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고추가루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Red Pepper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289 - 1294  

권혁세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개발센터) ,  신현경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개발센터) ,  권상오 ((주)에스엔디) ,  여경목 ((주)에스엔디) ,  김상무 ((주)에스엔디) ,  김복남 (한림성심대학 관광외식조리과) ,  김진경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향신료로서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고추가루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토해보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은 LPS 처리에 의한 NO$PGE_2$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O의 생합성효소인 iNOS 단백질의 발현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생성억제 효과도 탁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고추의 수용성 추출물이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반응의 매개물질인 NO, $PGE_2$, IL-6의 생성을 억제함으로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항염증 활성을 갖는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의 성분을 동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추가 식품유래의 항염증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 유용한 식품자원 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lammation is a pivotal component of a variety of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and tumour progression. Various naturally occurring phytochemicals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re considered to be potential drug candidates against inflammation-related pathological processes. Red pep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 계에서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 (aqueous extract from red pepper, RPAE)이 염증반응의 매개물질들의 생성억제에 관여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고추의 수용성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 대식세포는 병원체 등으로 인한 염증반응 시에 NO와 같은 활성산소종 및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초기에 생체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16-20). 본 연구에서는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갖는 지를 검토하기 위해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세포를 선택하여 in vitro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RPAE가 RAW264.
  • 본 연구의 목적은 향신료로서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고추가루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토해보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은 LPS 처리에 의한 NO 및 PGE2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O의 생합성효소인 iNOS 단백질의 발현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러한 가운데본 연구는 고추의 수용성 추출물인 RPAE(1,000 μg/mL)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다양한 인자(NO, PGE2, IL-6)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고추의 수용성 성분이 다양한 염증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고추가루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향신료로서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고추가루 수용성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토해보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은 LPS 처리에 의한 NO 및 PGE2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O의 생합성효소인 iNOS 단백질의 발현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생성억제 효과도 탁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고추의 수용성 추출물이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반응의 매개물질인 NO, PGE2, IL-6의 생성을 억제함으로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항염증 활성을 갖는 홍고추가루의 수용성 추출물의 성분을 동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추가 식품유래의 항염증 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 유용한 식품자원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고추에는 다량의 vitamin C와 E를 함유하고 있어 vitamin의 주요 공급원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1,2), provitamin A와 carotenoid로 기인한 항산화작용은 익히 알려져 왔다(3,4).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주요성분인 capsaicin의 항비만 효과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으며(5), 전통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편두통, 대상포진, 비염 등의 신경성 장애 치료나 근육통의 완화 제로 사용되고 있다(6-8). 또한 선행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capsaicin은 간암, 위암, 골수암 등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강력한 항암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13).
염증이란? 염증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와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이다(14). 염증반응은 선천성 면역반응의 일부로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함으로부터 시작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aood HG, Vinkler M, Markus F, Hebshi EA, Biacs PA. 1996. Antioxidant vitamin content of spice red pepper (paprika) as affected by technological and varietal factors. Food Chem 55: 365-372. 

  2. Krinsky NI. 1994.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carotenoids. Pure Appl Chem 66: 1003-1010. 

  3. Krinsky NI. 2001. Carotenoids as antioxidants. Nutrition 17: 815-817. 

  4. Matucci CM, McCarthy G, Lombardi A, Pignone A, Partsch G. 1995. Neurogenic influences in arthritis: potential modification by capsaicin. J Rheumatol 22: 1447-1449. 

  5. Diepvens K, Westerterp KR, Westerterp-Plantenga MS. 2007. Obesity and thermogenesi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caffeine, ephedrine, capsaicin, and green tea.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92: R77-85. 

  6. Sicuteri F, Fusco BM, Marabini S, Campagnolo V, Maggi CA, Geppetti P, Fanciullacci M. 1989. Beneficial effect of capsaicin application to the nasal mucosa in cluster headache. Clin J Pain 5: 49-53. 

  7. Watson CP, Evans RJ, Watt VR. 1988. Post-herpetic neuralgia and topical capsaicin. Pain 33: 333-340. 

  8. Kang SN, Chung SW, Kim TS. 2001. Capsaicin potentiates 1,25-dihydoxyvitamin $D_3-$ and ATRA-induced differentiation of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Eur J Pharmacol 420: 83-90. 

  9. Zhang J, Nagasaki M, Tanaka Y, Morikawa S. 2003. Capsaicin inhibits growth of adult T-cell leukemia cells. Leuk Res 27: 275-283. 

  10. Palevitch D, Craker LE. 1995. Nu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red pepper (Capsicum spp.). J Herbs Spices Med Plants 3: 55-83. 

  11. Ito K, Nakazato T, Yamato K, Miyakawa Y, Yamada T, Hozumi N, Segawa K, Ikeda Y, Kizaki M. 2004. Induction of apoptosis in leukemic cells by homovanillic acid derivative, capsaicin, through oxidative stress: Implication of phosphorylation of p53 at ser-15 residue by reactive oxygen species. Cancer Res 64: 1071-1078. 

  12. Kim JD, Kim JM, Pyo JO, Kim SY, Kim BS, Yu R, Han IS. 1997. Capsaicin can alter the expression of tumor forming- related gene which might be followed by induction of apoptosis of a Korean stomach cancer cell line, SNU-1. Cancer Lett 120: 235-241. 

  13. Mori A, Lehmann S, O'Kelly J, Kumagai T, Desmond JC, Pervan M, McBride WH, Kizaki M, Koeffler HP. 2006. Capsaicin, a component of red peppers, inhibits the growth of androgen-independent, p53 mutant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Res 66: 3222-3229. 

  14. Tizard IR. 1986. Immunology: an introduction inflammation. 2nd ed. Saunders College Pubulishing, New York, NY, USA. p 423-441. 

  15. Lawrence T, Wiilloughby DA, Gilroy DW. 2002.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o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 787-795. 

  16. Higuchi M, Hisgahi N, Taki H, Osawa T. 1990.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17. Laflamme N, Rivest S. 2001. Toll-like receptor 4: The missing link of the cerebral innate immune response triggered by circulating gram-negative 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FASEB J 15: 155-163. 

  18. Willeaume V, Kruys V, Mijatovic T, Huez G. 1996.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Inflamm 46: 1-12. 

  19. Iontcheva I, Amar S, Zawawi KH, Kantarci A, Van Dyke TE. 2004. Role for moesi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signal transduction. Infect Immun 72: 2312-2320. 

  20. Baud V, Karin M. 2001. Signal transduct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nd its relatives. Trend Cell Biol 11: 372-377. 

  21. Park JY, Kawada T, Han IS, Kim BS, Goto T, Takahashi N, Fushiki T, Kurata T, Yu R. 2004. Capsaicin inhibits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by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RAW 264.7: a PPARgamma ligand- like action as a novel mechanism. FEBS Lett 572: 266-270. 

  22. Kim CS, Kawada T, Kim BS, Han IS, Choe SY, Kurata T, Yu R. 2003. Capsaicin exhibits anti-inflammatory property by inhibiting IkB-a degradation in 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s. Cell Signal 15: 299-306. 

  23. Oboh G, Rocha JB. 2008. Hot pepper (Capsicum spp.) protects brain from sodium nitroprusside- and quinolinic acid-induced oxidative stress in vitro. J Med Food 11: 349-3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