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균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Wheat Germ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4, 2009년, pp.585 - 592  

최봉순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강근옥 (국립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 제분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밀 배아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항균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밀 배아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이었으며, 산가 8.5, 과산화물가 7.1, 요오드가 126.8, 비누화값은 159.7이었고, 굴절율은 1.547로 측정되었다. 생리 활성 작용을 갖는 페놀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2.02% 및 0.45%이었다. 불검화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89% 및 6.90%로 밀 배아에서는 총 페놀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 배아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80.21, 80.32 및 83.89%이었는데, 이는 ascorbic acid 보다는 작지만 BHT 및 tocopherol보다는 아질산염 소거능이 큰 것이다. 밀 배아의 항산화성은 리놀레산의 5일 동안 변화 정도를 보면 0.67, 22.70, 44.25, 65.81 및 91.17 meq/kg으로 증가하였고 에탄올 추출물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불검화물도 시간 경과에 따라 항산화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밀 배아의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는 농도 및 추출 방법 모두에서 항균성을 탐지해 낼 수가 없었다. 이상에서 볼 때 밀배아에는 인지질, 지방산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특히 플라보노이드 등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산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밀 배아를 첨가한 기능적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heat germ. The fatty acid components of the wheat germ included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Furthermore, the acid value was 8.5, the peroxide value was 7.1, the iodine value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볼 때 밀 배아의 영양 및 기능적 특성과 그 가치성에도 불구하고 밀 배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 배아에 존재하는 생리 활성 물질을 분석하고 아울러 항균 활성을 측정하여 밀 배아를 이용한 다양한 식품가공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밀 제분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밀 배아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균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밀 배아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 linolenic acid 등이었으며, 산가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 배아의 지방에는 무엇의 함량이 많은가? 밀 배아의 주요 영양 성분으로는 천연 항산화제의 역할을 하는 비타민 E와 xanthophyll, xanthophyll ester, carotene으로 구성된 carotenoide 색소 등이 있다. 또한 밀 배아의 지방에는 토코페롤 함량이 많아 건강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Choe & Youn 2005).
밀 배아의 주요 영양 성분은 무엇인가? 밀 배아의 주요 영양 성분으로는 천연 항산화제의 역할을 하는 비타민 E와 xanthophyll, xanthophyll ester, carotene으로 구성된 carotenoide 색소 등이 있다. 또한 밀 배아의 지방에는 토코페롤 함량이 많아 건강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Choe & Youn 2005).
본 연구에서 밀 배아의 일반 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 사용한 밀 배아의 일반 성분은 Table 3과 같다. 밀 배아의 수분 함량은 11.4%였으며, 조단백 24.4%, 조지방 13.1%(조지방 중의 인지질의 함량은 1.70%), 당 46.7%, 조섬유 3.3% 그리고 조회분은 2.1%이었다. Choi et al(2000)의 연구에서 밀 배아의 수분 함량은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유화학회 (1984)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2.8.3-71 일본유화학협회.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AOCS (1990a)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 10th AOCS official method Ce 1-62 Am Oil Chem Soc Chicago. 

  4. AOCS (1990b)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fourth edition.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Te 1a-64. 

  5. AOCS (1990c)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d 8-53. 

  6. AOCS (1990d)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Tg 1a-64. 

  7. AOCS (1990e)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Tl 1a-64. 

  8. AOCS (1990f)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Tp 1a-64. 

  9. Barnes PJ (1983) Lipids in cereal techn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p 389. 

  10. Bernardni E (1983) Oil seeds, oils and fats. Vol. 1. Raw materials techniques. BE Oil, Rome. p 221. 

  11. Cho SH, Kim ZU, Choi JD (1986) Chemical composition of maize germs separated in the manufacture of corn starch. J Korean Soc Food Nutr 15: 15-21. 

  12. Choe JS, Youn JY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Korean J Food Nutrition 34: 223-229. 

  13. Choi EM, Lim TS, Lee HL, Hwang JK (2002) Immune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wheat arabinoxyl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10-517. 

  14. Choi OK, Yun SK, Hwang SY (2000)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 rice germ.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53-258. 

  15. Choi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s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16. Dzidzic SZ, Hudson BJF (1983) Hydroxy isoflavones as antioxidants for edible oils. Food Chem 11: 161-166. 

  17. Ghoneum M (1998) Enhancement of human killer cell activity by modified arabinoxylan from rice bran(MGN-3). Int J Immunotherapy 14: 89-99. 

  18.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19. Ho JK, Kim DW, Shin DH, Cho KY (1986) Studies on the isolation of albumin and globulin from wheat germ protein. J Korean Soc Food Nutr 15: 128-135. 

  20. Juliano BO (1985) In rice-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New York. 

  21. Jung SO (1990)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materials from defatted rice bran. MS Thesis Korean University, Seoul. 

  22. Kahlon TS, Saunders RM, Chow FL, Chiu MC, Betschart AA (1989) Effect of rice bran and oat bran on plasma cholesterol in hamsters. Cereal Foods World 34: 768. 

  2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4. Kim HG, Cheigh HS (1995) Oxidative stability of wheat germ lipid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arotenoid and tocopherol during oxid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78-482. 

  25. Kim HK, Choi HS (1995) Oxidative stability of wheat germ lipid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arotenoid and tocopherol during oxid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78-482. 

  26. Kim MS, Lee DC, Hong JE, Chang KS, Cho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9-958. 

  27.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k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8. Kubbcrod G, Cassens RG, Greaser ML (1974) Reaction of nitrite with sulfhydryl groups of myosin. J Food Sci 39: 1228. 

  29.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9-243. 

  30. Malecka M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unsaponifiable matter isolated from tomato seeds, oat grains and wheat germ oil. Food Chemistry 79: 327-330. 

  31. Mirvish SS, Wallcave L, Eagen M, Shubik P (1972) Ascorbate-nitrite reaction; Possible means of blocking the formation of cacinogenic N-nitroso compounds. Science 177: 65. 

  32. Miura K, Nakatani N (1989)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yme. Agri Biol Chem 53: 3043-3045. 

  33. Muramoto G, Kawamura S (1991) Rice protein and anti-hypertensive peptid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rice. Nippon Shokuhin Kougyo 34: 18-26. 

  34. Osawa T, Narasimha R, Kawakishi S, Namaki M, Tashiro T (1985) Oxygen radicals. Agric Biol Chem 49: 3085-3087. 

  35.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36. Pyo YH (1991)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J Korean Home Economics 29: 37-43. 

  37. Reddy Sk, Gray JJ, Prie JF, Wklken WF (1982) Inhibition of N-nitrosopyrolidine in dry cured bacon by $\alpha$ -tocopherol coated salt systems. J Food Sci 47: 1598. 

  38. SAS (1997)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6th ed. SAS Institute Inc North Carolina p 60. 

  39. Seog HM, Seo MS, Kim SR, Park YK, Lee YT (2002) Characteristics of barley polyphenol extract(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75-779. 

  40. Sims RJ, Fioriti JA, Kanuk MJ (1972) Sterols additives as polymerisation inhibitors for frying oils. J American Oil Chem Soc 49: 298. 

  41. Tamagawa K, Iizuka S, Fukushima S, Endo Y, Komiyama Y (1997) Antioxidative activity of polypenol extracts from barley bran.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4: 512-515. 

  42. Tanaka K, Chung KC, Hayatsu K, Kada T (1978)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in vitro by sorbic acid. Food Cosmet Toxicol 16: 209. 

  43. Teresa-Satue M, Huang SW, Frankel EN (1995)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s in virgin olive oil on oxidative stability of refined, bleached and deodorized olive oil. J Am Oil Chem Soc 72: 1131-1137. 

  44. Walker R (1975) Naturally occuring nitrate nitrite in food. J Sci Food Agric 26: 1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