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감자의 기관별, 품종별, 중량별, 분포별 및 조리 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에 관한 연구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Korean Potatoes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oking Method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3, 2009년, pp.375 - 383  

임효원 (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서봉순 (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ifferent potato plants parts, varieties, and grades, and by distribution and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the plant parts,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자의 각종 추출 시료를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을 조사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간 상관 관계의 유무를 조사한 것으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기능성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을 비교적 많이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감자(Gebhardt, R. 1998, Lee & Lee 1994)의 품종별, 기관별, 중량별, 분포별, 조리 방법별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페놀성 화합물의 기능성 효과로 알려진 활성산소 제거능과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감자의 유용한 자원으로써의 다양한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자의 각종 추출 시료를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감자의 개화기에 채취한 꽃잎, 잎 및 줄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꽃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이 모두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잎과 줄기의 순이었다. 이로써,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소거능의 활성이 높다는 것을 밝힐 수가 있었다. 감자의 5품종별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은 외피층 및 육질부에서 모두 Jasim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4종의 외피층의 라디칼 소거능도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 결과와 일치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면 그 활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육질부는 외피층의 활성보다 조금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량별 감자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SS형의 외피층이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외피층, 육질부)로는 외피층이 육질부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SS형의 외피층이 31.16%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각 중량별 육질부에서는 중량 사이에 다소의 증감은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관찰 되지 않았다. 종단에 의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 시료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A와 D부분이 나타났다. 횡단에 의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은 양끝쪽의 외피층(1과 6부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자의 조리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조리법이 달라짐에 따라 총 폴리페놀의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에는 많은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리법에 따라서는 gas oven range baking이 가장 높게 나타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활성은 gas oven range baking 처리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인간 수명의 증가와 함께 건강 유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측면에서 노화 억제와 건강을 위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대사 부산물이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학설(Benzi & Moretti 1995, Rohrdanz & Kahl 1998, Wiseman 1996)과 활성 산소가 단백질, 생체막, DNA 등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Hammerschmidt & Pratt 1997), BHT, BHA, Troxol C 등의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No et al 1999). 그러나 소비자의 합성 항산화제에 대한 기피 성향과 안전성 논란으로(Ito et al 1983, Frankel 1996), 보다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인간 수명의 증가와 함께 건강 유지에 대한 욕구로 인해 무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가? 최근 인간 수명의 증가와 함께 건강 유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측면에서 노화 억제와 건강을 위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대사 부산물이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학설(Benzi & Moretti 1995, Rohrdanz & Kahl 1998, Wiseman 1996)과 활성 산소가 단백질, 생체막, DNA 등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Hammerschmidt & Pratt 1997), BHT, BHA, Troxol C 등의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No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이규화 (2003) 감자 유전자원 평가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의 페놀성 항산화 물질 분석에 의한 고 기능성 감자 품종 선발.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14: 114-115. 

  2. Aldrich JR, Oliver JE, Shifflet T, Smith CL, Diverly GP (2007) Semiochemical investigations of the insidious flower bug, Orius insidiosus (Say). J Chem Ecol 33: 1477-1493. 

  3. Anand C, Umranikar C, Shintre P, Damle A, Kale J, Joshi J, Watve, M (2007) Presence of two types of flowers with respect to nectar sugar in two gregariously flowering species. J Biosci 32: 769-774. 

  4. Bae SJ (2002)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Solanum tuberosum peel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 31: 905-909. 

  5. Benvenuti S, Pellati F, Melegari M, Bertelli D (2004) Polyphenols, anthocyanins, ascorbic aci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ubus, ribes, and aronia. J Food Sci 69: 164-169. 

  6. Benzi G, Moretti A (1995) Are reactive oxygen species involved in Alzheimer's disease. Neurbio Aging 16: 661-674. 

  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8. Cha JY, Cho YS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9. Cha JY, Cho YS (2000)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the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74-279. 

  10. Choi HM (1976) A study on the phenolic content of potatoes. Korean J Food Sci Technol 8: 80-84. 

  11. Eaks IL (1960) Physiological studies of chilling injury in citrus fruits. Plant Physiol 35: 632-636. 

  12. Elliger CA, Wong Y, Chan BG, Jr Waiss AC (1984) Groth inhibitors in tomato (Lycoperisicon) to tomato fruit worm (Heliothiszea). J Chem Ecol 7: 753-758. 

  13. Frankel EN (1996) Antioxidants in lipid foods and their on food quality. Food Chemistry 57: 51-54. 

  14. Friedman M, Smith GA (1984) Inactivation of quercetin mutagenicity. Food Che Toxicol 22: 535-539. 

  15. Friedman M, Dao L (1992) Distribution of glycoalkaloids in potato plants and commercial potato products. J Agric Food Chem 40: 419-423 

  16. Hammerschmide PA, Pratt DE (1977) Phenolic antioxidents of dried soybeans. J Food Sci 43: 556-561. 

  17. Hawkes JG (1988) The evolution of cultivated potatoes and their tuber-bearing wild relatives. Kultrup-flanze 36: 189-208. 

  18. Han JS, Kim JA, Han GP, Kim DS, Kozukue N, Lee K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cookies with added potato pee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607-613. 

  19. Han GP, Han JS, Kozukue N, Kim DS, Park ML, Lee K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tato added functional cream soup.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12-17. 

  20. Ito NS, Fukushima A, Hasegawa M, Shibata, Ogis OT (1983)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 antisole in F344 rats. J Nat Cancer Inst 70: 343-347. 

  21. Kozukue N, Ogata K (1972) Physiological and chemical studies of chilling injury in pepper fruits. J Food Sci 37: 708-711. 

  22. Koukol L, Conn EE (1961) The metabolism of aromatic compound in higher plants. J Biol Chem 236: 2692-2698. 

  23. Kozukue N, Kozukue E, Susumi S (1987) Glycoakaloids in potato plants and tubers. HortSci 22: 294-296. 

  24. Lampitt LH, Bushill JH, Rooke HS, Jackson FM (1943) Solanine, glycoside of the potato. II. Distribution in the potato plant. J Soc Chem Ind 62: 48-51. 

  25. Laughton MJ, Evans PJ, Moroney MA, Hoult JRS, Halliwell B (1981) Inhibition of mammalian 5-lip-oxygenase and cyclo-oxigenase by flavonoids and phenolic dietary additives: relationship to antioxidant activity and to iron ionreducing ability. Biochem Pharm 42: 1673-1681. 

  26. Lee JS, Hwang YJ (2003) A study of rheology with cooking methods of potato.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 85-97. 

  27.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n plants foods. Korean J Food Sci Thechnol 26: 310-316. 

  28. Li ZG, Lee RM, Shen DL (2006)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emitted from fresh Syringa oblata flowers in different florescence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nal Chim Acta 18: 43-49. 

  29. Malmberg AG, Theander O (1985) Determination of chlorogenic acid in potato tubers. J Agric Food Chem 33: 549-551. 

  30. Minamikawa T, Uritani I (1964) Phenylalanine deaminase and tyrosine deaminase in sliced a black rot infested sweet potao root. Arch Biochem Biophys 108: 573-574. 

  31. Mondy NI, Gosselin B (1998) Effect of peeling on total phenols, total glycoalkaloids, discoloration and flavor of cooked potatoes. J Food Sci 53: 756-759. 

  32. Nandita S, Rajini PS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el. Food Chem 85: 611-619. 

  33. Nara K, Miyoshi T, Honma T, Koga H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bound-form phenolics in potato pe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1489-1491. 

  34. NO JK, Soung DY, Kim YJ, Shim KH, Jun YS, Rhee SH, Yokozawa T, Chung HY (1999) Inhibition of tyrosinase by green tea components. Life Sci 21: 241-246. 

  35. Onyeneho SN, Hettiaachchy NS (1993) Antioxidant activity,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composition of potato peels. J Sci Food Agric 62: 345-350. 

  36. Park YE, Cho HM, Lee HJ, Hwang YS, Choi SSN, Lee SJ, Park ES, Lim JD, Choung MG (2007) Antioxidant and inhibition on angiotensin convertiong enzyme activity of colored potato extracts. Korean J Crop Sci 52: 447-452. 

  37. Papadopoulos G, Boskou D (1991) Antioxidant effect of natural phenols o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68: 669- 675. 

  38. Rohrdanz E, Kahl R (1988) Alteration of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on response to hydrogen peroxide. Free Radical Biol Med 24: 27-38. 

  39. Sinden SL, Sanford LL, Cantelo WW, Deahl KL (1988) Bioassays of segregating plants. A strategy for studying chemical defense. J Chem Ecol 14: 1941-1950. 

  40. Sommer NF (1960) Fresh fruit temperatures and transit injury. Proc Amer Soc Hort Sci 76: 156-162. 

  41. Tanaka T, Kawamori T, Ohnishi M, Okamoto K, Mori H, Hara A (1993) Inhibition of 4-nitroquinoline 1-oxide-induced rat tongue carcinogenesis by the naturally occurring plant phenolic caffeic, ellagic, chlorogenic, and ferulic acids. Carcinogenesis 14: 1321-1325. 

  42. Tanaka T (1994) Cancer chemoprevention by natural products. Oncol Rep 11: 39-155. 

  43. Ukiya M, Akihisa T, Yasukawa K, Koike K, Takahashi A, Suzuki T, Kimura Y (2007)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flower petals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J Nat Prod 70: 813-816. 

  44.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me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itional Biochemistry. 7: 2-6. 

  45. Zucker M (1955) Induction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by light and its relation to chlorogenic acid synthesis in potato tissue. Plant Physol 40: 779-7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