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Open-Structur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09년, pp.21 - 32  

강연주 ((주)우리엔디자인펌) ,  박종완 ((주)우리엔디자인펌)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광장이 단순히 공동주택 거주자들만을 위한 내적이고 자기 완결형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 활성화된 열린 공간으로써 그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이 갖는 심리적 접근성,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에 각각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개방성과 접근성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거리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중앙광장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린 정도에 따라 이를 열린 구조와 닫힌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 지역 안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신림 푸르지오와 방학 대상타운 현대, 그리고 관악 푸르지오와 방학 삼성 래미안 1단지를 대상지로 선정, 각각 공동주택 거주자들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두 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총 여덟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의 측정 등을 실시한 결과 위의 연구 가설들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에서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개방성과 접근성이 높은 경우 지역 공동체의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성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지역 공동체의식이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구체적인 대상지를 통해 분석,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향후 실천적인 중앙광장의 계획과 조성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een broken up due to urban residence re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Central squares do not simply function as inner-aiming and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적 특성과 이용 행태의 조사,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의 측정과 중앙광장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 및 대상지 주변 지역 거주자들의 심리적 접근성 조사 등을 포함한다 사회 . 경제적 특성 조사는 지역 주민들의 성별, 나이, 학력, 주거의 유형 및 소유 형태, 자녀수 등에 관한 것이며, 주변지역 거주자의 경우 대상지 중앙광장으로의 물리적인 접근 시간 또한 조사 항목에 포함된다 그리고 중앙광장의 방문횟수, 동행인, 지역의 인식 범위에 대한 조사 등을 통해, 중앙광장의 활성화 정도와 이용 행태 등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는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이 실질적으로 조성되기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복합적이고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와 직접적인 실행의 과정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거주자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측정하여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심리적 거부감의 원인에 대한 조사도 함께 하여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와 심리적 개방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하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상지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중앙광장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은 이들이 접근하는 데에 따른 심리적 거부감을 측정하여 진행하고, 이에 대한 이유 역시 조사 항목에 포함한다.
  • 본 연구는 주택 재개발지역의 공동주택 건설로 인해 파괴되고 해체된 기존 도시의 맥락과 지역 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대안의 하나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의 차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공동주택의 내부 완결형 배치 구조와 단지 경계부의 차단, 그리고 외부인의 출입 통제 등을 통해 그들만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하는 기존의 계획 방법에 대한 문제제기이며, 공동주택 중앙광장이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모색이다
  • 내.외부의 유기적인 연계를 도모하기 위한 요소로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의 차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입지적 특성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정도에 따라 지역 공동체의식이 변화함을 실질적으로 검증하여, 공동주택의 계획과 설계를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후의 보다 심도 있는 공동체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의 열린 외부 공간 계획 기법을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 차이에 의한 단지 내. 외부지역 주민들의 의식 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그리고 물리적 환경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외부의 유기적인 연계를 도모하기 위한 요소로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의 차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입지적 특성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정도에 따라 지역 공동체의식이 변화함을 실질적으로 검증하여, 공동주택의 계획과 설계를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후의 보다 심도 있는 공동체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의 열린 외부 공간 계획 기법을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 차이에 의한 단지 내. 외부지역 주민들의 의식 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그리고 물리적 환경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증진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주택 재개발지역의 공동주택 중앙광장에 주목하며, 또한 공동주택.외부의 유기적인 연계를 도모하기 위한 요소로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의 차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는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이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에 영향을 주고, 또한 공동주택 주변 지역 거주자들의 심리적 접근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첫 번째 연구 가설을 뒷받침한다.
  •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공동주택 거주자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의 심리적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중앙광장이 열린 구조일수록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심리적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은정, 이경환, 안건혁(2006)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7(4): 77-86 

  2. 김경준, 김성수(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지 23(2): 211-232 

  3. 김광복, 남진(2005)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 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0(7): 73-86 

  4. 김대현(2004) IMF 기간 일간신문 분양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단지 옥외 공간의 차별화 내용 및 요소. 한국조경학회지 32(4): 71-82 

  5. 김진숙(2005) 리더 팔로워간 심리적 거리와 리더십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남용훈, 신중진(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3): 5-18 

  7. 민병호, 염승준, 이지욱, 이종민(2006) 공동주택 외부공간 중 커뮤니티행위 장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 39-47 

  8. 박경옥(2007)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 및프로그램 고찰. 생활과학연구논총 10(2): 113-129 

  9. 박태동(2005)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배성지, 김병호, 윤정근, 유길준(1997) 아파트 공동생활공간 구성과 근린교제수준에 관한 연구: 공용시설과 주동출입방식의 차이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1): 83-88 

  11. 신중진, 김희경(2008)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연구: 공동주택개발방식 주거환경개선사업 현상설계 당선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3): 61-68 

  12. 안건용, 조정송, 임승빈, 김귀곤(1980) 우리나라 아파트 단지의 문제점분석 및 조경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5(2): 253- 273 

  13. 이규목(1998) 해방 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1-14 

  14. 이규인, 이재준, 황경희(1994) 주거단지 공동체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기법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5. 이혁준, 이문섭(1999) 아파트 단지의 공동생활공간 시설 개선을 위한모형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인천 연수지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 51-56 

  16. 임승빈(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친인간적 환경설계연구. 서울: 도서출판 보문당 

  17. 정수복(1995) 공동체의식과 시민운동. 서울: 공보처 

  18. 정수복(2002) 시민의식과 시민참여: 문명전환을 꿈꾸는 새로운 시민운동.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19. 정재헌(2003) 불량주택 재개발아파트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채서일, 김범종(1998) SPSS/PC+를 이용한 통계분석. 서울: 법문사 

  21. 최두호, 이주형(2006) 도시조직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공동주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강일2지구 공동 주택 현상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7(6): 149-157 

  22. 최열, 공윤경(2007) 공동주택 단지설계요소 및 거주자 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5): 83-90 

  23. Bell, P. A., J. D. Fisher and R. J. Lomis(1978) Environmental Psyc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 Company 

  24. Glynn, T. J.(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 780-818 

  25. Mcmillan, D. W. and D. M. Chavis(1986)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of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26. Sarason, S. B.(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erspectives for a Community Psychology, San Francisco: Jossey- Bass. 

  27. http://www.dshdapt.com 

  28. http://earth.google.com 

  29. http://www.r114.co.kr 

  30. http://www.raemian.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