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적 증상,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5, 2009년, pp.613 - 621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전은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강미영 (제일병원 유방암클리닉) ,  정용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김구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QOL)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QOL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200 disease-free breast cancer survivors at two hospitals between December 2007 and July 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일 대학병원 및 여성병원 유방암센터 에서 추적검사를 받는 유방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유방암 생존자의 증상과 삶의 질 및 이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은 95.
  •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증상과 삶의 질 및 이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적응증진프로그램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진단 후 수술과 보조적 치료가 끝난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증상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유방암 발병률이 증가함과 함께 유방암 생존자의 수도 급증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술과 보조적 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생존자의 적응 및 삶의 질은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및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의학적 치료가 완료된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적,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유방암 생존자의 적응과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생존 자란? National Coalition for Cancer Survivorship (NCCS, 2008) 은 생존자란 암 진단을 받은 이후 치료를 받고 있거나 치료가 완료된 상태로 살고 있는 자로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 유방암 생존 자란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유방절제술이나 부분절제술을 받고 호르몬요법을 제외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 보조적 치료가 끝났거나 수술 후 보조치료가 더 이상 필요 없는 자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여성암 중 1위는?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며(15.0%), 우리나라의 한 해 유방암 발생 환자 수는 1996년 3천여 명에서 2006년에 1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 10여 년 사이에 3배 가량 증가하였다(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8).
FACIT에서 개발한 한국어판 FACT-B의 설문 구성은? 삶의 질은 FACIT에서 개발한 한국어판 FACT-B를 이용하였 다. FACIT-B는 총 37문항으로 지난 일주일 동안의 신체적 안녕 7문항, 사회적 안녕 7문항, 정서적 안녕 6문항, 기능적 안녕 7문항, 유방암 하위영역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0점에서 ‘상당히 그렇다’ 4점까지 5점 척도로 측정되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fano, C. M., & Rowland, J. H. (2006). Recovery issues in cancer survivorship: A new challenge for supportive care. Cancer Journal, 12, 432-443 

  2. Ashing-Giwa, K. T., Padilla, G., Tejero, J., Kraemer, J., Wright, K., Coscarelli, A., et al. (2004). Understanding the breast cancer experience of women: A qualitative study of African American, Asian American, Latina and Caucasian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13, 408-428 

  3. Avis, N. E., Crawford, S., & Manuel, J. (2005) Quality of life among younger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3322-3330 

  4. Brandberg, Y., Sandelin, K., Eriksonm, S., Jurell, G., Liljegren, A., Lindblom, A., et al. (2008). Psychological reactions, quality of life, and body image after bilateral prophylactic mastectomy in women at high risk for breast cancer: A prospective 1-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6, 3943-3949 

  5. Cappiello, M., Cunningham, R. S., Knobf, M. T., & Erdos, D. (2007). Breast cancer survivors: Information and support after treatment.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278-293 

  6. Chang, V. T., Hwang, S. S., Feuerman, M., Kasimis, B. S., & Thaler, H. T. (2000). The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short form (MSAS-SF). Cancer, 89, 1162-1171 

  7. Engel, J., Kerr, J., Schlesinger-Raab, A., Sauer, H., & Ho_lzel, D. (2004). Quality of life following breast-conserving therapy or mastectomy:Results of a 5-year prospective study. Breast Journal, 10, 223-231 

  8. Ferrell, B. R., Dow, K. H., & Grant, M. (1995).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Research, 4, 523-531 

  9. Ganz, P. A., Desmond, K. A., Leedham, B., Rowland, J. H., Meyerowitz, B. E., & Belin, T. R. (2002). Quality of life in long-term, disease-free survivors of breast cancer: A follow-up stud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4, 39-49 

  10. Hwang, S. Y., Park, B. W., & Lee, K. S. (2001). A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61, 357-363 

  11. Janz, N. K., Mujahid, M., Chung, L. K., Lantz, P. M., Hawley, S. T., Morrow, M., et al. (2007).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Journal of Women's Health, 16, 1348-1361 

  12. Jun, E. Y. (2007). The effects of a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on marital intimacy,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6).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69-178 

  14. Kim, J. N. (2008). Long-term effect of the integrative group psycho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states in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 513-536 

  15.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8). A white paper on breast cancer. Seoul: Author 

  16. Loerzel, V. W., McNees, P., Powel, L. L., Su, X., & Meneses, K. (2008).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in the first year of survivorship. Oncology Nursing Forum, 35, 924-932 

  17. Lu, W., Cui, Y., Chen, X., Zheng, Y., Gu, K., Cai, H., et al. (2009). Changes in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three years post-diagnosis. Breast Cancer Research Treatment, 114, 357-369 

  18. McNair, D. M., Lorr, M., & Droppleman, L. F. (1971).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 Mehnert, A., & Koch, U. (2008, May). Psychological comorbid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awareness, utilization, and need for psychosocial support in a cancer register-based sample of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4, 383-391 

  20. Millar, K., Purushotham, A. D., McLatchie, E., George, W. D., & Murray, G. D. (2005). A 1-year prospective study of individual variation in distress, and illness perceptions, after treatment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8, 335-342 

  21. Min, H. S., Park, S. Y., Lim, J. S., Park, M. O., Won, H. J., & Kim, J. Y. (2008). A study on behaviors for preventing recurr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87-194 

  22. Montazeri, A., Vahdaninia, M., Harirchi, I., Ebrahimi, M., Khaleghi, F., & Jarvandi, S. (2008).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efore and after diagnosis: An eighteen months follow-up study. BMC Cancer, 11, 330-339 

  23. Mrozek, E., & Shapiro, C. L. (2005). Survivorship and complications of treatment in breast cancer. Clinical Advances in Hematology and Oncology, 3, 211-222 

  2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August). National cancer statistics. Retrieved October 10, 2008, from http://www.cancer.go.kr 

  25. National Coalition for Cancer Survivorship. (2008, May). NCCS Resources. Retrieved October 11, 2008, from http://www.canceradvocacy.org/resources/publications/ 

  26. Paskett, E. D., Alfano, C. M., Davidson, M. A., Andersen, B. L., Naughton, M. J., Sherman, A., et al. (2008).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acial differences and comparisons with noncancer controls. Cancer, 113, 3222-3230 

  27. Phillips, K. A., Osborne, R. H., Giles, G. G., Dite, G. S., Apicella, C., Hopper, J. L., et al. (2008). Psychosocial factors and survival of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6, 4666-4671 

  28. Suh, Y. O. (2007).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59-466 

  29. Sutherland, H. J., Walker, P., & Till, J. E. (1988).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oncology patients' emotional distress using linear analogue scales. Cancer Nursing, 11, 303-308 

  30. Thompson, P. (2007). The relationship of fatigue and meaning in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34, 653-6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