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 급식시설.설비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Equipment at Kindergarten Foodservice Establishm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457 - 1465  

이혜연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치원 급식소 위생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대구 경북지역 유치원 급식소를 대상으로 급식시설 설비 및 조리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2008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급식소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의 한계관리기준을 초과하여 관리되고 있다고 분석된 항목은 전처리용 칼, 조리용 칼, 조리용 도마, 전처리용 작업대, 조리용 작업대, 냉장고(안), 바트, 바구니, 식판 등 총 9개 항목이었다. 이 중 부적합율이 높은 항목은 조리용 도마(37.5%), 조리용 작업대(37.5%), 전처리용 작업대(33.3%)의 순이었다. 조사대상 유치원 급식소의 모든 검체에서 대장균과 리스테리 아균,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B 급식소의 조리용 고무장갑과 트렌치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조사대상 급식소의 공중낙하균 검사결과 일반세균수는 관리권고기준 이하로 적합한 수준이었고,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검사구역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곳의 급식소 조리실에서 진균수가 관리권고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유치원의 급식관리자는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부적합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분석된 전처리용 칼, 조리용 칼, 조리용 도마, 전처리용 작업대, 조리용 작업대, 냉장고(안), 바트, 바구니, 식판, 음용수, 조리용 고무장갑, 트렌치 등 총 12개 항목에 대한 위생관리를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조사대상 급식소의 위생관리 현장심사 평가 결과 양호하다고 평가된 항목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한계관리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급식소의 위생관리 평가 시 현장심사와 함께 주요한 미생물 수준 부적합 항목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유치원 급식소의 위생관리 수준 개선을 위해 급식소 운영 특성을 고려한 위생관리지침서를 개발 보급하고 급식관리자는 최종 조리음식에 대한 교차 오염과 식중독균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관리지침서를 올바르게 적용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급식소 환경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조리시설 설비의 미생물수준 및 공중낙하균에 대한 한계관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oo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and to provide data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food safety management at kindergarten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08 at th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위생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유치원 급식소의 시설과 설비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여 유치원 급식소 위생관리의 문제점을 과학적으로 판명하고 위생관리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원 급식에서 위생관리가 더욱 중요해지는 이유는 누구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인가? 유치원의 공간부족 등으로 식당시설이 없어 교실에서 배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배식 시 위생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7). 특히 면역체계가 성숙되지 않은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한 급식에서의 위생관리는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 된다(8-10). 그러나 유치원 급식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유치원 급식관리 실태 조사의 일환으로 위생관리 항목을 일부 조사하였거나(4,5,10,11), 위생관리에 대한 영유아 급식소 관리자의 인식도 조사(12) 및 일부 지역 영유아 급식소 위생관리 현장심사(13)에 대한 연구가 일부 있을 뿐 유치원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유아교육진흥정책으로 인해 교육시설의 운영 프로그램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1980년대 이후 유아교육진흥정책으로 인해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교육시설의 프로그램 운영이 종일제, 연장제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유치원에서 유치원생에게 점심식사나 간식을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유치원 급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게 되었다(1,2).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언제 이후 양적으로 성장하였는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1980년대 이후 유아교육진흥정책으로 인해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교육시설의 프로그램 운영이 종일제, 연장제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유치원에서 유치원생에게 점심식사나 간식을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유치원 급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게 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Yoon JJ, Ahn JK, Kim JY. 2008. A survey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and young children by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Assoc Human Ecology 17: 413-423. 

  2. Lee KH, Park DY, Lee IY, Hong JY, Choi BC, Bae SS. 2001. The survey o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Korean J Diet Assoc 7: 167-174. 

  3. 교육과학기술부. 2007. 유치원 급식현황. http://www.mest. go.kr. 2008년 2월 검색. 

  4. Lee BS. 2006. The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Ansan. Korean J Food and Nutr 19: 435-447. 

  5. Chang HJ, Park YJ, Ko ES. 2008. Current and future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Diet Assoc 14: 229-242. 

  6. Lee YM. 2005. The different view of child education center food service program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Korean J Comm Nutr 10: 654-667. 

  7. Choi KY, Lee HS, Kim EH. 2005. Meals services and young children's eating habit guidance by kindergarten types.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10: 337-360. 

  8. Min JH, Lee YK. 2004.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foodservice of a HACCP system in day-care-center foodservice operations I. Focus on heating process and after- 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Soc 37: 712-721. 

  9. Lee YM, Oh YJ. 2005. A study on kindergarten's meal service program and children's food intake. Korean J Nutr Soc 38: 232-241. 

  10. Ch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Early Childhood Education 23: 261-284. 

  11. Kwak TK, Lee HS, Yang IS, Kim SH, Moon HK. 1991. Assessment of nutritional adequac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 served in day-care centers. Korean J Soc Food Sci 7: 111-118. 

  12. Park HS, Lee KM, Seol HR, Park KH, Ryu K.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manager's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Korean J Comm Nutr 14: 87-99. 

  13. Bae HJ, Lee HY, Rye K. 2009.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60-673. 

  14.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2009.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2-260. 

  15. Kwak TK, Lee TM, Lee KE, Hong WS. 2006. The preschool foodservice efficient operation system construction plan research. Kyonggi-do office of education politic research subject. p 322-370. 

  16. Staskel DM, Margaret EB, Leanne HF, Suzanne SB. 2008. Microbial evaluation of foodservice surface in texas child-care center. J Am Diet Assoc 107: 854-859. 

  17. 교육과학기술부. 2004.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p 120-121. 

  18. 법제처. 2008. 식품위생법. http://www.moleg.go.kr. 2008년 2월 검색. 

  19.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선행요건관리프로그램. http://www. kfda.go.kr. 2008년 2월 검색 

  20. 법제처. 2008. 유아교육법. http://www.moleg.go.kr. 2008년 2월 검색. 

  21. Paulson DS. 1992. Evaluation of three hand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and Envir Sanit 12: 165-173. 

  2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공전. http://www.kfda.go.kr. p 213-250. 

  23. Harrigan WF, McCane ME. 1976. The examination of food processing plants. In Laboratory of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UK. p 231-236. 

  24. Park SJ, Ha GS, Shim WB, Park MK, Chung DW. 2003. Envir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 at elementary school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18: 14-24. 

  25. Bae HJ, Chun HJ. 2003.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s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ic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31-240. 

  26. Kwon SH, Lee HO, Chung DH, Shin WS, Om AS. 2003.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the elementary food 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647-658. 

  27. Bae HJ. 2001. Survey on sanitation practice and the analysis of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in food service operation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22-133. 

  28. Stauffer LD. 1971. Sanitation and the human ingredient. Hospital 45: 62-67. 

  29. Bae HJ. 2006.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55-660. 

  30. Park HK, Kim KL, Shin HW, Kye SH, Yoo WC. 2000.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J Fd Hyg Safety 15: 315-323. 

  31. Santana NG, Almedia RC, Ferreria JS, Almedia PF. 2008.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of meals served to children and adoption of food manufacturing practices in public school catering in Brazil. Food Control 10: 1-7. 

  3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공중낙하균 관리기준. http://www. khidi.or.kr. 

  33. Kang YJ, Frank JK. 1989. Biological Aerosols: A review of airborne contamination and its measurement in dairy processing plants. J Food Prot 52: 512-517. 

  34. 강영재. 1990. 식품오염원으로서의 공중부유 미생물의 특성과 그 측정.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8: 7-10. 

  35. Kim JG. 2003.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ean J Env Health 29: 87-93. 

  36. 강영재, 곽동경. 2001. HACCP 일반위생관리기준관련 적용단체급식업소의 시설모델개발 연구. 2001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용역개발사업 최종보고서. p 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