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Ability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4, 2009년, pp.430 - 437  

김혜숙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선 (광주보건대학 응급구조과) ,  박미화 (전남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ability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undamental data regarding CPR education was processed in order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ttitude and abi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상황에서 임상적 사망을 생물학적 사망으로의 진행을 막고 순환을 회복시켜주는 일련의 과정으로 심폐소생술의 관건은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느냐로 이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이 결정된다(Hwang & Lim, 200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심폐소생술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관련 요인들은 무엇인가? 심정지 환자의 생존 퇴원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관련요인들은 심정지 목격 후 구조요청까지의 소요시간,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여부, 심정지 후 심폐소생술 실시까지의 소요시간, 제세동(defibrillation)까지의 소요시간이다(Song & Oh, 2007). 기본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은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본소생술이 적절히 시행된 것을 전제로 전문소생술(ACLS: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심정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대 의학의 발전 및 응급의료체계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고령화 및 심장질환의 유병률 증가와 더불어 심정지로 급사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Choi, 2006). 심정지는 예측 가능한 일이 아니며, 또한 발생 후 4~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일어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조기 심폐소생술 시행여부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Hwang & Lim, 2006).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엇을 제언하는가? • 심폐소생술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외에 이러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학교나 전문기관의 적극적인 교육적 지원을 제안한다. •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 측정도구인 수행능력 자가 평가표, 전문가에 의한 술기 항목 체크리스트, 객관적 술기 측정도구 등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이들 간의 상관성을 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Highlights of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urrents i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16(4) Winter 2005-2006, 1-28. 

  2. An, J. Y. (2008).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VSI (Video self-instruction) and basic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3. Campbell, N. R., Ayala, G. X., Litrownik, A. J., Slymen, D. J., Zavala, F., & Elder, J. P. (2001). Evaluation of a first aid and home safety program for Hispanic migrant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4), 258-265. 

  4. Chamberlain, D., Smith, A., Woollard, M., Colquhoun, M., Handley, A. J., Leaves, S., et al. (2002). Trials of teaching methods in basic life support (3): Comparison of simulated CPR performance after first training and at 6 months, with a note on the value of re-training. Resuscitation, 53(2), 179-187. 

  5. Choi, H. O. (2006). A study on knowledge and competence of nurses i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Academic Press. 

  7. Han, J. S., Ko, I. S., Kang, K. S., Song, I. J., Moon, S. M., & Kim, S. H. (1999).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3), 492-505. 

  8. Hwang, S. O., & Lim, K. S. (2006).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3rd ed.). Seoul: Koonja Publishing. 

  9. Kang, B. W. (2009). Act on emergency medical xervice. Seoul: Chung-Ku Publishing. 

  10. Kang, K. H. (1997). Effectiveness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gram for first responder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ang, K. H., & Yim, J. (2008).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4), 43-54. 

  12. Kim, D. O. (2009). Knowledge and attitude differenc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aramedic student for cardiac ar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13. Kim, J. Y., Ahn, W., Park, C., Bahk, J. H., Lim, Y. J., & Han, B. M. (2004). The current statu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Korean university hospitals-education, CPR cart items, post-CPR report.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4), 553-558. 

  14. Kim, J. Y., Jun, S. S., Kim, D. H., & Choi, S. S. (2008).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BLS and provided CPR education among nurses at general wards in Pus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2), 143-152. 

  15. Kwon, H. (2000). Analyzing the cognition of CPR by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public health or n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4(4), 35-46. 

  16. Lee, J. E., Koh, B. Y., Lee, I. M., Choi, K. M., Park, S. I., & Ahn, H. G. (2003). The evaluation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7(1), 43-54. 

  17. Lee, J. S. (2006). The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status of basic CPR and AED by the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Nagashima, K., Takahata, O., Fujimoto, K., Suzuki, A., & Iwasaki, H. (2003). Investigation on nurses' knowledge of and experienc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on nurses' knowledge of the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established in 2000: Results of a survey at Asahikawa Medical College Hospital. Masui, 52(4), 427-430. 

  19. Nyman, J., & Sihvonen, M. (200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suscitation, 47(2), 179-184. 

  20. Oh, S. I. (2007). Study on the sustainable effects of re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ski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1. Oh, S. I., & Han, S. S. (2008). A study on the sustainable effects of re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383-392 

  22. Park, D. S., Yun, Y. H., & Kim, J. S. (2008). Education effect in basic CPR for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4), 381-386. 

  23. Park, J. M. (2006).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Park, J. M., & Suh, S. R. (2007). Skills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the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11(1), 39-49. 

  25. Ryoo, H. W. (2008). Basic life support perform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new do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6. Song, K. J., & Oh, D. J. (2007).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73(1), 4-10. 

  27. Uhm, D. C., Jun, M. H., Hwang, J. Y., & Choi, J. Y. (2008).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of CPR for health occupatio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138-146. 

  28. Uray, T., Lunzer, A., Ochsenhofer, A., Thanikkel, L., Zingerle, R., Lillie, P., et al. (2003). Feasibility of life-supporting first-aid (LSFA) training as a mandatory subject in primary schools. Resuscitation, 59(2), 21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