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멀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부위별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C과피에 85.23 mg/100 g, 과육에 61.67 mg/100 g가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은 과육 434.05 mg/100 g DW에 비해 과피에 762.72 mg/100 g DW으로 많았다. 무기물 함량은 과피(108.48 mg/$\ell$)에 많았으며, K(76.53 mg/$\ell$), Ca(20.20 mg/$\ell$) 및 Mg(6.22 mg/$\ell$)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메탄올 추출물 1,000 mg/$\ell$일 때 총 페놀화합물은 7.3-9.6 mg/$\ell$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1-6.7 mg/$\ell$였다. 멀꿀 메탄올 추출물 4,000 mg/$\ell$의 아질산염소거는 과피와 과육은 각각 79.5, 77.8% 인데 비해 종자는 17.1%였으며,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는 10.8%이하를 나타냈다. 항균활성그람양성균그람음성균 모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의 저 농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나 과육과 종자 추출물에서는 저해환 직경이 $8.91{\sim}12.25\;mm$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the increase of utilization for the Japanese staunton vine (Stauntonia hexaphylla), native plants which were grown in the southern districts in Korea. We have also determined their partial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ir physi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멀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부위별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C는 과피에 85.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자원식물의 활용성 극대화 측면에서 전남 남해안 지방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멀꿀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멀꿀은 무엇인가? 멀꿀(Stauntonia hexaphylla)은 남부해안지역이 자생지인 으름덩굴과의 상록덩굴식물로 키가 15 m까지 자라며 4월 중순에서 5월 중순에 흰색의 꽃이 피고 가을에는 어린이 주먹 크기의 검붉은 색의 열매가 매달리는 식물이다 (Ikuta, 1989; Lee, 1996). 이름이 ‘꿀같이 달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을 만큼 열매가 맛있는 과일로 알려져 있으나 굵은 씨앗이 많고 과육이 적어 과일은 상품화되지 못하고 있다.
멀꿀의 잎이 정원용, 퍼골라용 등으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름이 ‘꿀같이 달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을 만큼 열매가 맛있는 과일로 알려져 있으나 굵은 씨앗이 많고 과육이 적어 과일은 상품화되지 못하고 있다. 잎은 남부지방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육질이 두꺼우며 관상가치가 높아 정원용, 퍼골라용 등으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묘목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자원식물이다(Park et al., 2005).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멀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부위별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멀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부위별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C는 과피에 85.23 mg/100 g, 과육에 61.67 mg/100 g가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은 과육 434.05 mg/100 g DW에 비해 과피에 762.72 mg/100 g DW으로 많았다. 무기물 함량은 과피(108.48 mg/ℓ)에 많았으며, K(76.53 mg/ℓ), Ca(20.20 mg/ℓ) 및 Mg(6.22 mg/ℓ)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메탄올 추출물 1,000 mg/ℓ 일 때 총 페놀화합물은 7.3-9.6 mg/ℓ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1-6.7 mg/ℓ였다. 멀꿀 메탄올 추출물 4,000 mg/ℓ의 아질산염소거는 과피와 과육은 각각 79.5, 77.8%인데 비해 종자는 17.1%였으며,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는 10.8%이하를 나타냈다.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의 저 농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나 과육과 종자 추출물에서는 저해환 직경이 8.91∼12.25 mm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 J.Y. and Y.S. Cho.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4:122-128 (in Korean) 

  2. Cohen, G. 1978. The generation of hydroxyl radroxyl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 Photobiol. 28:669-674 

  3. Dewanto, V., X. Wu, K.K. Adom and R.H. Liu.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1015 

  4. Gray, J. and J.L.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981-985 

  5. Heo, B.G., Y.S. Park, S.U. Chon, S.Y. Lee and S. Gorinstein.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30(2):79-89 

  6. Ikuta, A. 1989. The triterpenes from Stauntonia hexaphylla call tissues and their biosynthetic significance. J. Natural Products 52:623-628 

  7. Jeong, C.H., J.Y. Chun, S.H. Bae and S.G. Choi. 2007a.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kiwi. J. Agric. Life Sci. 41:27-35 (in Korean) 

  8. Jeong, C.H., W.J. Lee, S.H. Bae and S.G. Choi, 2007b.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 Soc. Food Sci. Nutr. 36:859-865 (in Korean) 

  9. Kappus, H. 1986. Overview of enzyme systems involved in bioreduction of drugs and in redox cycling. Biochem. Pharmacol. 35:1-6 

  10. Kawaguchi, K., T. Mizuno, K. Aida and K. Uchino.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02-104 

  11. Kim, H.S., S.H. Lee and J.S. Ko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 J. Food Preserv. 13(5):611-615 (in Korean) 

  12. Koh, J.S. and S.H. Kim. 1995.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fruits produced in Cheju. Kor. J. Agric. Chem. Biotechnol. 38:514-545 (in Korean) 

  13. Lee, K.S., M.G. Kim and K.Y. Lee.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leaf. J. Kor. Soc. Food Sci. Nutr. 35:182-186 (in Korean) 

  14. Lee, S.J., D.W. Park, H.G. Jang, C.Y. Kim, Y.S. Park, T.C. Kim and B.G. Heo. 2006. Total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 J. Hort. Sci. Technol. 24:338-341 (in Korean) 

  15.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 Seoul. p.122 (in Korean) 

  16. Lerner, A.B. and T.B. Fitzpatrick. 1950. Biochemistry of melanin formation. Physiol. Rev. 30:91-96 

  17. Miyake, Y., K. Yamamoto, N. Tsujihara and T. Osawa. 1998. Protective effect of lemon flavonoids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Lipids 33:689-695 

  18. Normington, K.W., I. Baker, M. Molina, J.S. Wishnok, S.R. Tannenbaum and S. Puju. 1986. Characterization of a nitrite scavenger 3-hydroxy-2-pyranone, from chinese wild plum juice. J. Agric. Food Chem. 34:215-221 

  19. Park, S.J., B.J. Woo, S.J. Park, G.J. Hwang, K.S. Kim and J.W. Lee. 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ys of Jisimdo, Naedo and Yundoldo around Koje island. Kor. J. Plant Res. 18:479-489 (in Korean) 

  20. Park, Y.S., B.W. Kim, T.C. Kim, H.G. Jang, S.U. Chon, J.Y. Cho, S.H. Jiang and B.G. Heo. 2008a.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kiwifruits. Kor. J. Hort. Sci. Technol. 26:495-500 

  21. Park, Y.S., Y.J. Park, H.J. Kim, M.H. Im, M.K. Lee, Y.M. Kim, J.Y. Cho and B.G. Heo. 2008b.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different pla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 J. Hort. Sci. Technol. 26:75-80 (in Korean) 

  22. Pawelek, J.M. and A.M. Korner. 1982. The biosynthesis of mammalian melanin. Amer. Sci. 70: 136-141 

  23.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26:1761-1770 

  24. Quinu, L.A. and H.H. Tang. 1996.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macadamia nut. JAOCS. 73:1585-1588 

  25. Rhee, J.H., N.Y. Lee, S.S. Chung and H.C Lee. 1992. Effect of retinoic acid, $\beta$ -carotene, and ascorbic acid on the mutagenicity of some anticancer antiviotics. J. Kor. Cancer Association 24:504-51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