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Dolittle'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ming Lessons using 'Dolittle' on Logical Thinking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3 no.7, 2009년, pp.1467 - 1474  

권창미 (안동대학교 교육공학과) ,  권보섭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식정보 사회에서 살아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는 능력은 새로운 상황에 당면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이 요구된다. ACM은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래밍언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는 개념 중심이며 차후학습으로의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해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 형성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matters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not that they just know certain facts, but that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novel ideas, apply them and do the problems or the tasks confronting them. This cannot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of mere know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형성을 위해 현재 중학교2학년의 인지발달 수준을 파악한 후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 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에 미치는 효과와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효과를 분석 해 보고자 하였다.
  • 수학, 과학등 여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EPL인 로고와의 차이 점을 살펴 보자.
  •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로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면서 주어진 상황에 따라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체제를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 대상으로6주간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리틀, 프로그래 밍 을 학습한 후 인지 발달 수준 및 논리 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와 논리적 사고의 6가지 하위논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므로,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인지발달수준과 논리 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여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교수 방법에 있어서 '두리틀'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해 채택한 과제는 본 연구자가 선정한 과제이며 수업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시의 수업내용은, 두리틀,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고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 명 령 어를 이해하는 수업이다.
  •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따라 논리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일부로 프로그래밍 의 중요성을인식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따라 논리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일부로 프로그래밍 의 중요성을인식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63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두리틀, 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려면 다음과 같다.
  •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63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두리틀, 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려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혜진, 프로그래밍 기초 능력 배양을 통한아동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2. 길혜민,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dolittle'의 적용과 평가, 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2004 

  3. 현혜경, LOGO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4. 류향미, LOGO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5. 하수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과 그의 비교,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2권 제2호, 1995 

  6. 김경미, 객체지향 언어 두리틀의 수학교육 활용, 고려대학교수학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7. 김경미,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8. 김현재, 피아제의 이론과 임상법 실제, 배영사신서, 1994 

  9. 김동우, 국민학생의 논리적 사고수준과 전류와 자기장의 학습 성취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10. 전현식, 박판우, 초등학생을 위한 비주얼베이식 교육시스템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Vol.7 No.3, pp.299-308, 2003 

  11. 황건수, 설문규, 초등학교 고 학년 아동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언어 재량활동 교재의 개발과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Vol.8 No.1 pp. 149-158, 2003 

  12. 이성근, 박판우,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Visual BASIC 제어문의 웹기반 학습모듈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Vol.8 No.1 pp.386-392, 2003 

  13. 박원길, 이재무, 아동과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 시스템의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Vol.5 No.2, pp.315-322, 2000 

  14.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Final Report of th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 2003 

  15. Roadrangka, V., Yeany, R.H., & Padilla, M. J.,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5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ong, Dallas,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