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유지산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oregano seed solvent f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1, 2021년, pp.12 - 18  

이현종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민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홍성실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  김미자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오레가노 종자를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로 분획하여 시험관 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180℃로 산화된 옥수수 기름에 적용하여 유지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92.3%으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이 53.9%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 환원력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6,130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함량은 FRAP 환원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70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간 헤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80분 이상 산화가 진행되면서 오레가노 종자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80% 에탄올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25, 1.05, 1.02배 많은 산소함량 차이를 보였다. 유지의 일차 및 이차 산화생성물을 평가한 CDA, ρ-AV의 실험결과 CDA가는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conjugated dienes 생성이 1.5배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ρ-AV의 결과 또한 CDA가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한 유지 시료의 이차 산화물 양이 대조군에 비해 1.26배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오레가노 종자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GC 분석 결과 주요 휘발성 성분은 카바크롤, 타이모퀴논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레가노 종자의 항산화 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분획물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오레가노 종자가 가지고 있는 향기 성분 속 항산화물질이 실험에서 사용한 다른 용매들 보다 에틸 아세테이트 속에 다량 용출되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속에 포함된 테르펜폴리페놀 등의 물질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향후 오레가노 종자를 천연항산화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oregano seed fractions, fractionizing with 80% ethanol,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was evaluated, and their effects on edible oils were determined in corn oil at 180℃.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d the highest radical-scavenging activi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정유에 대한 항염, 항균, 및 항산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오레가노를 처리하는 조건은 연구마다 상이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레가노 종자를 효과적인 천연항산화제로 사용하기 위한 용매 조건을 탐색하고자 오레가노 종자를 80% 에탄올(ethanol), 헥세인(n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 증류수로 분획하여, 시험관 내에서 항산화 활성과 유지 산화 안정성 평가 및 유효 분획물의 향기 분석을 통해 오레가노 종자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추출 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CK, Lee YC, Yeon CA.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91-499 (2000) 

  2. Almeida-Doria RF, Regitano-Darce MAB. Antioxidant activity of rosemary and oregano ethanol extracts in soybean oil under thermal oxidation. Cienc. Tecnol. Aliment. 20: 197-203 (2000) 

  3.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996) 

  4. Boroski M, Giroux H, Sabik H, Petit H, Visentainer J, matumotoPintro P, Britten M. Use of oregano extract and oregano essential oil as antioxidants in functional dairy beverage formulations. Food Sci. Tech-Brazil. 47: 167-174 (2012) 

  5. Boskovic M, Glisic M, Djordjevic J, Starcevic M, Glamoclija N, Djordjevic V, Baltic MZ. Antioxidative activity of thyme (Thymus vulgaris) and oregano (Origanum vulgare) essential oils and their effect on oxidative stability of minced pork packaged under vacuum and modified atmosphere. J. Food Sci. 84: 2467-2474 (2019) 

  6. Bouaziz A, Khennouf S, Zarga MA, Abdalla S, Baghiani A, Charef N. Phytochemical analysis, hypotensive effec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yrtus communis L. growing in Algeria. Asian Pac. J. Trop Biomed. 5: 19-28 (2015) 

  7. Cho SM, Choi YS, Park SY, Park TS. Carvacrol prevents dietinduced obesity by modulating gene expression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inflammation in mice fed with high-fat diet. J. Nutr. Biochem. 23: 192-201 (2012) 

  8. Cho M, Kim H, Chae Y.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Korean J. Med. Crop. Sci. 11: 40-45 (2003) 

  9. Choi MY, Rhim TJ.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Plant Res. 21: 352-356 (2008) 

  10. Deleanu M, Popa EE, Popa ME. Chemical composition and active properties evaluation of wild oregano (Origanum vulgare) and ginger (Zingiber officinale-Roscoe) essential oils. Rev. Chim. 69: 1927-1933 (2018) 

  11. Dorman HJD, Deans SG. Antimicrobial agents from plan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J. Appl. Microbiol. 88: 308-316 (2000) 

  12.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999) 

  13.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12) 

  14. Ham H, Woo KS, Lee B, Park JY, Sim EY, Kim BJ, Lee CW, Kim SJ, Kim WH, Lee JS, Lee YY.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oat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660-1665 (2015) 

  15. Han CH, Kim MA, Kim MJ. Korean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oregano seed ethanol extract. J. Food Preserv. 26: 165-173 (2019) 

  16. Hu X, Chen L, Shi S, Cai P, Liang X, Zhang S.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Lonicerae macranthoides by HPLCDAD-QTOF-MS/MS. J. Pharmaceut. Biomed. 124: 254-260 (2016) 

  17. Jadid N, Hidayati D, Hartanti SR, Arraniry BA, Rachman RY, Wikanta W.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Piper retrofractum Vahl. using DPPH assay. AIP Conf. Proc. 1854: 020019-1-020019-6 (2017) 

  18. Ji CI, Byun HS, Kang JH, Lee TG, Kim SB, Park YH.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ic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551-556 (1992) 

  19. Kang DR, Shim KS, Choe HS, Na CS.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ytotoxicity of hot water extracts of major herbs in Korea. Korean J. Org. Agric. 25: 821-830 (2017) 

  20. Katalinic V, Milos M, Kulisic T, Jukic M. Screening of 70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henols. Food Chem. 94: 550-557 (2006) 

  21. Kim MA, Kim MJ. Isoflavone profil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different parts of soybean sprout. J. Food Sci. 85: 689-695 (2020) 

  22. Kouri G, Tsimogiannis D, Bardouki H, Oreopoulou V. Extraction and analysis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Origanum dictamnus. Innov. Food Sci. Emerg. 8: 155-162 (2007) 

  23. Lee MR, Lim SB.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es of Ptertidium aquilinum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J. Agric. Life Sci. 49: 209-219 (2015) 

  24. Rhim TJ, Choi M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425-430 (2009) 

  25. Ruben O, Valeria N, Ruben GN.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s from oregano essential oils obtained by molecular distillation. Food Chem. 156: 212-219 (2014) 

  26. Ryu KY, Kim AG, Kim TS, Lee HH, Seo KW, Cho BS. Inhibition effect of herbs on the rancidity of soybean oil. Korean J. Food Preserv. 25: 36-43 (2018) 

  27. Shan B, Cai YZ, Sun M, Corke H. Antioxidant capacity of 26 spice extract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phenolic constituents. J. Agric. Food Chem. 53: 7749-7759 (2005) 

  28. Sharma OP, Bhat TK. DPPH antioxidant assay revisited. Food Chem. 113: 1202-1205 (2009) 

  29. Sridhar K, Charles A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Kyoho grape extracts in DPPH and ABTS assays: estimation methods for EC 50 using advanced statistical programs. Food Chem. 275: 41-49 (2019) 

  30. Ultee A, Slump RA, Steging G, Smid EJ. Antimicrobial activity of carvacrol toward Bacillus cereus on rice. J. Food Protect. 63: 620-624 (2000) 

  31. Yoshino K, Higashi N, Koga K.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oregano extract. J. Health Sci. 52: 169-173 (2006) 

  32. Yu MH, Chae IG, Jung YT, Jeong YS, Kim HI, Lee I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fractions. J. Life Sci. 21: 375-38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