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사회에서 살아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는 능력은 새로운 상황에 당면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이 요구된다. ACM은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래밍언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는 개념 중심이며 차후학습으로의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해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 형성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지식정보 사회에서 살아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는 능력은 새로운 상황에 당면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이 요구된다. ACM은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래밍언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는 개념 중심이며 차후학습으로의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해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 형성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What matters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not that they just know certain facts, but that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novel ideas, apply them and do the problems or the tasks confronting them. This cannot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of mere knowl...
What matters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not that they just know certain facts, but that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novel ideas, apply them and do the problems or the tasks confronting them. This cannot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of mere knowledge. Computer programming lesson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n general thinking ability, metacognitive aspects, and logical thinking. The ACM has suggested that 8th grade students at the first level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be educated in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LOGO to raise their ability to think logically.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LOGO and BASIC, which are currently used, are helpful in improving the ability to think logically and to solve problems. However these languages lack connectivity with later learning.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Dolittle',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newly developed, using object-oriented notions. Few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effects of 'Dolittle' on the ability to think logic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research didn't lea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However, proportional logic and combinational logic, among the six subcategories of logic,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olittle' programming lessons.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n the processing of solving the problems given, the students learned by themselves and improved their ability to think logically.
What matters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not that they just know certain facts, but that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novel ideas, apply them and do the problems or the tasks confronting them. This cannot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of mere knowledge. Computer programming lesson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n general thinking ability, metacognitive aspects, and logical thinking. The ACM has suggested that 8th grade students at the first level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be educated in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LOGO to raise their ability to think logically.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LOGO and BASIC, which are currently used, are helpful in improving the ability to think logically and to solve problems. However these languages lack connectivity with later learning.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Dolittle',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newly developed, using object-oriented notions. Few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effects of 'Dolittle' on the ability to think logic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research didn't lea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However, proportional logic and combinational logic, among the six subcategories of logic,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olittle' programming lessons.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n the processing of solving the problems given, the students learned by themselves and improved their ability to think logical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형성을 위해 현재 중학교2학년의 인지발달 수준을 파악한 후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 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에 미치는 효과와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효과를 분석 해 보고자 하였다.
수학, 과학등 여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EPL인 로고와의 차이 점을 살펴 보자.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로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면서 주어진 상황에 따라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체제를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대상으로6주간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리틀, 프로그래 밍 을 학습한 후 인지 발달 수준 및 논리 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와 논리적 사고의 6가지 하위논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므로,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인지발달수준과 논리 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여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교수 방법에 있어서 '두리틀'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해 채택한 과제는 본 연구자가 선정한 과제이며 수업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시의 수업내용은, 두리틀,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고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 명 령 어를 이해하는 수업이다.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따라 논리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일부로 프로그래밍 의 중요성을인식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따라 논리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일부로 프로그래밍 의 중요성을인식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소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63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두리틀, 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려면 다음과 같다.
또한 현재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정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63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두리틀, 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중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려면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ACM이 제시한 프로그래밍 교육시기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 6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6주간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리틀, 프로그래 밍 을 학습한 후 인지 발달 수준 및 논리 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와 논리적 사고의 6가지 하위논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므로,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인지발달수준과 논리 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여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GALT 개발자들이 제안한대로, 각 논리의 형성정도는 GALT를 이루고 있는 논리유형을 기준으로 각각을형성(3점 부여), 과도기(2점 부여), 미형성(1점 부여)의세 단계 로 나누었다. 우선 각 논리 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한 답을 1.
이론/모형
본 연구에 사용된 논리 적 사고력 검사 도구는 GALT (Group Assessment of Thinking)의 full Version과 How's your Logic Test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다른 검사지로 검사하였다.
성능/효과
실험집단의 논리적 사고력 사전검사 평균이 1.95, 사후 검사 평균이 2.17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 (.05)에서유의확률 .00으로 논리적 사고력에 있어 평균점수 사이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표 4> 결과에 의해,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집단은 더 높은논리 적 사고력 신장을 보였다.
00으로 논리적 사고력에 있어 평균점수 사이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표 4> 결과에 의해,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집단은 더 높은논리 적 사고력 신장을 보였다.
<표 5>와 같이,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후에 논리적 사고의 하위 논리에 있어 비례논리, 조합 논리에서만 사고력 신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인지발달 수준에 있어서 과도기<형성<미형성 순으로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 즉, 미형성 단계에 있는 학생에 게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미 형 성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에 게 더 많은 향상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집단의 논리적 사고력의 형성 정도는 학습하기 전과 학습한 후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다(t=-3.869, p<.05). 즉, , 두리 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하기 전보다 학습한 후에 높은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보였다.
05). 즉, , 두리 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하기 전보다 학습한 후에 높은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보였다.
하위논리의 형성정도가다르게 나타났다.6개의 하위논리 유형 중 비례논리(t=-5.6OO, p<.05)와 조합논리 (t=-5.799, p<.05)에서만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집 단은 학습하기 전보다 인지 발달 수준에 유의미 한 차이를 검 정 하기 위해 인지발달 수준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변화는 없지 만, 사전검사 결과 과 같이 구체적 조작기 25.4%(16명), 과도기 54.0%(34 명), 형식적 조작기가 20.6%(13명)로 나타났다.
셋째, '두리틀'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후 논리적 사고의 하위논리의 형성정도가다르게 나타났다.6개의 하위논리 유형 중 비례논리(t=-5.
후속연구
따라서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미 형 성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에 게 더 많은 향상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학교2학년에 한정하였고, 6주 동안 6차시 분만의 '두리틀'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인지발달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충분한 영향을 주었으리 라 단정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험 처치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할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험 처치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중학교2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형식적 조작기 입문단계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향후 연구를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이 가장 적합한시기에, 아동의 현재 인지발달수준에 적합한내용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중학교2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형식적 조작기 입문단계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향후 연구를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이 가장 적합한시기에, 아동의 현재 인지발달수준에 적합한내용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두리틀' 프로그래밍이 기존 교육용 프로그래밍도구들과의 구체적인 비교 연구를 통하여 객체지향 '두리틀, 의 차별성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5)
강혜진, 프로그래밍 기초 능력 배양을 통한아동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길혜민,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dolittle'의 적용과 평가, 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2004
현혜경, LOGO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류향미, LOGO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하수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과 그의 비교,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2권 제2호, 1995
김경미, 객체지향 언어 두리틀의 수학교육 활용, 고려대학교수학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김경미,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김현재, 피아제의 이론과 임상법 실제, 배영사신서, 1994
김동우, 국민학생의 논리적 사고수준과 전류와 자기장의 학습 성취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전현식, 박판우, 초등학생을 위한 비주얼베이식 교육시스템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Vol.7 No.3, pp.299-308, 2003
황건수, 설문규, 초등학교 고 학년 아동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언어 재량활동 교재의 개발과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Vol.8 No.1 pp. 149-158, 2003
이성근, 박판우,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Visual BASIC 제어문의 웹기반 학습모듈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Vol.8 No.1 pp.386-392, 2003
박원길, 이재무, 아동과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 시스템의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Vol.5 No.2, pp.315-322, 2000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Final Report of th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 2003
Roadrangka, V., Yeany, R.H., & Padilla, M. J.,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5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ong, Dallas, 198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