관련 연구 검토를 통하여 교통류 특성 분석 및 최대 교통류율 분석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정거리 수준을 선정, 통계적 차이 검증 등을 수행하였다.
  • 이에 따라 시정거리에 변화에 따른 교통류 특성 변화율 및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용량 및 서비스 수준 분석 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속류 도로의 대표적 성격인 고속도로 기본구간을 대상으로 기상자료와 교통 자료를 활용하여 기상악화 시 시정거리에 따른 영향요인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교통류 특성과 최대 교통류율, 서비스수준 등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며 시정거리에 따른 속도변화 영향요인의 통계적 검증을 수행해 변화율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시정거리에 따른 교통류의 변화를 토대로 기상악화 시 교통흐름의 안정적인 흐름을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교통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행속도가 높고 기상변화에 민감한 변화를 나타내는 연속류 도로인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기상악화로 인한 시정거리 변화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고, 최대교통류율 및 서비스수준 등을 분석함에 있어 시정거리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정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Manish 등(2005)은 불리한 기상조건은 도로 용량과 속도의 감소를 초래하며, 이는 곧 도로 혼잡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기상과 차량 이동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현재 거의 모든 도로 건설과 교통운영방법은 맑은 날을 기준으로 도로 용량을 추정하고 있으나, Twin Cities 주변의 도시고속도로를 대상으로 비, 눈, 도로 노면 등의 변화에 따라 도로 용량 변화를 정량화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4].

가설 설정

  • 이러한 기상변화에 따른 도로용량 변화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개정된 ‘도로용량편람, 국토교통부, 2013’에서도 “용량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기후 조건의 교통 흐름에서 나타나므로 기후조건은 양호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중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몇 건인가?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22만 3,656건이며, 이중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전체의 1.6%인 3,550건이 발생하였으며 전체 사망자 5,392명중 6.9%인 371명이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고속도로 1㎞당 약 0.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몇 건인가?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22만 3,656건이며, 이중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전체의 1.6%인 3,550건이 발생하였으며 전체 사망자 5,392명중 6.
기상상태별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통해 무엇을 판단할 수 있는가? 38%가 기상악화 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통계자료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이 운전자의 컨디션 저하나 운전 부주의, 도로 상황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나, 기상악화도 교통사고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2001 

  2.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ighway Capacity Manual",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000 

  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ighway Capacity Manual",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010 

  4. Manish A., Thomas H. Maze, Reginald Souleyrette, "Impacts of Weather on Urban Freeway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apacity", Proceedings of the 2005 Mid-Continent Transportation Research Symposium, Iowa State University, United States of America, August 2005 

  5. Thomas H Maze, M. Agarwal, G. Burchett, "Whether Weather Matters to Traffuc Demand, Traffic Safety, and Traffic Flow", Iowa State University, 2005 

  6. Manjunathan Kumar, P.E. and Shaowei wang E.I., "Impacts of weather on rural highway operations", Final Report, Western Transportation Institute College of Engineering Montana State University, 2005 

  7. W. H. Jeon, H. J. Choi, "Revised Guideline for Roadside Safety Facilities on Adverse Weather",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Workshop Presentation File, pp.429-434, 2004 

  8. S. W. Shim, K. C Choi, "Classification of Freeway Traffic Condition by the Impacts of Road Weather Factors ",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7, pp.685-691, 2009 

  9. J. O. Brooks, M. C. Crisler, N. Klein, R. Goodenough, R. W. Beeco, C. Guirl,P. J. Tyler, A. Hilpert, Y. Miller, J. Grygier, B. Burroughs, A. Martin, R. Ray, C. Palmer, and C. Beck, "Speed choice and driving performance in simulated foggy condi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3, pp.698-705, 2010 

  10. F. J. Camacho, A. Garcia, and E. Belda, "Analysis of Impact of Adverse Weather on Freeway Free-Flow Speed in Spa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169, pp. 150-159, 2010 

  11. K. B. Shim, J. H. Yoon, "Analysis on Wet-pavement Accident Rate for Rainfall & Road Surface Levels", Journal of Traffic Safety Research, vol. 18, pp.55-70, 1999 

  12. J. S. Choi, B. S. Son, J. S. Choi, "The Effect of Rain on Traffic Flows in Urban Freeway Basic Segm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7, no.1, pp.29-40,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