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오디쌀이 흰쥐의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지질 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336 - 1341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  최상윤 (한국식품연구원) ,  박주헌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성형 뽕잎오디혼합쌀 개발과 관련하여 당뇨유발쥐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뽕잎오디쌀이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당실험에서 뽕잎오디쌀조성물은 곡류와 잡곡류 등 85%, 뽕잎과 오디즙 15%로 구성하였고, AIN-diet와 50:50 비율로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결과 뽕잎오디쌀 급여군은 당뇨대조군보다 실험종료 시 체중은 28% 증가한 반면 공복혈당치는 12.4%,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34% 감소하였다(p<0.05). 지질실험의 경우 4주 동안 고지방식이(50%)와 뽕잎오디쌀조성물(50%)의 혼합식이와 고지방식이(50%)와 기본식이(50%)의 혼합식이를 급여한 결과 뽕잎오디쌀 급여군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체중과 체지방(EFP)이 각각 8%씩 낮았고,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약 19% 감소하였다(p<0.05). 이상에서 뽕잎오디쌀식이는 혈당저하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성은 없었으나 다소간 체중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Sprague-Dawley male rats for 4 weeks. Mulberry rice diet was prepared with mixture of 50% of purified AIN-diet and 50% of formulated rice consisting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재성형 뽕잎오디혼합쌀 개발과 관련하여 혼합쌀을 조리했을 때 쌀밥과 유사한 조직감을 주면서 이질감을 주지 않도록 조성물 중의 뽕잎과 오디 첨가량을 각각 10%, 5%로 조절하여 혼합쌀을 제조하고 당뇨유발쥐와 고지방식을 급여한 흰쥐에게 뽕잎오디쌀이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지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능성 혼합쌀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재성형 뽕잎오디혼합쌀 개발과 관련하여 당뇨유발쥐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뽕잎오디쌀이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당실험에서 뽕잎오디쌀조성물은 곡류와 잡곡류 등 85%, 뽕잎과 오디즙 15%로 구성하였고, AIN-diet와 50:50 비율로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결과 뽕잎오디쌀 급여군은 당뇨대조군보다 실험종료 시 체중은 28% 증가한 반면 공복혈당치는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오디는 어떤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었는가? 유효성분으로는 flavonoids, stilbenes, prenylflavonoids, coumarin 등이 보고되었다(6). 한방에서 오디는 상심, 상실(桑實), 오심 등으로 불리며, 소갈(消渴)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생리활성과 관련한 연구로는 오디의 항당뇨효능(2), 꾸지뽕나무의 과산화지질 억제효과(4),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작용(5), 쥐 적출 대동맥의 수축 및 이완작용에 미치는 효과(7) 등이 있다.
뽕나무의 유효성분으로는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는 열대지방에서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식물자원으로 예로부터 뽕잎과 그 열매인 오디는 항당뇨, 항염증, 항고지혈을 위한 식용 혹은 약용자원으로 이용되어왔다(1-5). 유효성분으로는 flavonoids, stilbenes, prenylflavonoids, coumarin 등이 보고되었다(6). 한방에서 오디는 상심, 상실(桑實), 오심 등으로 불리며, 소갈(消渴)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Anthocyanin 색소의 생리활성은 무엇인가? 오디는 주로 anthocyanin 계통의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cyanidin-3-glucoside와 cyanidin-3-rutinoside가 주요성분이며 그 비율은 7:3 정도로 분포한다. Anthocyanin 색소는 노화억제, 당뇨병성 망막장애의 치료, 시력개선효과 및 항산화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이외에도 오디에 존재하는 영양성분은 일반 과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고, 특히 Ca, K 및 비타민 C 함량은 후지사과에 비해 각각 14배, 2배, 18배 높고, 감귤에 비해 비타민 C 함량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achii H, Koyama A, Yamanouchi H. 2000. Mulberry breeding, cultivation and utilization in Japan. FAO Electronic Conference Mulberry for Animal Production. http://www.fao.org/livestock/agap/frg/mulberry. 

  2.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 Sci 38: 100-107. 

  3. Kim SY, Park KJ, Lee WC. 198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6: 204-209. 

  4. Park JC, Choi JS, Choi JW. 1995. Effects of the fractions from the leaves, fruit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flavonoids on lipid per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6: 377-384. 

  5.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 Sci 43: 104-108. 

  6. Oh H, Ko EK, Jun JY, Oh MH, Park SU, Kang KH, Lee HS, Kim YC. 2002.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enylflavonoids, coumarin and stilbene from Morus alba. Planta Med 68: 932-934. 

  7.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ean Soc Hort Sci 38: 722-724. 

  8. Hong V, Wrolstad RE. 1990. Use of HPLC separation/photodiode array detection for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 J Agric Food Chem 38: 708-715. 

  9. Yu SM, Choi CM. 1998.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mulberry fruit.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0. Shin DH. 1998. Antioxidative substances in mulberry leaves. J Korean Oil Chemist's Soc 16: 27-31. 

  11.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i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s. J Nutr 123: 1939-1951. 

  12. Niall MG, Rosaleen AM, Daphne O, Patrick BC, Alan HJ, Gerald HT. 1990. Cholesterol metabolism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Diabetes 39: 626-636. 

  13. Preston AM, Tome J, Morales JJ, Milan L, Cuevas AA, Medina J, Santiago JA. 1991. Diabetic parameters 58 weeks after injection with streptozotocin in rats f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fiber, mineral and vitamin. Nutr Res 11: 895-906. 

  14. Kim MH, Kim HY, Kim WK, Kim JY, Kim SH. 2001. Effects of soy oligosaccharides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4: 3-13. 

  15. Lee WC, Kim SE, Han SJ, Yun SC. 1993. Effect of number of days after urea foliar spray on mulberry leaf components and silkworm. Korea J Seric Sci 35: 86-88. 

  16.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Pharmacogn 30: 123-129. 

  17. Chung SH, Yu JH, Kim EJ, Ryu KS. 1996.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silkworm. Bull K H Pharma Sci 24: 95-100. 

  18. Jang MJ, Rhee SJ. 2004. Hypoglyci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11-1617. 

  19. Oh UJ, Kim GP, Cho YW, Chung SH, Gu SJ. 1999. Effect of beverage containing extract from mulberry leaves on serum glucose and lipid levels in db/db mouse. Annual Meeting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p 430. 

  20. Avram AS, Avram MM, James WD. 2005. Subcutanous fat in normal and diseased status: 2. Anatomy and physiology of white and brown adipose tissue. J Am Acad Dermatol 53: 671-683. 

  21. Chen F, Nakashima N, Kimura I, Kimura M. 1995. Hypoglycem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folium mori) and cortex mori radici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Yakugaku Zasshi 115: 476-482. 

  22. Inkeles S, Eisenberg D. 1981. Hyperlipidemia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Medicine (Baltimore) 60: 110-123. 

  23. Manninen V, Tenkanen L, Koskinen P, Huttunen JK, Manntari M, Heinonen OP, Frick MH. 1992. Triglycerides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 the Helsinki Heart Study. Circulation 85: 37-45. 

  24. Cha JY, Cho YS.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74-279. 

  25. Matsumoto N, Okushio K, Hara Y. 1998. Effect of black tea polyphenols on plasma lipids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44: 337-342. 

  26.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 induced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27. Doi K, Kojima T, Harada M, Horiguchi Y, Hujimoto Y. 1999. Effect of various fractions extracted from mulberry leaves on lipid metabolism in rabbit fed a cholesterol diet. J Jpn Soc Nutr Food Sci 52: 85-90. 

  28. Ascaso JF, Fernandez-Cruz A, Gonzalez SP, Hernandez MA, Mangas RA, Millan J, Felipe PL, Pedro-Botet J, Perez-Jimenez F, Pia G, Pinto X. 2004. Significance of HDL-cholesterol in cardiovascular risk prevention: recommendations of the HDL forum. Am J Cardiovasc Drugs 4: 299-314. 

  29. Lee JS, Lee MK, Ha TY, Bok SH, Park HM, Jeong KS, Woo MN, Do GM, Yeo JY, Choi MS. 2006. Supplementation of whole persimmon leaf improves lipid profiles and suppresses body weight gain in rats fed high-fat diet. Food Chem Toxicol 44: 1875-1883. 

  30. Jang JY, Choi HY. 2003.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ligosaccharide on the blood lipids, abdominal adipose tissues and leptin levels in the obese rats. Korean J Nutr 36: 437-445. 

  31. Schulz H. 1987. Inhibitors of fatty acid oxidation. Life Sci 40: 1443-1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