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hysician Assistant(PA)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Job Satisfaction to Job Stress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1, 2011년, pp.4914 - 4923  

윤순영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0년 9월 1일부터 2011년 1월 10일까지 PA(전담)간호사 10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stistics 18.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평균점수는 여성 45.07(${\pm}9.78$)점, 남성 43.47(${\pm}13.77$)점이었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2.72(${\pm}0.30$)점이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미혼에서 조직체계(p<.05)와 보상부적절(p<.01)에 대한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에 대한 수정된 $R^2$ 값이 0.567로 회귀모형이 56.7%로 적합하며, 직무자율성이 적고 조직체계가 합리적이지 못할 때 직무만족도가 감소하였으며, 3교대 근무자에 비해 2교대 근무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PA(전담)간호사의 직무자율성과 조직체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병원정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o job stress of physician assistant(PA) nurses. This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4 PA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10 to January 10, 2011, and analyzed by SPS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PA(전담)간호사와 관련된 연구는 김소선 등[4]의 “우리나라 PA의 역할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외에는 없다. 그러므로 전공의와 전문 간호사 등의 업무가 혼재된 상황에서 PA(전담)간호사가 직무수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새로운 전문직도입의 정책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S시와 D시 및 K도에 위치한 7개 준ㆍ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PA(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에서 남성은 43.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제도권 내에서 법적으로 교육과정이나 자격기준 및 업무규정이 명확하지 않지만 여러 의료기관의 요구에 의해 각기 다른 훈련과정을 통해 자격을 부여받아 활동하고 있는 PA(전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서비스 산업의 특징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건의료서비스 산업은 노동 집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료 인력이 중요하며, 국민들의 의료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의료인력 계획과 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1]. 보건의료분야의 중심은 의사이며, 의사는 여러 직종의 보건의료 인력과 협력하여 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우리나라 PA (전담)간호사들의 업무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PA간호사와 전담감호사가 같은 의미로 통한다.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PA (전담)간호사들의 업무는 환자 및 가족의 교육ㆍ상담 업무부터 환자상태에 따른 치료계획의 조정 변경, 환자상태 평가, 검사처방, 약물처방, 수술 및 수술보조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를 잡고 자르거나 꿰매며, 예진 또는 회진까지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 이러한 업무는 일반간호사의 업무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전공의 업무와 중첩되거나 간호업무와도 모호한 관계가 형성되면서 타 의료직종과의 업무갈등이 생기는 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4].
직무스트레스에 관해 하부 영역별 분석 결과 성별에서 보이는 특징은? 78)점이었다[표 1, 표 2]. 하부 영역별 분석결과 남성에서 직무요구는 상위 25%, 관계갈등과 조직체계가 상위 50%에 속하는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여성은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모두 상위 50%수준의 스트레스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H. Oh, "Forecasting the supply and demand for medical assistant specialities and management policy implicati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2. OECD, "Health at a glance: OECD indicators - 2005 edition summary in Korean", 2005. 

  3. J. Kroenberger, L. S. Durham, and D. Woods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comprehensive medical assistin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Walters Kluwer Health Inc., USA, 2008. 

  4. S. S. Kim, W. H. Kwak, S. M. Moon, and Y. H. Sung, "Development of a role model for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2(1), pp 67-80, 2006. 

  5. B. N. Leem, "A study of system & role establishment of the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3. 

  6. http://www.dailymedi.com/news/opd/index 

  7. D. Condi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surgical subspecialities",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Physician Assistant, Vol. 15, pp 40-42, 2002. 

  8. C. L. Roy, C. L. Liang, and M. Lund, "Implementation of a physician assistant/hospitalist service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 impact on efficiency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Vol. 3(5), pp 361-368, 2008. 

  9. R. S. Hooker, R. Potts, and W. Ray, "Patient satisfaction: comparing physician assistant, nurse practitioners, and physicians. The Permanente Journal, Vol. 1(1), pp 38-42, 1997. 

  10. K. F. Shebesta, B. Cook, and L. Schweer, "Pediatric trauma nurse practitioners increase bedside nurse' satisfaction with pediatric trauma patient care",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 13(2), pp 66-69, 2006. 

  11. S. J. Jang,, D. M. Gang, and M. G. Gang, et al., "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The 2nd year project)",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4. 

  12. P. Krueger, K Brazil, L. Lohfeld, H. G. Edward, D. Lewis, and E. Tjam, Organization specific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findings from a Canadian multi-site quality of work life cross-sectional survey", BMC Health Serve Research, Vol. 2, pp 22-26, 2002 

  13. J. C. Ma, P. H. Lee, Y. C. Yang, and W. Y. Chang, "Predicting factors related to nurses' intention to leave,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quality of care in acute care hospitals", Nursing Economics, Vol. 27(3), pp 178-184, 2009. 

  14. S. E. Holmes, and C. E. Fasser, "Occupational stress among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ian Assistants, Vol. 6(3), pp 172-178, 1993. 

  15. Y. G. Shin, "Management of human respect", Dasan publisher, Seoul, 1997. 

  16. C. M. Liu, C. W. Chien, P. Chou, J. H. Liu, V. T. K. Chen,, J. Wei, Y. Y. Kuo, and H. C. Lang, "A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ian assistants in Taiwan, Health Policy, Vol. 73, pp. 66-77, 2005. 

  17. E. G. Lambert, N. L. Hogan, and M. L. Griffin, "The impac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correctional staf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 35(6), pp. 644-656, 2007. 

  18. H. G. Kim, and H. K. Nam,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compensation case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8(2), pp. 262-269. 

  19. S. W. Hong, D. C. Uhm, and M. H. Ju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9(2), pp. 223-235, 2010. 

  20. H. C.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6. 

  21. K. S. Yoo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2010, Daejeon. 

  22. M. O. Oh, M. H. Sung, and Y. W. Kim,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2), pp. 215-227, 2011. 

  23. K. M. Lee, "Study on relationship of work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Gwangju. 

  24. Y. J. Kim,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A case study of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2010, Cheonan. 

  25. H. S. Jang,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Kongju. 

  26. J. R. Seo, "Wound ostomy continence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2011, Seoul. 

  27. S. H. Yoon, S. J. Choi, D. H. Shin, I. S. Chung, and J. S. Ha, "Job Stressors in Subway Workers and Fireme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9(3), pp 179-186. 

  28.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 2, pp. 99-113, 1981. 

  29. S. P. Glowinkowski, and C. L. Cooper, "Current issues in organizational stress research", Bulletin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Vol. 38, pp. 212-216,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