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PR clinical training on CPR performance and self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759 - 5765  

김성미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주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병행한 실험군과 이론교육만 받은 대조군 간의 교육 효과를 비교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에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D시 소재 D대학 간호대학생 72명(실험군 36명, 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1년 8월 22일에서 8월 24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x^2$-tes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폐소생술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시 단순히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간호대학생이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한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wo nursing students groups, CPR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versus CPR theoretical education only. It would be used as a basis for more effective CPR training of futur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in study were 72 nursing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이 심폐소생술 지식에 관한 것으로[7,8,12,13],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에 따른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교육에 따른 심폐소생술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교육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이론교육만 받은 대조군과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 간의 교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에서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의 도입과 활성화를 촉진하고, 향후 임상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론 교육 후 실습을 병행한 경우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은 교육 전보다는 교육 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습을 병행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론교육 후 강사가 시범을 보임으로써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가져와 자기효능감이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23]. 또한 반복적인 개별실습을 통해 마네킨에 기도유지,인공호흡 및 흉부압박 등을 직접 수행하여 정확하고 쉽게 술기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심폐소생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이 증가하여 자기효능감이 매우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비디오(Video Self-Instruction) 심폐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의 효과를 비교한 안주영[24]의 연구와 주도적 자기학습의 효과를 비교한 박정미[16]의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비슷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달랐다.
최초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심폐소생술의 기본 심폐소생술 지침은 의료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포함하여 심정지를 최초 목격한 사람이 심정지 발생 현장에서부터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14]. 여기서 최초 목격자(first responder)란 갑작스러운 손상이나 질병이 발생한 현장에 처음으로 도착한 사람으로[18], 심정지는 예고 없이 발생하고 응급처치요원이 신고를 받고 현장에 도착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앞으로 병원이나 지역사회에서 대상자와 가까이 있으면서 응급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간호사로서 준비를 하기 위해 심폐소생술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4].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특정상황에서 특정행위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으로[9], 본 연구에서는 Schlessel등(1995)과 강경희(2004)의 도구를 박정미[16]가 수정, 보완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2문항으로, 10점 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확신이 없다’ 0점, ‘매우 확신한다’ 10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구제적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하며, 부정문항은 역문항 처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ummins, R. O., Ornato, J. P. & Thies, W. H., "Improving survival from sudden cardiac arrest :the 'chain of survival' concept." Circulation, Vol. 83, pp. 1832-47, 1991. 

  2.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1. 2011 CPR Guideline in Korea. Retrieved September 25, 2011, from http://www.kacpr.org. 

  3. K. S. Song, and D. J. Oh,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Vol. 73, No. 1, pp. 4-10, 2007. 

  4. J. S. Han, L. S. Ko, K. S. Kang, I. J. Song, S. M. Moon, and S. H. Kim,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6, No. 3, pp. 359-596, 1999. 

  5. J. E. Lee, B. Y. Koh, I. M. Lee, K. M. Choi, S. I. Park, and H. G. Ahn, "The Evaluation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7, No. 1, pp. 43-54, 2003. 

  6. S. H. Oh, J. J. Sun, and S. H. Kim, "The Effect of CPR Clinical Training in Nursing Students's Knowledge and Practical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3, No. 2, pp. 153-61, 2009. 

  7. D. C. Uhm, M. H. Jun, J. Y. Hwang, and J. Y. Choi,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of CPR for Health Occupatio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4, No. 1, pp. 138-46, 2008. 

  8. Y. R. Park, J. A. Kim, K. S. Choi, and K. S. Kim, "The Effects of CP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on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1, No. 1, pp. 7-17, 2008. 

  9.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 J. prentice-Hall, 1986. 

  10. Y. Zhang and R. Buda, "Moderating effects of need for cognition on responses to positively versus negatively framed advertising messages", Journal of Advertising, Vol. 28, No. 2, pp. 1-15, 1999. 

  11. S. S. Park, D. S. Park, J. H. Cho, Y. A. Kim, and J. S. Park, "A Change of the ability of CPR After educations for Some Health College Students and the factors Effects CPR Performance",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2, No. 3, pp.17-26, 2008. 

  12. E. K. Ahn, and M. K. Cho,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3, No. 3, pp. 5-17, 2009. 

  13. J. S. Yang, B. G. Hwang, W. J. Ko, and S. H. Yoo, "A Study on the Level of Knowledg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s Basic Life Support(BLS)", Korean Society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 6, No. 1, pp. 189-94, 2010. 

  14.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0. 2010 AHA Guidelines for CPR & ECC.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http://www.heart.org. 

  15. H. O. Choi, "A study on knowledge and competence of nurses i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ster thesis], Seoul: Yensei University, 2005. 

  16. J. M. Park,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dissertation], Seou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17. Sherer, M. S., Maddux, J. E., Mercadante, B., Prenice-Dunn, S., Jacobs, B., &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 Psychologic reports, Vol. 51, pp. 663-71, 1991. 

  18. Karen, K. J., Hafen, B. Q., & Limmer, D. D., "First responder." New Jersey : Brady, 1995. 

  19. Kardong-Edgren, S., & Adamson, K. A., "BSN medical-surgical student ability to perform CPR in a simulation: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Clinical Simulation Nursing, Vol. 5, No. 4, pp. 79-83, 2009. 

  20. Ackermann, A. D., "Investigation of learning outcomes for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PR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with the use of high-fidelity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Nursing, Available at http://dx.doi.org/doi:10.1016/j.ecns, 2009. 

  21. K. H. Kang, "Effectiveness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gram for First Responders in Korea", [master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8. 

  22. Y. H. Oh, "The effect of CPR Traing for Non-Healthcare Providers", [master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05. 

  23. Y. S. Jang, "The effect of hands-on instruction on children's self-efficacy level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ster thesis], DaeGu: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24. J. Y. An,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VSI(Video self-instruction) and basic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master thesis],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