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깻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5, 2009년, pp.521 - 530  

최해연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소연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양순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 분말을 0%, 0.5%, 1%, 3%, 5%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들깻잎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97.33{\pm}14.49mg$ GAE/100 g이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은 $100{\mu}g/mL$에서 $35.56{\pm}3.02%$로 나타나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총 페놀 함량도 들깻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의 상관관계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이 양의 상관관계 r=0.8994(p<0.001)를 보여주어, 총 페놀 함량이 항산화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반죽의 밀도와 pH, 쿠키의 수분함량,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반죽의 밀도는 들깻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손실률은 1%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팽창률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색도는 쿠키에 첨가된 들깻잎 분말과 쿠키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마이얄 반응과 카라멜 반응 등이 영향을 주어,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들깻잎 분말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다. 그리고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미,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들깻잎 분말을 1%와 3% 첨가한 들깻잎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들깻잎 특성 강도에서는 색과 들깻잎 향미, 후미에서 5% 첨가군이 가장 강하였고 느끼한 향미와 단맛은 대조군이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고소한 맛에서는 1% 첨가군이, 부드러운 정도는 0.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들깻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제조 시 들깻잎 분말을 $1{\sim}3%$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lla leaves powder was added to cookies to determine a practical use for the herb, which has been shown to have medical benefits and functionalit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as ratios of 0.5%, 1%, 3%, 5% to the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들깻잎 쿠키를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맛과 품질이 우수한 기능성 쿠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깻잎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8%로서 이들 2가지 성분이 전체의 87%를 차지한다고 하였으며 perilla aldehyde 성분은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들깻잎에는 칼슘, 철, 인,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C, 베타카로틴, 타이로신, 라이신, 리놀렌산 등의 식물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들깻잎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Chung IM 등 1995, Jung M 등 2001), 항알러지(Makino T 등 2003, Takano H 등 2004), 항염증(Ueda H 등 2002), 항 HIV-1(Yamasaki K 등 1998) 등이 있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 효과(Lee KI 등 1993), 위암세포 억제효과(Park KY 등 1992),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효과(Han HS 등 2004), Nitric Oxide Synthase 저해활성 및 Peroxynitrite 소거활성(Kim JY 등 2007), 구강병 원인균에 대한 항균 및 KB(구강편평상피암주) 세포증식억제효과(Jo MJ와 Min KJ 2007)가 보고되었다.
들깻잎은 한방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japonica HARA)은 꿀풀과(Labiate)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고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에 참깨와 함께 재배한 기록이 있다(이성우 1978). 한방에서는 강장, 소화, 충독, 해독, 음종 및 옻의 해독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m SU 등 1994). 국내에서는 용도에 따라 종실용 들깨와 잎만을 생산하기 위한 잎들깨용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생산이 가능해 졌다(Choi YH와 Han JS 2001).
들깻잎이란? 들깻잎(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은 꿀풀과(Labiate)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고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에 참깨와 함께 재배한 기록이 있다(이성우 1978). 한방에서는 강장, 소화, 충독, 해독, 음종 및 옻의 해독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m SU 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이성우. 1978. 한국식생활문화연구. 향문사. 서울. pp 51-55 

  2.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Method 10-50D. American Assoc.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3. Adom KK, Sorrells ME, Liu RH. 2005.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lled fractions of different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3(6):2297-2306 

  4.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5):541-549 

  5. Choi YH, Han JS. 2001.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583-588 

  6. Chung IM, Yun SJ, Kim JT, Gwag JG, Sung JD, Suh HS. 1995. Test of superoxide dismutas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rilla leaves. Korean J Crop Sci 40(4):504-511 

  7. Doescher LC, Hoseney RC. 1985. Effect of sugar type and flour moisture on surface cracking of sugar-snap cookies. Cereal Chem 62(4):263-266 

  8. Gheldof N, Engeseth NJ. 2002. Antioxidants capacity of honeys from various flora 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inhibition of vitro lipoprotein oxidation in human serum samples. J Agric Food Chem 50(10):3050-3055 

  9. Hamed F. 1994. The science of cookies and cracker production. Campman & Hall, NY. USA. pp237-238 

  10. Han HS, Park JH, Choi HJ, Son JH, Kim YH, Kim S, Choi C. 2004. Biochemical analysi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erilla leaves. Korean J Food Culture 19(1):94-105 

  11. Han IH, Lee KA, Byoun KE.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cookies with cactus powder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443-451 

  12. Hong YP, Kim SY, Choi WY. 1986.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4):255-258 

  13. Jeon ER, Park ID. 2006. Effect of angelica plan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tter cakes and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62-68 

  14. Jo MJ, Min KJ. 2007.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on oral tumor cell of extracts of perilla and mugwort. Kor J Env Hlth Soc 33(2):115-122 

  15. Jung M, Chung H, Choi J, Jung MJ, Chung HY, Choi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defatted perilla seed. Nat Prod Sci 7(3):72-75 

  16. Jung YJ, Swo Hs, Myung JE, Shin JM, Lee EJ, Hwang IK.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 (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785-792 

  17. Kang NE, Lee I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gar cookies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J Korean Food Culture 22(4):468-474 

  18. Kang R, Helms R, Stout ML, Jaber H, Chen Z, Nakatsu T.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synergistic effects with polygodial. J Agric Food Chem 40(11):2328-2330 

  19.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978-984 

  20.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98-404 

  21. Kim HY, Park JH.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 cookies using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55-863 

  22. Kim JY, Kim JS, Jung CS, Jin CB, Ryu JH. 2007.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Kor J Pharmacogn 38(2):1-24 

  23. Kim SY, Han JH, Song Y, Lee SK. 2003. The effects of the ash content in flour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frozen dough.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1):39-45 

  24. Ko YJ, Joo NM.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iced cookie with addition of jinuni bean(Rhynchisia volubil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514-527 

  25. Lee JH, Ko JC.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ies incorporated with strawberry powder. Food Eng Prog 13(2):79-84 

  26. Lee JO, Lee SA, Kim KH, Choi JJ, Uook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37(3):342-347 

  27.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s with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98-105 

  28. Lee JS,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193-203 

  29.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C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1):1-7 

  30. Lee KI, Rhee SH, Kim JO, Chung HY, Park KY. 1993.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2(2):175-180 

  31. Lee SJ, Shin JH,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s with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s. J Kor Soc Food Sci Nutr 36(8):1048-1054 

  32. Lee SM, Jung HA, Paik JE, Joo NM. 2005. Optimization of iced cookie with the addition of dried sweet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0(5):516-524 

  33.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5):823-833 

  34.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leek(S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1):1-7 

  35. Lim E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Korean J Food & Nutr 21(3):300-305 

  36. Lim SU, Seo YH, Lee YG, Baek NI. 1994.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hmisia asiatica.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37(2):115-123 

  37. Makino T, Furata Y, Wakushima H, Fujii H, Satio K, Kano Y. 2003. Anti-allergic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active constituents. Phytother Res 17(3):240-243 

  38. Meng L, Lazano YF, Gaydou EM, Li B.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1):133-40 

  39. Miller RA, Hoseney RC, Morris CF. 1997. Effect of formula water content in the spread of sugar-snap cookies. Cereal Chem 74(4):669-674 

  40. Padayatty SJ, A Katx, Y Whang, P Eck, O kwon, Lee JH, S Chen, C Corpe, A Dutta, M Levine. 2003. Vitamin C as an antioxidant: evaluation of its role in disease prevention. J Am coll Nutr 22(1):18-25 

  41.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94-102 

  42.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2):149-153 

  43. Peng YY, Ye JN, Kong JL. 2005.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Agric Food Chem 53(21):8141-8147 

  44. Ragaee S, Abdel-Aal ESM, Noaman M. 2006. Antioxiant activit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cereals for food use. Food Chemistry 98(1):32-38 

  45. Shin GM, Im JC.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pine need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3):405-410 

  46. Shin JH, Lee SJ,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202-208 

  47.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1):83-88 

  48. Takano H, Osakebe N, Sanbongi C, Yanagisawa R, Inoue, K. Yasuda A, Natsume M, Baba S, Ichiishi E, Yoshikawa T. 2004.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enriched for rosmarinic acid, a polyphenolic phytochemical, inhibits seasonal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in humans. Exp Biol Med, 229(3):247-254 

  49. Ueda H, Yamazaki C, Yamazaki M. 2002.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5(9):1197-1202 

  50. Yamasaki K, Nakano M, Kawahata T, Moti H, Otake T, Ueba N, Oishi I, Lnami R, Yamane M, Nakamura M, Nurata H, Nakanishi T. 1998. Anti-HIV-1 of herbs in Labiatae. Biol Pharm Bull 21(8):829-8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