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CX모델에 근거한 다문화가족의 디스트레스(Distress) 연구
In Study on Investigate the Di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Hill's ABCX Model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4 = no.100, 2009년, pp.103 - 116  

장진경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  전종미 (성신여자대학교 가족문화소비자학과) ,  신유경 (금천구건강가정지원센터 교육상담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family distress to family crisis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Hill's ABCX model. For this study, the qualitative study with 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8 multi-cultural families(e.g. husband, wife, child and elderly parent). The depth inter...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강유진(1999).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 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미희(2007). 결혼 이민 여성의 결혼에 대한 인식 :베트남 이민여성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논총. 28(2), 183-207 

  4.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 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연미(2003). HIV/AIDS 감염인의 삶의 과정 : 근거이론 연구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오남(2005).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8. 노하나(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지영(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권 보호를 위한 법적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형식(2006).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 연구: 전라북도 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은록(2004).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과 갈등대처방 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과 결혼한 조선족여성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지현(2009). 다문화 가정 부부의 결혼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경희(2004).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남성과 필리핀여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현주(2006).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대응: 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현정(2003).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초당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양철호 김영자 손순용 양선화 신봉관 조지현(2003). 외국 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6(-), 127-149 

  18. 윤영주(2001). 한국체류 중국동포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정빈 지영숙 문숙재 이기영 이연숙(2004). 가정관리학. 서울: 신정 

  20. 조한숙(2009). 농촌노인과 외국인며느리의 고부관계 만족도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희(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진경 전종미 신유경(2008).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 족의 적응성 저해요인 분석. 2008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7-64 

  23. (2009). 심층면접을 통해 본 다문화 가족의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21-38. 

  24. 최운선(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46(1), 141-181 

  25. 최지현(2006). 발달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통계청. http://Kosian.nso.go.kr 

  27. 한국염(2008). 결혼이민자여성 인권백서: 적응과 폭력사이에서.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8. 홍달아기 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 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29.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McCubbin, H. I., Patterson, J., & Wilson, L. R(1983).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St. Paul. MN: Univ.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31. Satir, V(1972). 성문선역(2004). 사람만들기. 서울: 홍익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