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우젓에 HACCP을 적용하기 위한 이화학적 특성 연구
An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for HACCP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3, 2009년, pp.395 - 400  

조희숙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김경희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alt addition levels on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for HACCP determination. The salted shrimp were prepared from fresh shrimp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8, 18, 28%) of chunil salt, and were then 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향후 단체 급식에 우리나라의 전통 수산 발효 식품인 새우젓이 경쟁력 있는 발효 식품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새우젓에 HACCP 을 적용하기 위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는 향후 단체 급식에 우리나라의 전통 수산 발효 식품인 새우젓이 경쟁력 있는 발효 식품으로써 자리매김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새우젓에 HACCP 을 적용하기 위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새우의 생산량 변화는 어떠한가? 또한, 우리 조상들이 많이 애용하여 온 담백한 고급 식품으로 옛날부터 날것이나 건조한 것을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소금에 절여 젓갈로 널리 사용하여 왔으며, 오늘날에는 튀김이나 전유어의 재료로 또는 스낵 식품이나 과자류의 가공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Joo & Kang 2003). 우리나라 새우의 생산량은 1998년에 42,000여톤이었고, 이후 감소하여 27,000~38,000여톤의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2003년과 2004년에는 증가하여 46,000여톤과 43,000여톤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새우의 소비량 역시 식생활의 서구화, 다양화 및 고급화되어 가는 추세에 발맞추어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다(Kim JS 2001).
젓갈은 무엇인가?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내장 또는 생식소 등을 원료로 하여 10~20%의 식염을 첨가한 후 부패, 변질을 억제하면서 일정 기간 발효, 숙성시킨 발효 식품이다(Kim & Kim 1990). 이는 예로부터 우리의 식생활에 널리 이용된 중요한 식품으로서 최근에는 젓갈의 다양한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국민 건강에 이바지하는 웰빙 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새우젓과 같은 고염의 어류 발효 제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새우젓의 숙성 발효시 부패를 방지하고, 상온에서 장기간의 유통을 위하여 식염만을 첨가 혼합하여 발효 숙성시키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은 20% 이상의 고농도의 염을 사용하여 수개월간 숙성 발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고염의 어류 발효 제품은 식미를 저하시키고 다량 섭취시 고혈압, 신장병, 간경변증, 만성 신부전증 등의 문제 요인을 내포하고 있어 개인당 소비량을 증가시킬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숙성 기간이 너무 길어 상품으로서 사업화에 장애가 되며 위생적인 품질관리도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2) 식품공전. 문영사. 

  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공전. 식품의약품안전청, pp 232-243. 

  3. 이철호, 이응호, 임무현 (1987) 한국의 수산발효 식품. 유림문화사. 

  4. 한국식품개발원 (1990) 한국의 젓갈. 기술신서 제 4집. 

  5. AOAC (198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USA. 

  6. Awad A, Powrid WD, Fennema O (1968) Chemical determination of bovine muscle at $4^{circ}C$ . J Food Sci 33: 227-235. 

  7. Chang PK, Rhee HS (1986) 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ents in fermented anchovies. Korean J Soc Food Sci 2: 38-44. 

  8. Choi SH (1987) Cooked odor components of Sergia lucens and its fermented product.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57-163. 

  9. Gustone FD, Norris FA (1983) Lipids in foods chemistry, biochemistry and technology. Pergamon Press Inc. p 58. 

  10. Joo KJ, Kang MY (2003) Effects of added corn oil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ry shrimp during roas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55-660. 

  11. Kim JS (2001)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hrimp processing byproducts. Agriculture Life Sci 8: 66-75. 

  12. Kim YM, Kim DS (1990) Korea fermented seafood.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Gyeonggi, Korea, pp 26-32. 

  13. Lee KH, Kim JH, Cha BS, Kim JO, Byun MW (1999)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27-1433. 

  14. Lee MJ, Lee SJ, Cho JE, Jung EJ, Kim MC, Kim GH, Lee YB (2002)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GC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53-957. 

  15. Lee SK, Kim DS (2001) Fundamentals of food processing. Kwangmoongak, Seoul, Korea. 

  16. Min BA, Lee JH (1985) Effects of frying oil s storage conditions on the rancidity of Yackwa.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114-123. 

  17. Mok CK, Lee JY, Song KT, Kim SY, Lim SB, Woo GJ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ed shrimp.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87-191. 

  18. Oh SH (2003)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for HACCP. M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p 1-2. 

  19. Park BH, Cho HS (2003), Effect of onion juice addition on lipid oxidation of tuna spread. J Korean Soc Food Culture 8: 193-201. 

  20. Park GH, Ju JS (1986) Proteolytic digestion of boiled pork by soused shrimp. Korean J Nutr 19: 363-373. 

  21. Spies TR, Chamber DC (1951)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amino acid and peptides with their copper salt. J Biol Chem 191: 787. 

  22. Tarladgis BG, Watts BM, Younathan MT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37: 44-48. 

  23. Yu TJ, Lee SG, Kim DJ (1990) Processing of sea-foods. pp 302-303. In: Food Processing. Moonwundang Co.,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