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4, 2010년, pp.460 - 469  

홍지연 (영진전문대학 간호과) ,  신미경 (나사렛 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련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gene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PR and attitude toward CPR by college students. Method: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ith a convenience sam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대한 소정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 년 10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대상자를 편의 추출하여 연구자 3인과 연구 보조원 1인의 도움 하에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Turki, Y. A., Al-Fraih, Y. S., Jalaly J. B., Al-Maghlouth, I. A., Al-Rashoudi, F. H., Al-Otaibi, A. F., et al. (2008).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Riyadh, Saudi Arabia. Saudi Medical Journal, 29(9), 1306-1309. 

  2.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Highlights of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Retrieved January 20, 2009, from the AHA Web site: http://www. cardiosalud.org/novedades/guias%202005.pdf 

  3. Axelsson, A. (2001).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ould they do it again?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6(1), 15-20. 

  4. Choi, H. J. (2006). A study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Das, M., & Elzubeir, M. (2001). First aid and basic life support skills training early in the medical curriculum: curriculum issues, outcomes, and confidence of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13(4), 240-246. 

  6.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7. Hatzakis, K. D., Kritsotakis, E. I., Angelaki, H. P., Tzanoudaki, I. K., & Androulaki Z. D. (2005). First Aid knowledge among industry workers in Greece. Industrial Health, 43(2), 327-332. 

  8. Hwang, S. O., & Yim, K. S. (2006).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3rd) Seoul: Koonja publishing. 

  9. Jo, T. H. (2009).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oving picture in Samsung.LG mobile phone. Retrieved December, 2009,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 12/22/2009122200842.html?srchColnews&srchUrlnews1 

  10. Johnston, T. C., Clark, M. J., Dingle, G. A., & FitzGerald, G. (2003). Factors influencing Queenslanders'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56(1), 67-75. 

  11. Kang, K., & Yim, J. (2008).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4), 43-54. 

  12. Kim, I. S. (1996). Korean Language Dictionary. Seoul: Kumsung Publishing Company. 

  13. Kim, M. A.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4. Kim, M. S. (2004). The effect of first aid training program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relief of foreign body airway obstruction and patient assess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5. Koh, B. Y., & Lee, J. E. (2001). A study on the first aid and CPR education needs assessment of college student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19(2), 259-268. 

  16.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07). Revision of the law related to emergency medical treatment, Retrieved January 18, 2010, from http://www.kacpr.org/ info/notice/view.php?codenotice&page3&number118&key field&key 

  17. Lee, M. H., Choi, S. H., & Park, M. J. (2007). Effect of CPR tr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2), 198-203. 

  18. Lee, M. J., Park, K. N., Kim, H., Shin, J. H., Yang, H. J., & Rho, T. H. (2008).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reluctance and attitude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1), 31-36. 

  19. Lee, W. W., Cho, G. C., Choi, S. H., Ryu, J. Y., You, J. Y., & You, K. C. (2009).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 persons'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5), 505-509. 

  2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April). Explanation for the news named nominal revised emergency medical treatment.,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401vw.jsp?PAR_MENU _ID04&MENU_ID0404&BOARD%20%20%20_ID145& BOARD_FLAG00&CONT_SEQ211267&page1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September). Survey of Cardio-cerebral vascular diseases in 2008.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mw. go.kr/fron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 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 220239&page1 , 

  2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October). Plan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enhancement.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mw.go.kr/ fron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 &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215 78&page1 

  23. Munro, B. H. (2000). Regression. In B. H. Munro (Ed.),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4. Oh, S. I., & Han, S. S. (2008). A study on the sustainable effects of re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383-392. 

  25. Park, S. H., Choi, H. J., Kang, B. S., Im, T. H., & Yeom S. R. (2006).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7(6), 545-558 

  26. Park, Y. R., Kim, J. A., Choi, K. S., & Kim, K. S. (2008). The effects of CP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on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 7-17. 

  27. Thoren, A. B., Axelsson, A., & Herlitz, J.(2004). The attitude of cardiac care patients towards CPR and CPR education. Resuscitation, 61(2), 163-171. 

  28. Uhm, D. C., Jun, M. H., Hwang, J. Y., & Choi, J. Y. (2008).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of CPR for health occupatio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138-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