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의 확산강조 영상에서 b-value의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에 관한 비교 분석 : 확산강조 에코평면영상($T_2^*$ 및 FLAIR)기법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Signal Intensity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t Varying b-values in the Brain : Diffusion Weighted-Echo Planar Image ($T_2^*$ and FLAIR) Sequence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2 no.3, 2009년, pp.313 - 323  

오종갑 (첨단종합병원 영상의학과) ,  임중열 (남부대학교 디지털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확산강조영상 (diffusion weighted image, DWI)은 급성 뇌경색, 뇌종양, 뇌백질 질환, 뇌 막질의 확산 정도 등 여러 뇌질환의 진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sim}60$대 환자들의 뇌를 대상으로 두 기법간의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확산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 평균값은 편도체부 (amygdala)가 가장 높고,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에서 가장 낮았다. 현성확산계수의 평균값은 뇌척수액이 높고, 교뇌 (pons)가 낮게 측정되었다. 확산강조 신호강도와 현성확산계수의 평균값은 $T_2^*$-DW-EPI 기법이 FLAIR-DW-EPI 기법보다 높고, b-value의 변화에 따른 평균값은 두 기법의 b-value에 모두 반비례하였다. 또한 뇌경색환자의 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분석결과, 초급성뇌경색 환자의 일반적인 MR 영상에서는 병변부분이 명확하지 않았으나 확산강조영상에서는 고신호강도로 나타났다. 출혈성 뇌경색, 급성 뇌경색 등 여러질환별로 분석한 결과 그 두 기법의 특성에 따라 신호강도의 값이 차이가 클수록 현성확산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 질환이 자주 발생되는 부위와 뇌 질환의 확산강조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 값은 b-value의 변환과 영상기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량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안정적인 기법과 적절한 b-value 값을 이용하여 검사를 한다면 여러 뇌의 질환 및 병변 등을 발견, 판독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상부위나 질환에 따른 기법별 신호의 인지를 통한 정확한 질병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practical method for the diagnosis of various brain diseases such as acute infarction, brain tumor, and white matter disease. In this study, we used two techniques to examine the average signal intensity (SI) and apparent diffusion coef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뇌 부위별 및 뇌 질환을 b-value의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ADC :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부위별 두 기법 간의 신호차이와 확산의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라운 운동이란 무엇인가?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은 기체, 액체, 고체 등 모든 분자의 내부 에너지에 의한 끊임없는 운동 즉, 병진(translational), 진동(vibrational), 회전(rotational) 운동(motion)등을 말하며, 그러한 운동에 의해 충돌(collision), 반동(rebound), 전향(change in direction)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게 된다1).
확산강조영상에서 신호생성의 근원이 되는 확산운동은 어떠한 조건에서 잘 일어나는가?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 DWI)에서 신호생성의 근원이 되는 확산운동은 물리학적으로 액체 상태의 분자가 매우 불규칙한 운동(microscopic random translating motion, Brownian motion)을 하는 것으로 분자가 위치한 물리학적 환경 즉, 분자구조, 점도, 온도 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액체조직이거나 점도가 낮거나 온도가 높을수록 잘 일어난다2-4).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사자장 외에 무엇을 추가로 사용하는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조직 내 물 분자의 확산운동에 의한 신호 감소를 영상화 하는 방법으로 병변에 의해 변화된 인체 내 조직의 특성을 비침습적으로 정량적인 값을 얻을 수 있고 영상화 할 수 있다2,5,6).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사자장 외에 매우 강한 한쌍의 확산강조 경사자장을 추가로 사용한다. 확산운동으로 그 위치가 이동된 양자들은 그로 인해 발생한 위상차만큼 신호가 감소하는 것이며, 분자의 미세한 열 병진 운동(random thermal translational motion) 즉, 확산에 의한 비결집 위상변이로 생기는 신호감소를 극대화하여 영상화 할 수 있다5,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kin.naver.com/db/detail.php $Copyright{\copyright}$ NHN Corp. All Rights Reserved. 

  2. P. Reimer, P.M. Parzel, F.A. Stichnoth, (Eds.) : Clinical MR Imaging A Practical Approach. Springer, 4. 116-123, 2003 

  3. Beauchamp NJ, Aziz MU, Passe TJ, van Zijl 

  4. Wittsack, H.J. Freund, H.J, : MR Imaging in 

  5. 진료영상학연구회,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편저: 자기공명영상학, 도서출판 대학서림, 23, 252-255, 2003 

  6. H.J. Kim, C.G. Choi, D.H. Lee, J.H. Lee, S.J. 

  7. 장기원, 김인원, 한문희 : 신경방사선과학, 일조각, 2000 

  8. Van Everdingen K J, Van der Grond J, Kappelle 

  9. Charles-Edwards, Elizabeth M, de Souza, Nandita M;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its application to cancer. Cancer imaging [electronic resource]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ancer Imaging Society, 6, 135-143, 2006 

  10. Pamela W. Schaefer, P. Ellen Grant, R. Gilberto Gonzalez,;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the Brain1, Fruit St, Boston, MA 02114-2696, Received April 30, 1999. 

  11. 대한방사선사협회 편저 : 자기공명기술학, 고문사, 7, 131-148, 1996 

  12. Ph.D Thesis by Sverre Rosenbaum,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Copenhagen, Denmark and Danish Research Center of Magnetic Resonance, Hvidovre Hospital : Evaluation of human stroke by MR imaging. 22, 1320-1330, 2000 

  13. Admas JG, Melhem ER, : Clinical usefulness of 

  14. De Coene B, Hajanl JV, Getehouse P, et al. : 

  15. DeLano MC, Cooper TG, Siebert JE, Pochan MJ, 

  16. 김영근.김세영.김정삼.김현수 등; MRI in Pratice, 아카데미아,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