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기획 역량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Planning Proficiencies on NPD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0 no.9, 2009년, pp.2440 - 2450  

김정윤 (한국신용정보(주) 전략기획본부) ,  한주희 (중앙대학교 상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개별적인 프로젝트의 성과가 아닌 제품군 전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둘째, 개발 역량 간 상호작용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 103개 제조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응답 분석에 기초하였다. 제품군 개발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의 프로젝트 (플랫폼 및 파생제품 개발)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프로젝트 유형 중, 제품군 성공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 제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제품군의 기술적 성과 및 상업적 성과 향상을 위해 우수한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기술개발 역량은 기술적 성과에 직접적으로 유효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프로세스 기획 역량과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적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is to look at the impact of 'NPD process planning proficiency' on NPD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is effect at firm's level (NPD program), rather than at the level of individual project. This study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cess planning profi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개별적인 프로젝트의 성과가 아닌 제품 전체의 성과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려고 한다. 또한, 프로세스 기획 역량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어, 개발 과정 상의 다른 역량 (마케팅/기술개발)과 어떠한 관계가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 1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제품군 (product family)의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상의 역량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군 성과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 제품과 관련된 개발 프로세스에 연구 초점을 두었다. 플랫폼 제품 관련 개발 프로세스는 단순히 플랫폼만을 개발 하는 프로세스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개발과 함께 제품군 내 첫 번째 제품을 개발하는 전 과정을 의미 한다[34].
  •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제품 개발 과정 상의 3가지 역량 (프로세스 기획 역량, 마케팅 역량, 기술개발 역량) 및 이들 역량 간의 상호작용이 제품군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제품군 개발을 통해 신제품을 출시하는 국내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 1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제품군 (product family)의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상의 역량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군 성과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 제품과 관련된 개발 프로세스에 연구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프로세스 기획 역량 (process planning proficiency)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특히,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개별적인 프로젝트의 성과가 아닌 제품 전체의 성과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려고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프로세스 기획 역량 (process planning proficiency)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특히, 프로세스 기획 역량이 개별적인 프로젝트의 성과가 아닌 제품 전체의 성과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려고 한다. 또한, 프로세스 기획 역량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어, 개발 과정 상의 다른 역량 (마케팅/기술개발)과 어떠한 관계가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학문적인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관련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기업은 신제품 개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마케팅/기술개발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제품 개발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기획 역량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마케팅 역량은 제품군 성과 (H1-a 기술적 성과/ H1-b 상업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기술 개발 역량은 제품군 성과 (H2-a 기술적성과 / H2-b 상업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프로세스 기획 역량은 제품군 성과 (H3-a 기술적 성과 / H3-b 상업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프로세스 기획 역량과 마케팅 역량 간의 상호작용은 제품군 성과 (H4-a 기술적 성과 / H4-b 상업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 프로세스 기획 역량과 기술개발 역량 간의 상호작용은 제품군 성과 (H5-a 기술적 성과 / H5-b 상업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13단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학자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약 13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8]. -(1) 아이디어 발굴, (2) 초기 아이디어 선별 (screening), (3) 사전 시장 평가, (4) 사전 기술 평가, (5) 사전 생산 평가, (6) 사전 재무적 평가, (7) 시장 연구, (8) 제품 개발, (9) 사내 제품 평가, (10) 고객 신제품 테스트, (11) 시장 테스트, (12) 상품화 前 재무적 평가, (13) 상품화. 과거 연구는 이러한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상의 각 단계를 빠짐없이 모든 과정을 거쳐 가는 것 자체가 신제품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제안하고 있다[3,6].
기업 입장에서 제품 다양성의 증가가 의미하는 것은? 최근 기업들은 다양한 소비자 필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있다[1].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 제품 다양성의 증가는 매출 및 수익성 향상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16]. 이에, 제품 다양성을 경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군 (product family) 개발을 활용하고 있다.
제품군이란 무엇인가? 이에, 제품 다양성을 경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군 (product family) 개발을 활용하고 있다. 제품군이란, 주요 기술적 / 성능적 기반인 플랫폼 (platform) 공유를 통해 다양한 파생제품 (derivative products)을 늘리는 방법이다[34]. 다양한 산업 분야(전기/전자, 자동차, 정밀기계 등)에서 플랫폼 공유를 통한 제품군 개발은 신제품 개발의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으며[26], 플랫폼 기반 제품 개발에 대해 다양한 관점의 연구 (제품굼 포지션닝 전략, 개발과정, 생산 등)가 진행되어 왔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yus, B. L.,Putsis, W.P. Jr., “Product prolifera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product line determinants and market outcomes”, Marketing Science, Vol.18, No.2, pp. 137-153, 1999. 

  2. Booz, Allen and Hamilton., “New Product Management for 1980s:, NewYork: Booz, Allen & Hamilton Inc., 1982. 

  3. Calantone, Roger J., Schmidt, Jeffrey B. and di Benedetto. C. Anthony., “New product activities and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al hostility.”,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4, No.3, pp. 179-189, 1997. 

  4. Churchill, Gilbert, Jr.,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pp. 64-73. 1979. 

  5. Clark, Kim B. and Fujimoto, T.,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trategy,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ld Auto Industr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1991. 

  6. Cooper, Robert G., “Identifying industrial new product success: project NewProd."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8, pp. 124-135. 1979. 

  7. Cooper, Robert G., “Third generation new product processe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1, No.1, pp. 3-14, 1994. 

  8. Cooper, Robert G. and Kleinschmidt, Elko J., An investigation into the new product process: steps deficiencies and impac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3, No.2, pp. 71-85, 1986. 

  9. Cooper, Robert G. and Kleinschmidt, E. J., "Benchmarking the firm's critical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2, No.5, pp. 374-39, 1995. 

  10. Craig, C. S. and Douglas, S. P., “International Marketing Research”,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2000. 

  11. Cusumano, Michael A. and Nobeoka, Kentaro., “Thinking Beyond Lean: How Multi-project Management is Transforming Product Development at Toyota and Other Companies.”, New York: Free Press., 1998. 

  12. DeVellis, R. 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 Series, 26, California: Sage Publication Inc., 1991. 

  13. Griffin, A. and Page, A. L., “An interim report on measuring product development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0, No.4, pp. 291-308, 1993. 

  14. Griffin, A. and Page, A. L., “PDMA success measurement project: recommended measure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failur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3, No.6, pp. 478-496, 1996. 

  15. Jiao, Jianxin, Simpson, Timothy W., Siddique, Zahed., “Product family design and platform-based development : a state-of-the-art review.”, Journal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Vol.18, pp. 5-29, 2007. 

  16. Kekre, S. and Srinivasan, K., “Broader product line: a necessity to achieve success.”, Management Science, Vol.36, No.10, pp. 1216-1231, 1990. 

  17. Kleinschmidt, Elko J. and Cooper, Robert G., “The relative importance of new product success determinants perception versus reality.”, R&D Management, Vol.25, No.3, pp. 281-298, 1995. 

  18. Kotler, Philip.,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7th 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994. 

  19. Kotler, Philip., Armstrong, Gary, Saunders, John and Wong, Veronica., “Principles of Marketing”, European Edition, London:Prentice-Hall., 1999. 

  20. Maidique, Modesto A. and Zirger, Billie Jo., “A study of success and failure in product innovation: The case of the U.S. electronics industry.”,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EM-31, No.4, pp. 192-203, 1984. 

  21. Meyer, M. H., Tertzakian, P. and Utterback, J. M., “Metrics for manag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to the product family.”, Management Science, Vol.43, No.1, pp. 88-111, 1997. 

  22. Millson, Murray R. and Wilemon, David, "Impa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ficiency and NPD entry strategies on product quality and risk.",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38, No.5, pp. 491-509, 2008. 

  23. Mishra, Sanjay, Kim, Dongwook and Lee, Dae Hoon, "Factors affecting new product success: cross-country comparison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3, No.6, pp. 530-550, 1996. 

  24. Nobeoka, Kentaro and Cusumano, Michael, "Multiproject strategy and sales growth: the benefit of rapid design transfer i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8, No.3, pp. 169-186, 1997. 

  25. Page, Albert L., "Assessing new product develop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establishing crucial norm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0, No.4, pp. 273-290, 1993. 

  26. Pine, B. J.,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1993. 

  27. Sanderson, S. W. and Uzumeri, M. V., "Managing Product Families", R.D. IrwinPress, Chicago, 1996. 

  28. Schmidt. Jeffrey B., Sarangee, Kumar R., and Montoya, Mitzi M., "Exploring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 review practice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6, No.5, pp. 520-535, 2009. 

  29. Skold, Martin and Karlsson, Christer, "Multibrand platform development: a corporate strategy with multi-managerial challenges", Vol.24, No.6, pp. 554-566, 2007. 

  30. Song, X. M. and Parry, Mark E., "What separates Japanese new product winners from loser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3, No.5, pp. 422-439, 1996. 

  31. Song, X. M. and Parry, Mark E.,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Japan and United Stated.",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2, pp. 1-18, 1997a. 

  32. Song, X. M. and Parry, Mark E., "The determinants of Japanese new product success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pp. 64-76, 1997b. 

  33. Sundgren, Niklas., "Introduction interface management in new product family developmen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6, No.1, pp. 40-51, 1999. 

  34. Tatikonda, Mohan V., "An empirical study of platform and derivative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6, No.1, pp. 3-26, 1999. 

  35. Thomke, Stefan and Fujimoto, Takahiro, "The effect of "front-loading" problem-solving on new product performan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7, No.2, pp. 128-142, 2003. 

  36. Ulrich, K. T., "The role of product architecture in the manufacturing firm.", Research Policy, Vol.24, pp. 419-440, 1995. 

  37. Wheelwright, Steven C. and Clark, Kim B., "Creating project plans to focus product development.",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2, pp. 70-82, 1992. 

  38. Von Hippel, Eric, "Task partitioning: an innovation process variable.", Research Policy, Vol.19, No.5, pp. 407-418,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