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우젓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색도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lor Valu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1, 2010년, pp.69 - 76  

조희숙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김경희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alt addition level on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lor values of salted shrimp during fermentation. Fresh shrimp were sal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8, 18, 28%) of Chunil salt and fermented at $20^{\circ}C$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염 함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재래식 젓갈에 비교하여 더 우수한 새우젓 발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식 염 농도에 따른 새우젓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및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식염 농도별 새우젓의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색도의변화를 조사하여 식염 농도별 식염 함량을 감소시키면서도재래식 젓갈에 비하여 풍미면에서 뛰어난 새우젓 발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HJ, Lee CH, Lee KH, Kim JH, Cha BS, Byun MW (2000)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before optimum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07-1113. 

  2. AOAC (198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Cho HS, Kim K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ermented skates. Korean J Food Culture 23: 397-402. 

  4. Cho HS, Kim KH (2009) An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for HACCP.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395-400. 

  5. Choi SH (1987) Cooked odor components of Sergia lucens and its fermented product.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57-163. 

  6. Joo KJ, Kang MY (2003) Effects of added corn oil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ry shrimp during roas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55-660. 

  7. Kim JS (2001)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hrimp processing byproducts. Agr Life Sci 8: 66-75. 

  8.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01-408. 

  9. Lee EH, Ahn CB, Oh KS, Lee TH, Cha YJ, Lee KW (1986)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9.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mall shrimp and its flavor components. Bull Kor Fish Soc 19: 459-468. 

  10. Lee KA (1999)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fermented commercial skate, Raja kenojei.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osu National University. pp 10-12. 

  11. Lee KH, Ahn HJ, Lee CH, Kim YJ, Byun MW (2000)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optimum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51-1057. 

  12. Lee KH, Kim JH, Cha BS, Kim JO, Byun MW (1999)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27-1433. 

  13. Lee MJ, Lee SJ, Cho JE, Jung EJ, Kim MC, Kim GH, Lee YB (2002)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 (GC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53-957. 

  14. Mok CK, Lee JY, Park JH (2000b) Microbial changes in salted and fermented shrimp at different salt level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44-447. 

  15. Mok CK, Lee JY, Song KT, Kim SY, Lim SB, Woo GJ (2000a)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ed shrimp.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87-191. 

  16. Murray CK, Gibson DM (1972) An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trimethylamine in fish muscle extracts by the formation of its picrate salt-Part I. J Food Technol 7: 35-46. 

  17. Oh SH (2003)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for HACCP. M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pp 1-2. 

  18. Park BH, Cho HS (2003) Effect of onion juice addition on lipid oxidation of tuna spread. J Korean Soc Food Culture 8: 193-201. 

  19. Park GH, Ju JS (1986) Proteolytic digestion of boiled pork by soused shrimp. Korean J Nutr 19: 363-373. 

  20. Spies TR, Chamber DC (1951)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amino acid and peptides with their copper salt. J Biol Chem 19: 787-791. 

  21. Tarladgis BG, Watts BM, Younathan MT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37: 44-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