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방암 생존자의 피로와 디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igue and Distress on Self-efficac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4, 2016년, pp.378 - 387  

서미혜 (영남대학교병원) ,  임경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impact of fatigue and distress on self-efficac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o provide a base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self-efficacy.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5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피로, 디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생존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바람직한 효과를 산출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으로[5], 유방암 환자의 적극적인 적응 과정에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이며[6], 자가간호행위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7]. 유방암 생존자에서 자기효능감은 투병의지, 희망, 신체적 ․ 정서적 ․ 사회적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6],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피로, 디스트레스와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효과적인 자가간호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스스로 자가간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자기효능감이 중요하다[4]. 자기효능감은 바람직한 효과를 산출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으로[5], 유방암 환자의 적극적인 적응 과정에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이며[6], 자가간호행위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7]. 유방암 생존자에서 자기효능감은 투병의지, 희망, 신체적 ․ 정서적 ․ 사회적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6],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피로, 디스트레스와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유방암 환자에게 피로는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가? 뿐만 아니라, 유방암 생존자들은 심리적으로 불안, 우울, 상실감, 수치감,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의 감정과 여성의 상징인 유방의 상실로 인하여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감소하여 정신적 피로까지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3,11,12]. 이러한 암 환자의 피로는 기분, 집중, 인지, 작업능력, 의학적 치료, 기능 상태와 안녕 수준을 방해하여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부 국외연구에서는 피로가 자기효능감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또한,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인 성격의 불쾌한 경험인 디스트레스도 일부 국외연구에서 자기효능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Breast Cancer Society. 2014 breast cancer white paper [Internet]. Seoul: Korea Breast Cancer Society; 2014 [cited 2014 July 1].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4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2. Lee SJ, Chon SJ, Roh, YS, Park YM.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the range of motion in the shoulders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3):398-407. 

  3.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s M, Ramirez A.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2005;330(7493):702-6. http://dx.doi.org/10.1136/bmj.38343.670868.D3 

  4. Lev EL, Daley KM, Conner NE, Reith M, Fernandez C, Owen SV. An intervention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self-efficacy and decrease symptoms in breast cancer patients.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2001;15(3):277-94. 

  5.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6. Rottmann N, Dalton SO, Christensen J, Frederiksen K, Johansen C. Self-efficacy, adjustment style and well-be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Quality of Life Research. 2010;19(6):827-36. 

  7. Zhang Y, Kwekkeboom K, Petrini M.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in China. Cancer Nursing. 2014 Forthcoming. 

  8. Haas BK. Fatigue,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Nursing. 2011;34(4): 322-34.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1f9a300 

  9. Hoffman AJ, von Eye A, Gift AG, Given BA, Given CW, Rothert M.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for perceived self-efficacy for fatigue self-management. Cancer Nursing. 2011;34(3):167-75.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0f4ed1 

  10. Mosher CE, DuHamel KN, Egert J, Smith MY. Self-efficacy for coping with cancer in a multiethnic sample of breast cancer patients: associations with barriers to pain management and distress. Clinical Journal of Pain. 2010;26(3):227-34. http://dx.doi.org/10.1097/AJP.0b013e3181bed0e3 

  11. Kim SH, Son BH, Hwang SY, Han W, Yang JH, Lee S, et al. Fatigue and depression in disease-free breast cancer survivors: prevalence, correlates, and association with quality of lif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8;35(6):644-55.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7.08.012 

  12. National Cancer Institute. Psychosocial distress [internet]. Rockvill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 [cited 2014 November 4].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supportivecare/adjustment/HealthProfessional/page6 

  13. Kwon EJ, Yi MS.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289-96. http://dx.doi.org/10.5388/aon.2012.12.4.289 

  14. Mullan F. Seasons of survival: reflections of a physician with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5;313(4):270-3. 

  15. Card IC. National coalition for cancer survivorship perspective. group V: resources for care. Cancer. 1993;71(10):3244. 

  16. Piper BF, Dibble SL, Dodd MJ, Weiss MC, Slaughter RE, Paul SM.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1998;25(4):677-84. 

  17. Piper BF, Lindsey AM, Dodd MJ. Fatigue mechanisms in cancer patients: developing nursing theory. Oncology Nursing Forum. 1987;14(6):17-23. 

  18. Lee EH. Construct validity of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3):485-93. 

  19.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distress management [internet]. Washington, D.C.: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4 [cited 2014 November 7]. Available from: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distress.pdf 

  20. Kim JH.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Korea.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distress management towar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Final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Korea; 2009 May. Report No: 0830690-1. 

  21. Lee R, Kim SH, Lee KS, Seo M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 SM-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85-9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85 

  22. Kwon YW. Factors related to fatigu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2):310-19. 

  23. Park JH.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of fatigue during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3;15(1):33-44. 

  24. Jung MS. A Study on radiation-treated cancer patient's symptom distresses and fatigue symptom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25. Lee KS, Lee R, Kim DM, Kim SH.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ping styl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35-43. http://dx.doi.org/10.5388/aon.2012.12.1.35 

  26. Yang K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resili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p. 1-133. 

  27. Kim SK.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13. 

  28. Lee YS. Psychosocial experience in post-mastectomy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7;59(3):99-124. 

  29. Linda HE, Jannelle MT.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improving oncology patient outcomes. Pittsburgh: Oncology Nursing Socie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