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0, 2014년, pp.583 - 595  

곽찬영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박진아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의 운영현황 및 업무 실태를 전수조사 하여 전담간호사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총 318개의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부서장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141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704명의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2011년 4월부터 5월에 자료수집이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담간호사의 평균연령은 32.5세이며, 교육수준은 대졸이 가장 많았고, 전문간호사 자격증 보유자는 13.4%이었고, 전담간호사의 전반적인 업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3점이었으며, 불명확한 업무 구분이 전담간호사를 가장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담간호사 역할정립을 위해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 마련(5점 만점에 평균 4.71)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담간호사 실태는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한 낮은 만족도, 부적합한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전담간호사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담간호사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한국 실정에 맞는 전담간호사 제도 확립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spital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ly using physician assistants (PA) as an alternative way of dealing with the shortage of residents. However, some incidents of a Physician's Assistant practicing beyond their legal scope require closer examination of the current PA's roles and functions.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의료진의 책임 하에 일부 위임받은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전담 간호사(한국형 PA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담간호사의 운영현황 및 업무 실태를 전수조사 하여 전담간호사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의 업무는? 미국에서는 보건의료 환경에서 ‘mid-level duties’를 수행하는 전문직으로 수련의, APN(advanced practice nurses), 그리고 PA를 꼽는다. PA의 업무로는 건강력, 신체검진, 임상진단, 진단검사 처방 및 해석, 약물처방, 상처봉합, 환자교육 등이며 nursing home 및 병원에서 의사의 지도, 감독 하에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은 수련인력이 아니고 정식직종이므로 병원에서 원하는 대로 선발할 수 있고 상당히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전담간호사는 어떤 어려움을 해결하기위해 도입되었는가? 최근 국내 의료기관들은 전공의 수급불균형 문제, 복잡 다양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 요구도 증가, 의료분쟁 심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Physician Assistant, 전담간호사, 전문간호사 등의 명칭을 이용한 의사보조인력(이하 PA 라고 칭함)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PA가 도래된 배경은? 이들은 수련인력이 아니고 정식직종이므로 병원에서 원하는 대로 선발할 수 있고 상당히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미국의 경우 PA가 도래된 배경은 1960년대 중반 농촌과 도시 빈민지역의 일차진료 의사 부족 때문이며, 1970년대에는 PA 교육 프로그램들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PA의 숫자는 급성장하게 되었다. 현재 미국에는 130개 이상의 인증 받은 교육프로그램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소선, 곽월희, 문성미, 성영희, "우리나라 PA(Physician Assistant)의 역할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2권, 제1호, pp.67-79, 2006. 

  2. http://www.paeaonline.org/index.php?display 

  3. 김경숙, 김미원, "국내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간호학의 지평, 제6권, 제1호, pp.39-53, 2009. 

  4. 김달숙, 김수현, 김광성, 전명희, 김진현, 이현주, " 종양전문간호사 업무에 대한 수가 실태", 종양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55-162, 2011. 

  5. 김진현, "전문간호사의 수급 현황과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간호학의 지평, 제7권, 제1호, pp.23-35, 2010. 

  6. 김진현, 김명애, 김미원, 김경숙, 유정숙, 이은희, "중환자실 전문간호사의 전문간호행위분류와 수행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4호, pp.527-538, 2009. 

  7. 권영대, 성영희, 권인각, 황문숙, "진료협력간호사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4권, 제3호, pp.99-115, 2008. 

  8. 성영희, 임난영, 박광옥, 정정희, 권인각, 김을순 등, "진료협력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교육상담간호사와 진료코디네이터간호사 중심-",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2호, pp.139-155, 2009. 

  9. 오중환, "우리나라 흉부외과 Physician Assistant의 현황", 대한흉부외과학회 제26차 춘계학술대회 연제집,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10. 대한외과학회, "외과 PA 현황", 대한외과학회 보도자료, 2011. 

  11. 병원간호사회, 2010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0병원간호사회 사업보고서, 2011. 

  12. http://www.aapa.org/geninfo1.html 

  13. 신현숙, 김복자, 강희선, "전문 및 전담 간호사의 신체검진 수행정도 및 심화교육 요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pp.709-719, 2009. 

  14. 권인각, 김연희, 황경자, 김혜숙, 이봉숙, 이혜숙 등, "임상전문간호사 운영현황 및 역할조사", 임상간호연구, 제9권, 제1호, pp.55-75, 2003. 

  15. http://www.aanp.rog/all-about-nps 

  16. R. A. Cooper, T. E. Getzen, H. J. McKee, and P. Lund, "Economic and demographic trends signal an impending physician shortage," Health affairs, Vol.21, No.1, pp.140-154, 2002. 

  17. 정희진, "전문간호사의 법적 책임",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51-169, 2009. 

  18. 김세영, 권영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갈등 경험",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6호, pp.186-199, 2014. 

  19. 양인숙, 강지숙, "전담간호사의 역할갈등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질적연구, 제13권, 제1호, pp.24-35, 2012. 

  20. M. J.Aigner, S. Drew, and J. Phipps, "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home resident outcomes between care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physicians versus physicians only," Journal of American Med Dir Association, Vol.5, No.1, pp.16-23, 2004. 

  21. D. Brooten, J. M. Youngblut, J. Kutcher, and C. Bobo, "Quality and the nursing workforce: APNs, patient outcomes and health care costs," Nursing Outlook, Vol.52, No.1, pp.45-52, 2004. 

  22. S. Brown and D. Grimes, "A meta-analysis of nurse practitioners and nurse midwives in primary care," Nursing Research, Vol.44, No.6, pp.332-339, 1995. 

  23. http://www.aacn.org/wd/certifications/content/generalinfo.pcm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