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의 적용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The Application of Double ABCX Family Stress Model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88 - 99  

임수업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암 생존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한 자료는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은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지자원과 의도적 반추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데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이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stress, supportive resources, intentional rumination, and coping behaviors on posttraumatic growth of cancer survivors based on the Double ABCX Family Stress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cancer survivors currently living with their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초로 암 생존자의 개인과 가족 차원을 포함하는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여 암 생존자가 지각하는 암으로 인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 암 생존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상담은 물론 정책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데 의의가 있다. 그동안의 암 생존자에 대한 연구에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발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외상 후 성장에 관련된 변인만을 단편적으로 탐색하는데 그치고 있다.
  • 본 연구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초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현재 각 지역보건소나 국가 암 생존자 지원센터에서는 암 생존자의 부정적 적응의 감소를 위해 운동, 명상, 상담 등 단편적인 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는 암 생존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가족체계내에서 지지자원의 중요성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와는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생존자와 함께 가족구성원을 지원프로그램의 대상에 포함하여 가족체계내에서 외상 후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수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암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암 생존자의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가족원의 스트레스는 지지자원과 의도적 반추를 통해 경감될 수 있으며, 동시에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쳐 외상 후 성장에 이른다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의 경로를 규명하였다.
  • 이처럼 암은 가족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지만 가족이 암 극복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중요한 지지체계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체계론적 관점에 기초한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6]을 적용하여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하고자 한다. 체계론적 관점은 가족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가족이 변화하고, 안정적으로 적응해 가는 과정을 설명해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부 암 생존자들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변화는? 반면 어떤 암 생존자들은 진단과 치료 후 암 진단 전과는 다른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타인과 더욱 친밀해지며,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강점과 삶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발견하고 질병으로 인한 문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다. Tedeschi와 Calhoun[3]은 이러한 긍정적 변화를 외상 후 성장이라 명명하고, 삶의 위기나 삶을 뒤흔드는 외상 사건에 분투한 후에 얻는 주관적이고 긍정적인 심리변화라고 정의하였다.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연구대상은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암 생존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한 자료는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은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지자원과 의도적 반추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데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이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암 생존자란? 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암 생존자란 암 진단을 받은 후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의 적극적 치료가 완료되어 더 이상 적극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와 완치 판정을 받은 자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 Ahn et al. (2007). Adiposity, adult weight change, and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risk.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9), 2091-2102. DOI : 10.1001/archinte.167.19.2091 

  2. G. Abbey, S. B. Thompson, T. Hickish & D. Heathcote. (2015). A metaanalysis of prevalence rates and moderating factors for cancer 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Oncology, 24(4), 371-381. DOI : 10.1002/pon.3654 

  3. R. G. Tedeschi & L. G. Calhoun.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DOI : 10.1207/s15327965pli1501_01 

  4. C. Ochoa, A. Casellas-Grau, J. Vives, A. Font & J. M. Borras. (2017). Positive psychotherapy for distressed cancer survivors: posttraumatic growth facilitation reduces posttraumatic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17(1), 28-37. DOI : 10.1016/j.ijchp.2016.09.002 

  5. J. Mangelsdorf, M. Eid & M. Luhmann. (2019). Does growth require suffer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genuine posttraumatic and postecstatic growth. Psychological Bulletin, 145(3), 302-338. DOI : 10.1037/bul0000173 

  6. H. I. McCubbin & J. M. Patterson. (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Marriage and Family Review, 6(1), 7-37. DOI : 10.1300/j002v06n01_02 

  7. R. Hill. (1958). Generic features of families under stress. Social Casework, 39(2-3), 139-150. DOI : 10.1177/1044389458039002-318 

  8. O. Bozo, E. Gundogdu & C. Buyukasik-Colak. (2009). The moderating role of different sour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ispositional optimism-posttraumatic growth relationship in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7), 1009-1020. DOI : 10.1177/1359105309342295 

  9. H. R. Cho & N. W. Chung. (2017). The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2(2), 433-455. DOI : 10.17315/kjhp.2017.22.2.012 

  10. E. S. Kim et al. (2007). Stress, social supports, and coping among the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in 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23-134. 

  11. R. S. Lazarus & S. Folkman. (2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2. S. Y. Yoo. (2019).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disruption of core belief, coping,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cancer.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3. M. A. McCubbin & A. I. Thompson. (1987). Family stress theory and assessment. In H. I. McCubbin, & A. I. Thompson (Eds.),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3-22).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4. K. H. Yang, M. R. Song & E. K. Kim. (1998). The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1), 118-132. 

  15. G. G. Zimet, N. W. Dahlem, S. G. Zimet & G. K. Farley.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DOI : 10.1207/s15327752jpa5201_2 

  16. J. S. Shin & Y. B. Lee. (199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4), 241-269. 

  17. A. Cann, L. G. Calhoun, R. G. Tedeschi, K. L. Triplett, T. Vishnevsky & C. M. Lindstor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and Coping, 24(2), 137-156. DOI : 10.1080/10615806.2010.529901 

  18. R. K. Yoo & E. J. Kim. (2016). Testing moderating effects of event-related deliberate rumination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3(2), 417-437. 

  19.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 J. S. Han & G. S. O. (1990). A study on the grief and coping pattern of mothers who have a chronically ill child. The Korean Nurse, 29(4), 73-87. 

  21. R. G. Tedeschi & L. G. Calhoun.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DOI : 10.1002/jts.2490090305 

  22. S. H. Song, H. S. Lee, J. H. Park & K. H. Kim.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93-214. DOI : 10.17315/kjhp.2009.14.1.012 

  23. J. P. Woo. (2012). Prof. Woo's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s 4.0-20.0). Seoul: Hannarae Publishing. 

  24. Y. H. Jeon, K. H. Lee & W. J. Kim. (2010). Influence of anxiety, stress and concern for recurrence on quality of life, and controll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mong cancer patients. Health and Welfare. 12, 115-137. 

  25. S. Nolen-Hoeksema.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DOI : 10.1037/0021-843x.100.4.569 

  26. S. Cohen & T. A. Wills.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 : 10.1037/0033-2909.98.2.310 

  27. M. Seo, B. Y. Choi & H. I. Jo. (2006). The effect of life stres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2), 271-288. 

  28. S. Y. Shin & N. W. Chung. (2012).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3(2), 217-235. 

  29. Y. S. Rhee. (2009). A study of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caregiv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2), 325-348. DOI : 10.20970/kasw.2009.61.2.013 

  30. A. Wang, C. Chang, S. Chen, D. Chen & W. Hsu. (2014). Identific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trajectories in the first year after breast cancer surgery. Psycho-Oncology, 23, 1399-1405. DOI : 10.1002/pon.3577 

  31. D. A. Kenny, D. A. Kashy & W. L. Cook. (2006). Dyadic data analysis. Guilford Press. 

  32. J. G. Hwang & Y. H. Kim. (2005). Family support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2), 173-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