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Employe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4, 2009년, pp.549 - 561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하영미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employe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aged 20 to 64 using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06 (KWC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was performed to examine 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로 분석하여 국가적인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다각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조직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많은 국가적 재정손실을 가져오는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의 호소율을 산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를 파악한다. 둘째, 한국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조건, 물리적 작업환경,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에 따른 업무관련성 스트레스를 성별로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를 이해하는 단계를 설명하라. 스트레스를 이해하는 단계도 첫째, 경제변화, 규제, 무역, 경제정책, 과학기술의 혁신, 근로자의 인구학적 변화와 노동공급의 변화와 같은 국제적/국가적 수준의 외부환경을 조사하고, 둘째, 구조조정, 작업시스템, 노동유연화, 업무조정, 급여와 보상체계와 같은 작업조직의 거시적 변화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조직체계/조직문화, 업무특성, 직무의 사회적 관계 측면, 근로자의 역할, 작업 일정과 같은 직무특성의 미시적 변화를 파악해야 한다(Chang et al., 2004).
본 연구에서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에 대해 도출한 결론은 무엇인가? 한국 임금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호소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성별로 차이가 있으며 성인지적 관점의 예방적인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 임금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남녀 공통의 업무관련성 위험요인은 사업체 규모, 근무시간, 인간공학적 위험, 생물 및 화학 위험, 직무요구도이다. 남자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직업계층별 위험요인과 교대 근무 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여자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5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과 비정규직 근로자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산업간호사는 업무 관련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의 개인특성, 근무조건, 작업환경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통해 사업장 단위의 근로자 스트레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의 역효과는 무엇이 있나? 그리고 지역사회나 국가적 차원에서는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국가 및 지역사회의 발전저해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의 역효과는 개인측면으로는 천식, 요통, 심혈관질환, 어지럼증, 기분 변화, 정신건강 약화, 삶의 질과 전반적 안위의 저하, 불안/우울, 행동 변화, 수면 양상의 파괴, 두통/이통, 구강과 잇몸질환, 발진/가려움증, 호흡곤란이며, 조직측면으로는 직원 사기 저하, 회사비용 증가, 직원의 동기 저하, 지각, 생산성 감소, 조직과 부서의 목표 실현의 어려움, 병가 증가, 직원 업무수행 저하, 업무상 관계 형성의 부족, 불안전한 업무수행 등을 들 수 있다(Chang et al., 2005;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 Kim, D., & Lee, S. (2003). Nonstandard workers and policy implication (III). Seoul: Korea Labor Institute 

  2. Beehr, T. A., Farmer, S. J., Glazer, S., Gudanowski, D. M., & Nair, V. N. (2003). The enigma of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Source congruence and gender role effec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 220-231 

  3. Burchell, B., Fagan, C., O’Brien, C., & Smith, M. (2007). Working conditions in the European Union: The gender perspective. Retrieved February 10, 2009,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pubdocs/2007/108/en/1/ef07108en.pdf 

  4. Chang, S. J., Kang, D. M., Kang, M. G., Koh, S. B., Kim, S. A., Kim, S. Y., et al. (2004).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2nd year project).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5. Chang, S. J., Koh, S. B., Kang, M. K., Cha, B. S., Park, J. K., Hyun, S. J., et al. (2005).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8, 25-37 

  6. Cho, T. R. (2006). Workers' job stress status and related factors-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short for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 58-71 

  7. Costa, G. (1997). The problem: Shiftwork. Chronobiology International, 14(2), 89-98 

  8. Daniels, K. (2004). Perceived risk from occupational stress: A survey of 15 European countri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1, 467-470 

  9.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2007). Quality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trieved February 10, 2009, from http://www.dataarchive. ac.uk/doc/5639%5Cmrdoc% Cpdf%5C5639userguide. pdf 

  10. Fagan, C., & Burchell, B. (2002). Gender, jobs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European Union. Retrieved February 10, 2009,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pubdocs/2002/49/en/1/ef0249en .pdf 

  11. Hawksley, B. (2007). Work-related stress, work/life balance and personal life coaching.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2, 34-36 

  12. Health and Safety Executive. (1995). Stress at work-A guide for employers. Sudbury: Author 

  13. Hong, K. J., Tak, Y. R., Kang, H. S., Kim, K. S., Park, H. R., Kwag, W. H., et al. (2002).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women who work in the professional jobs: Nurse and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2, 570-579 

  14. Hur, S. O., Chang, S. S., Koo, J. W., & Park, C. Y. (1996). The assessment of stress betwee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by using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9, 609-616 

  15. Jung, H. S., Kim, H. Y., Lee, H. K., Yi, Y. J., & Kwon, Y. S. (2001).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factor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 93-109 

  16. Kim, Y. G., Yoon, D. Y., Kim, J. I., Chae, C. H., Hong, Y. S., Yang, C. G., et al.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4, 247-256 

  17. Koh, S. B., Son, M., Kong, J. O., Lee, C. G., Chang, S. J., & Cha, B. S. (2003).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6, 103-113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by age, gender group. Retrieved January 15, 2009, from http://www.kosis.kr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a).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trieved January, 15, 2009, from http://www. nso.go.kr/std2006/k07a_0000/k07ab_0000/k07ab_0000.html 

  2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b).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Retrieved January 15, 2009, from http://www.nso.go.kr/std2006/data/KSCO_6_1.hwp 

  21. Krantz, G., Berntsson, L., & Lundberg, U. (2005). Total workload, work stress and perceived symptoms in Swedish male and female white-collar employee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5, 209-214 

  22. Kwon, S. (2003). The study on gender equality in the family by type of employment of married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2, 201-221 

  23. Lee, M. S. (2002). Working environments and working conditions affecting workers' stress symptom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 107-120 

  24. Oh, Y. A., Lee, M. S., & Rhee, K. Y. (2002).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job conditions and stres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4, 301-314 

  25. Parent-Thirion, A., Fernandez Macias, E., Hurley, J., & Vermeylen, G. (2007).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trieved January 10, 2009, from http://www.eurofound. europa.eu/publications/htmlfiles/ef0698.htm 

  26. Park, J., & Lee, N. (2009). First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A compositi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Industrial Health, 47, 50-54 

  27. Park, J. S., Lee, G. H., & Kim, J. H. (2007). Report on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06.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8. Rule of industrial health standard. (2009, January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trieved May 22, 2009, From http://www.law.go.kr 

  29. Virtanen, P., Vahtera, J., Kivima_ki, M., Pentti, J., & Ferrie, J. (2002). Employment security and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6, 569-5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