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ycidyl Azide Polymer를 포함하는 에너지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성질
Synthesis and Properties of 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included Glycidyl Azide Polymer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2 no.5, 2009년, pp.660 - 666  

김형석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유종성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권정옥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노시태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권순길 (국방과학연구소) ,  이정환 (국방과학연구소) ,  유재철 ((주)헵스켐 기술연구소) ,  최근배 ((주)헵스켐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PU-TPE) and energetic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E-PU-TPE) were prepared from 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1,4-BD/AA ester polyol and glycidyl azide polymer(GAP-2400) as an energetic material by the addition polymerization. The PU-TPE and E-PU-TP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에너지화 우레탄 바인더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 실험의 한 부분으로 GAP이 도입되지 않으면서, Tm이 60~90℃인 우레탄 바인더를 합성하고 여기에 GAP을 도입하고 이 GAP의 함량 변화가 우레탄 바인더의 분자량, 열적성질 그리고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화 열가소성 우레탄의 가공성을 높이면서 가공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어 측정 온도범위를 25~150℃로 제한하였으며, 특히 Tm에 대한 관찰을 위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Table 3과 Fig.
  • PU-TPE 합성은 모델 반응으로 이소시아네이트는 HDI를 사용하였으며, 폴리올로는 1,4-BD/AA type의 결정성이 좋은 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이는 가공온도는 낮추고 상온에서는 고체추진제의 바인더로서 요구되는 일반적 물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결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E-PU- TPE 합성에서는 모델반응을 바탕으로 양 말단에 -OH기를 가지고 있어 우레탄 반응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물질로 잘 알려진 GAP-2400을 사용하였다.
  • 한편 가공 부분에서는 압출을 통한 가공성, 작업성 향상을 위해서는 바인더의 흐름성이 60~90℃ 범위에 형성되면서 상온에서는 추진제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 물성을 만족해야 한다. 이는 추진제의 구성물질과 GAP의 분해온도를 고려하여 압출 공정에서의 압력에 의한 분해를 최대한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성능 추진제 개발에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고성능 추진제 개발에서 요구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에너지화 물질을 사용하는 것과, 환경 친화적인 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chlorine-free 산화제 등이 합성 연구되어져 왔다[1].
GAP에 대한 어떤 연구들이 많이 시행되어져 왔는가? 이러한 미래의 고체 추진제에서 연소 연기를 최소화하고, 오염을 감소시키고, 감도가 낮은 에너지화 바인더로서 기대되는 것 중의 하나가 glycidyl azide polymer(GAP)이다[2,3]. GAP에 대한 합성[4], 구조[5], 열적거동[6],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폭발 성질[7] 등의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져 왔다.
우레탄 바인더의 제조가 단순하지만은 않은 이유는? 실질적으로 우레탄 바인더의 제조는 단순하지만은 않다. 이는 미량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습기와 경화제와의 부반응이 우레탄을 형성하는데 문제를 야기 시키기 때문이며, 이러한 것들은 elastomer matrix의 결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GAP을 경화 시키는 연구는 수없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 왔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impson, R. L., 'Thermal Characterization of Glycidyl Azide Polymer(GAP) and GAP-based Binders for Composite Propellants', Propel. Explos. Pyrotech., Vol. 22, p. 249, 1996 

  2. Frankel, M. B., Grant, L. R., Flanagan, J. E., 'Historical Development of Glycidyl Azide Polymer', J. Propuls. Power, Vol. 8, p. 560, 1992 

  3. Kubota, N., Yano, Y., Miyata, K., 'Energetic Solid Fuels for Ducted Rockets(II)', Propel. Explos. Pyrotech., Vol. 16, p. 287, 1991 

  4. Wahner, R. I., etc., 'Glycidyl Azide Polymer and Method of Preparation', U. S. Patent, 4937361, 1990 

  5. Kubota, N., 'Combustion of Energetic Azide Polymers', J. Propuls Power, Vol. 11, p. 677, 1995 

  6. Chen, J. K., Brill, T. B., 'Thermal Decomposition of Energetic Materials Kinetcs and Near-surface Products of Azide Polymers AMMO, BAMO, and GAP in Simulated Combustion', Combust. Flame, Vol. 87, p. 157, 1991 

  7. Agrawal, J. P., etc, 'High-speed Photographic Study of the Impact Response of Ammonium Dinitramide and Glycidyl Azide Polymer', J. Propuls. Power, Vol. 13, p. 463, 1997 

  8. Sutton, G. P., Rocket Propulsion Elements, 6'th ed., Wiley, New York, 1992 

  9. Kuo, K. K., summerfield, M., Fundamentals of Solid-Propellent Combustion, American Institute of Astronautics and Auronotics, New York, Vol. 90, 1984 

  10. Desilets, S., etc, $^{13}C$ -NMR Spectroscopy Study of Polyurethane Obtained from Azide Hydroxylterminated Polymer Cured with Isophorone Diisocyanate(IPDI)', J. Appl. Polym. Sci. A, Vol. 35, p. 2991, 1997 

  11. Selim, K., etc, 'Thermal Characterization of Glycidyl Azide Polymer(GAP) and GAP-based Binders for Composite Propellants', J. Appl. Polym. Sci., Vol. 77, p. 538, 2000 

  12. Shen, S. M., etc, 'Thermal Characteristics of GAP, GAP/BDNPA/BDNPF and PEG/BDNPA/BDNPF and the Energetic Composites Thereof', Thermochimica Acta, Vol. 180, p. 251, 1991 

  13. Oyumi, Y., 'Thermal Decomposition of Azide Polymer', Propel. Explos. Pyrotech., Vol. 17, p. 226, 1992 

  14. Jones, D. E. G., etc, 'Thermal Analysis of GAPTRIOL, an Energetic Azide Polymer', Thermochimica Acta, Vol. 242, p. 187, 1994 

  15. Shen, S. M., etc, 'Thermal Decomposition of Cured GAP-AP Propellants Containing Catocene', Thermochimica Acta, Vol. 216, p. 255,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