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rvey on the oriental medical care and to enlarge the domain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ncerning facial paralysis. Methods : From May 2008 to April 2009, a clinical study was done on 100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s facial 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동신대학교 목동한방병원에 말초성 안면마비로 입원치료를 시행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의학에서 구안와사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서양의학에서 구안와사는 안면신경마비에 해당되는데 안면신경마비는 안면신경핵 이전에서 마비되는 중추성 마비를 제외하면 원인불명인 Bell 마비가 가장 많으며 그 외 대상포진에 의한 Hunt's syndrome, 외상에 의한 마비 등이 90% 이상을 차지한다5). Bell 마비(Bell's palsy)는 특발성 안면신경마비라고도 하며 10만명당 20~30명이 매년 또는 일생 동안 60~7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6).
Bell 마비의 내과적 치료로 무엇이 사용되는가? Bell 마비는 갑자기 나타나서 일반적으로 48시간 내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고 이개 후부의 통증이 1~2일 있은 뒤 안면마비가 오며 수주~수개월 내에 80%이상 회복된다6). Bell 마비는 회복이 비교적 양호한 편이어서 양방에서 양성질환으로 분류되어 중한 질병으로 생각되어지지 않으며 내과적 치료로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다. 이 치료법의 개념은 명백하지 못하지만 임상에서 상용되고 있다7).
口眼喎斜의 원인은 대개 무엇인가? 그 원인은 대개 正氣가 不足하고 經脈이 緻密하지 못한 가운데 風寒의 邪氣가 그 虛한 틈을 타고 침입하여 氣血의 운행이 不暢하고 經氣가 阻滯되고 經筋이 滋養을 받지 못하여 肌肉이 弛緩不收 함으로써 발병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도생 편. 신편침구치료학.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98:155-6. 

  2. 김달호 편. 황제내경 영추. 서울:의성당. 2002:452. 

  3. 장대천. 침구학대사전. 서울:의성당. 1992:80. 

  4. 진사택. 삼인방(권2) 대북:대련국풍출판사. 1987:8. 

  5.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1:519-24. 

  6.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편. 이비인후과학. 서울:일조각. 2005:209-11. 

  7. 전국의과대학교수 역. 오늘의 진단 및 치료 II. 서울:한우리. 2000:1096. 

  8. 손인석, 서정철, 조태성, 권혜연, 윤현민,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환자 대조군 연구를 통한 입원치료가 구안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2):201-10. 

  9. 김지훈, 송재준, 홍승욱.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의 양.한방 협진치료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1):148-56. 

  10.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grading system.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85;93:145-7. 

  11. 정보서 편. 신편침구대사전. 북경:화하출판사. 1995:675. 

  12.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일문각. 1997:121-7. 

  13. Watanabe S, Kenmochi M, Kinoshita H, Kato I. Effect of administration of high 

  14. Williamson IG, Whelan TR. The clinical problem of Bell's palsy: is treatment with 

  15. 신선미, 임현정, 이정은, 유동열. 임신 중 발생한 구안와사 환자 2례에 대한 임상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58-68. 

  16. 김세진. 첩대요법을 이용한 구안와사 치험례 보고.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47-55. 

  17. 문효, 박민철, 홍석훈, 윤인환, 이동효, 이충호, 김남권. 구안와사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학회지. 2009;22(1):157-71. 

  18. 김정호, 고승경, 김영일, 이현. 특발성 구안와 사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사상체질별 유형분석. 대한침구학회지. 2007;24(3):19-28. 

  19. 박수은, 옥민근, 임웅경, 김창환. 구안와사 환자 254명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3):75-83. 

  20. 이연경, 이병열. 구안와사 환자 7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1998;15(1):1-12. 

  21. Ellis SL, Carter BL, Leehey MA, Conry CM. Bell's palsy in an older patient with 

  22. 신예지, 권나현, 박현애, 우현수, 백용현, 박동석, 고형근.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의 재발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9;26(1):29-37. 

  23. 김경집. 급성 벨마비의 임상적 분석. 대구:대구가톨릭대대학원. 2007:11. 

  24. 김종인, 서정철, 이상훈, 최도영, 강성길, 고형균. 안면신경평가기준에 따른 구안와사의 임상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5):1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