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 및 전담 간호사의 신체검진 수행정도 및 심화교육 요구
Use of Physical Assessment Skills and Education Need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Nurse Specialis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5, 2009년, pp.709 - 719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김복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  강희선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physical assessment skills used by, and educational need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and nurse specialist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23 APNs and nurse specialists working in five major hospital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July 15 to August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문 또는 전담간호사가 어떤 신체검진기법을 사용하는가를 조사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문 또는 전담간호사들의 신체검진 수행정도와 계속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실무에서 대상자들이 정규적으로 사용하는 검진기법은 주로 일반적 관찰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 본 연구는 전문 또는 전담간호사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신체검진 영역과 심화교육을 원하는 영역을 파악하여 신체검진교육과정과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 자체 기준에 의해 선발되어 일반간호사와는 구별되는 업무를 전담하지만 법적으로 전문간호사 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자로 병원 내에서 전담간호사 또는 Physician Assistant (PA)라는 직책으로 임명되어 상급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를 말한다.
  •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동안 효율적으로 지식 및 기술이 훈련되고 졸업 이후에도 분야에 맞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문간호사나 전담간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인력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신체검진 영역을 파악하여 향후 이들의 정규교육과 보수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의 기본 축은 무엇인가? 전문간호사의 핵심적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 교육 및 상담, 연구, 리더쉽, 자문 및 협동이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5). 이 중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은 자료 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를 기본 축으로 하고 있고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정확하고도 구체적인 신체검진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간호사의 핵심적 역할은 무엇인가? 전문간호사의 제도화는 국민의 다양한 건강서비스 요구에 부응한다는 측면에서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일반간호사와의 차별화된 역할과 질적인 교육을 통해 실무에서 책임있는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간호사의 핵심적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 교육 및 상담, 연구, 리더쉽, 자문 및 협동이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5). 이 중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은 자료 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를 기본 축으로 하고 있고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정확하고도 구체적인 신체검진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중 직접간호 역량을 향샹시키기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개발 연구(Kim, You, Kwon, Moon, & Sung, 2005)에서 전문간호사가 경력간호사와 차별되는 첫번째 역량으로 직접간호영역을 제시하면서 미국의 경우 전문 간호사가 직접간호영역에서 활발한 업무수행을 하고 있는 것이 성공적으로 건강관리에 기여하는 전문가로 자리 잡게 된 요인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직접간호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있는 것이 신체검진 영역이다. 미국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Giddens, 2007)에서 간호사들도 30가지 정도의 신체검진 기술을 규칙적으로 수행한다고 보고하였으나 대부분이 호흡기와 순환기에 국한된 기술들이어서 일차건강관리에서 인체 전 영역의 신체 검진 기법을 수행하는 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일상업무 수행이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urfaro, T., Bernaix, L., Schmidt, C., & Clement, J. (2008). Nurse practitioners' knowledge and practice regarding malignant melanoma assessment and counseling.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 367-375 

  2. Giddens, J. F. (2007). A survey of physical assessment techniques performed by RNs: Lessons for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 83-87 

  3. Han, S. S., Kang, H. Y., Koh, M. S., Kim, K. J., Kim, S. S., Kim, Y. S., et al. (2005). Advanced Practice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Co 

  4. Joel, L. A. (2009). Advanced practice nursing: Essentials for role development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Com 

  5. Kelley, F. J., Kopac, C. A., & Rosselli, J. (2007). Advanced health assessment in nurse practitioner programs: Follow-up study.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3, 137-143 

  6. Kim, H., You, S., Kim, M., & Park, C. (2004). Direct car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me care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0, 261-265 

  7. Kim, J. W. (2008). The analysis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ing education program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8. Kim, S. S., You, O. S., Kwon, I. G., Moon, S. M., & Sung, Y. H. (2005).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critical care and core competenc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1, 165-177 

  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5). Advanced Practice Nurses’ core competency and roles in specialties. Retrieved September 11, 2007, from http://www.kabon.or.kr/ 

  10.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8a). Advanced Practice Nurses’ core competency and roles in specialties. Retrieved May 18, 2009, from http://www.kabon.or.kr/kabon04/index03.php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8b). Result of survey on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 statu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9). Advanced Practice Nurses’ core curriculum and standardized curriculum. and roles in specialties. Retrieved May 18, 2009, from http://www.kabon.or.kr/kabon03/index03_02.php 

  13.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1). Report on legalization process of Advanced Practice Nurse in Korea. Retrieved September 11, 2007, from http://www.koreanurse.or.kr/ 

  14. Kwon, I. G., Kim, Y. H., Hwang, K. J., Kim, H. S., Lee, B. S., Lee, H. S., et al. (2003). A survey on the role and present stat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9, 55-75 

  15. Lee, J. H., Sung, Y. H., Yi, Y. H., Cho, Y. A., & Kwon, I. G. (2007). The role analysi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93-108 

  16. Lynn, M.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17. O'Farrell, B., Ford-Gilboe, M., & Wong, C. (2000). Evaluation of an advanced health assessment course for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s. Canadian Journal of Nursing Leadership, 13(3), 20-27 

  18. Oh, K., Kim, K. M., Kim, K. S., Park, J. W., Sung, M. S., Oh, E. G., et al. (2007). Educational issues and strategies to improve AP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801-809 

  19. Oliveria, S. A., Christos, P. J., Marghoob, A. A., & Halpern, A. C. (2001). Skin cancer screening and prevention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6, 297-301 

  20. Park, Y. A. (2007). Development of job standards for neonatal nurse practitioner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27-141 

  21. Pulcini, J., & Wagner, M. (2002). Nurse practition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success story. Clinical Excellence for Nurse Practitioners, 6(2), 51-56 

  22. Ryu, H. S., Oh, P. J., Lim, J. Y., Kang, H. S., Yang, S. H., Seomun, G., et al. (2007). Needs of training programs for practice courses in advanced practice nurs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553-561 

  23. Scherer, Y. K., Bruce, S. A., Montgomery, C. A., & Ball, L. S. (2008). A challenge in academia: Meeting the healthcare needs of the growing number of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 471-476 

  24. Seidel, H. M., Ball, J. W., Dains, J. E., & Benedict, G. W. (1999). Physical examination (4th ed.). New York, NY: Mosby 

  25. Spain, M. P., DeCristofaro, C., & Smith, C. A. (2004). Educating advanced practice nurses for collaborative practice in the multidisciplinary provider tea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6, 535-546 

  26. Theroux, R., & Pearce, C. (2006).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with standardized patients as adjuncts for teaching pelvic examin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8, 429-435 

  27. Ward, H., & Barratt, J. (2005). Assessment of nurse practitioner advanced clinical practice skills: Using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Primary Health Care, 15(10), 37-41 

  28. West, S. L. (2006). Physical assessment: Whose role is it anyway? Nursing in Critical Care, 11(4), 161-167 

  29. Yawn, B. P., & Wollan, P. C. (2008). Knowledge and attitudes of family physicians coming to COP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3, 311-317 

  30. Yoo, M. S., & Yoo, I. Y. (2003). Effects of OSCE method on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of studen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229-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