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타당성 분석 및 교수모형 설계
Feasibility Analysis and Curriculum Design for the Business Simulation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8, 2009년, pp.309 - 323  

이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박진명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은 경영학 교육에 응용되는 교육용 게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교수방법으로 기업경영활동을 유사하게 모의화 하여 가상기업들을 경영하면서 경영학 지식, 경영관리 능력, 그리고 문제 해결 능력을 체험하며 학습하는 경영교육 도구로써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수업 타당성 분석교수모형의 설계를 목적으로 이뤄졌으며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 교육과정의 대학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사전 단계의 연구로써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동향과 연구현황 조사, 필요성 인식 조사 및 수업 가능성에 관한 문헌조사 그리고 대학 학부생과 기업체 임원에 대한 설문 수요조사 및 분석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산업계와 대학교육에서의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문헌조사와 수요조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의 경영교육을 위한 경영 시뮬레이션 학습의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교수모형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siness simulation learning is a business education method of the software applications that applied for the university's management training. Its interest is increasing as management training tools to simulate the virtual enterprise and to learn the business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skills...

Keyword

참고문헌 (19)

  1. W. Bielecki, "A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a simulation business game," Simulation and gaming yearbook, Vol.1, p.138, 1993. 

  2. M. C. Angelides and R. J. Paul, "Developing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a business simulation game," Simulation Practice and Theory, Vol.1, pp.109-135, 2003. 

  3. T. F. Burgess, "An Expert System to Assist with Strategy Support During a Business Simulation Game," Proceeding of the annual conference-reading association of IRELAND, pp.283-284, 1994. 

  4. T. Laakso, J. Hakamaeki, K. Forsberh, and R. Smeds, "Process assessment and simulation games-methods and software supported tools in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Reengineering the enterprise, AMFM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p.302-311,1995. 

  5. M. Forssen and P. Haho, "Participative development and training for business processes in industry: review of 88 simulation gam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 Journal international de la gestion technologique, Vol.22, No.1/3, 2001. 

  6. D. Fritzsche, "Playing the business policy game: an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simulation," International simulation and gaming yearbook-New series, Vol.11, pp.112-115, 2003. 

  7. H. Klandt, "Teaching experiences using a business simulation game as a too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nationaliz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FGF ENTREPRENEURSHIP RESEARCH MONOGRAPHIEN, pp.192-200, 1993. 

  8. R. Smeds, "Tailored simulation games for business process development: comparison of two cases," Proceedings of the triennial congress-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pp.115-117, 1997. 

  9. B. A. Walters, T. M. Coalter, and A. M. A. Rasheed, "Simulation games in business policy courses: Is there value for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Vol.72, No.3, pp.170-174, 1997. 

  10. L. A. Myers, "Group (Team) Assignment for the Business Policy Simulation Game,"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Western Decision Sciences Institutes, Western Decision Sciences Institute, pp.122-123, 1998. 

  11. L. A. Myers, "An Evaluation of Two Business Simulation Games for the Business Policy and Strategy Course," Proceeding of The Annual Meeting-Western Decision Sciences Institutes, Western Decision Sciences Institute, p.142, 1999. 

  12. J. Chang, "Use of business simulation games in Hong Kong," Simulation & gaming, Vol.34, No.3, pp.358-366, 2003. 

  13. J. Chang, M. Lee, and K. Ng, K. Moon, "Business simulation games: The Hong Kong experience," Simulation & gaming, Vol.34, No.3, 2003. 

  14. 김광용, 이재호, 이승렬, "인트라넷을 이용한 경영 모의 게임의 활용 및 효과", 한국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68-70, 1997. 

  15. 김광용, "인터넷을 이용한 효과적인 원격 수업의 운영, 경영 모의 게임을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제8권, pp.126-144, 1998. 

  16. 김영곤, "Business simulation game, 전략 경영 교육의 전략화", 한국 전략 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19-25, 2003. 

  17. 김상수, 김형섭, 배용환, "경영교육을 위한 경영 모의게임의 활용방안 -Biz-Master 개발 과정 및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54-64, 2004. 

  18. 김상수, "경영 교육을 위한 모의 게임의 활용 방안",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7권, 제1호, pp.41-63, 2005. 

  19. 김상수, 임성택, "경영 모의 게임의 교육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8권, 제2호, pp.173-189,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