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utism is a well-known psychiatric disorder that is presumed to have a neural basi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neurofunctional abnormalities of autism, the authors performe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on children with autism. Methods : Fifty-five children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약물 치료의 경력이 없는 군을 대상으로 하고, 본원에서 진단된 직후에 연구에 참여토록 하여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55명의 비교적 다수의 자폐 장애군을 모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휴지기(resting state)에 SPECT 연구를 시행하고 SPM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 대조군과 환아군 간의 국소 대뇌 관류량의 차이를 분석하여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자폐 장애의 병태 생리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영상 연구 중 관심영역 접근법의 한계점은? 그 중 하나는 과거의 기능적 뇌영상 연구 중 상당 수는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접근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는 점이다.12) 이 방법은 3차원적 구조로 이루어진 뇌를 2차원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며, 관심 영역 이외의 영역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어 뇌의 이상 부위를 찾아내는 민감도가 낮아지고 개인 간의 해부학적인 차이를 적절히 제거해내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관심 기능(function of interest, FOI) 접근법으로서, 이는 모든 복셀(voxel)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뇌의 전 영역의 이상을 표준화된 공간 내에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자폐 장애란 무엇인가? 자폐 장애(autistic disorder)는 사회적 상호 관계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의 질적인 장애와 더불어 반복적이고 제한적이며 상동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발달 장애로서,1)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의 성격을 보이는 질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4) 이 때문에 이들 원인들에 의해서 유발되는 공통적인 뇌의 구조적 문제 혹은 기능적인 문제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한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관심 기능 접근법은 무엇인가? 12) 이 방법은 3차원적 구조로 이루어진 뇌를 2차원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며, 관심 영역 이외의 영역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어 뇌의 이상 부위를 찾아내는 민감도가 낮아지고 개인 간의 해부학적인 차이를 적절히 제거해내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관심 기능(function of interest, FOI) 접근법으로서, 이는 모든 복셀(voxel)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뇌의 전 영역의 이상을 표준화된 공간 내에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관심 기능 접근법 중 하나가 통계적 매개 변수 지도(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면 PET이나 SPECT의 영상을 표준화된 공간에 정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에 대한 통계 분석도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4. 

  2. Volkmar F. Autism and the pervasice developmental disorders. In: Lewis M, edito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Baltimore: William & Wilkins;1991. p.489-497. 

  3. Smalley SL. Genetic influences in autism. Psychiatr Clin North Am 1991;14:125-139. 

  4. Smalley SL. Genetic influences in childhood-onset psychiatric disorders: autism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 J Hum Genet 1997;60:1276-1282. 

  5. Courchesne E, Yeung-Courchesne R, Press GA, Hesselink JR, Jernigan TL. Hypoplasia of cerebellar vermal lobules VI and VII in autism. N Engl J Med 1988;318:1349-1354. 

  6. Sparks BF, Friedman SD, Shaw DW, Aylward EH, Echelard D, Artru AA, et al. Brain structural abnormalitie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Neurology 2002;59:184-192. 

  7. Zilbovicius M, Boddaert N, Belin P, Poline JB, Remy P, Mangin JF, et al. Temporal lobe dysfunction in childhood autism: a PET stu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m J Psychiatry 2000;157:1988-1993. 

  8. Ohnishi T, Matsuda H, Hashimoto T, Kunihiro T, Nishikawa M, Uema T, et al. Abnormal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childhood autism. Brain 2000;123:1838-1844. 

  9. Pierce K, Muller RA, Ambrose J, Allen G, Courchesne E. Face processing occurs outside the fusiform 'face area' in autism: evidence from functional MRI. Brain 2001;124:2059-2073. 

  10. Hall GB, Szechtman H, Nahmias C. Enhanced salience and emotion recognition in Autism: a PET study. Am J Psychiatry 2003;160:1439-1441. 

  11. Allen G, Courchesne E. Differential effects of developmental cerebellar abnormality o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in the cerebellum: an fMRI study of autism. Am J Psychiatry 2003;160:262-273. 

  12. Lee HB, Shin YJ, Ryu YH, Yoon KH, Noh KS, Song DH. Preliminary study of brain SPECT i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or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J Kor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8:256-265. 

  13. Soh EH, Cheong YS.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ty of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Korean Version. Kor J Neuro psychiatr Assoc 1992;31:471-477. 

  14. Shin MS, Kim YH.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Reliability, Validity and Cut-Off Score. Kor J Clin Psychol 1998;17:1-15. 

  15. Saemundsen E, Magnusson P, Smari J, Sigurdardottir S.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nd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onvergence and discrepancy in diagnosing autism. J Autism Dev Disord 2003;33:319-328. 

  16. Mundy P. Annotation: the neural basis of social impairments in autism: the role of the dorsal medial-frontal cortex and anterior cingulate system.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3;44:793-809. 

  17. Baron-Cohen S, Leslie AM, Frith U.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Cognition 1985;21:37-46. 

  18. Happe F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ory of mind in autism: a test of relevance theory. Cognition 1993;48:101-119. 

  19. Fletcher PC, Happe F, Frith U, Baker SC, Dolan RJ, Frackowiak RS, et al. Other minds in the brain: a functional imaging study of "theory of mind" in story comprehension. Cognition 1995;57:109-128. 

  20. Brunet E, Sarfati Y, Hardy-Bayle MC, Decety J. A PET investigation of the attribution of intentions with a nonverbal task. Neuroimage 2000;11:157-166. 

  21. Pascualvaca DM, Fantie BD, Papageorgiou M, Mirsky AF. Attentional capac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is there a general deficit in shifting focus? J Autism Dev Disord 1998;28:467-478. 

  22. Corbetta M, Kincade JM, Ollinger JM, McAvoy MP, Shulman GL. Voluntary orienting is dissociated from target detection in human posterior parietal cortex. Nat Neurosci 2000;3:292-297. 

  23. Corbetta M, Akbudak E, Conturo TE, Snyder AZ, Ollinger JM, Drury HA, et al. A common network of functional areas for attention and eye movements. Neuron 1998;21:761-773. 

  24. Tomasello M. Joint attention as social cogn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1995. 

  25. Posner MI, Petersen SE.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Annu Rev Neurosci 1990;13:25-42. 

  26. Diwadkar VA, Carpenter PA, Just MA. Collaborative activity between parietal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dynamic spatial working memory revealed by fMRI. Neuroimage 2000;12:85-99. 

  27. Nagahama Y, Okada T, Katsumi Y, Hayashi T, Yamauchi H, Sawamoto N, et al. Transient neural activity in the medial superior frontal gyrus and precuneus time locked with attention shift between object features. Neuroimage 1999;10:193-199. 

  28. Townsend J, Westerfield M, Leaver E, Makeig S, Jung T, Pierce K, et al. Event-related brain response abnormalities in autism: evidence for impaired cerebello-frontal spatial attention networks. Brain Res Cogn Brain Res 2001;11:127-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