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커피 섭취량에 따른 영양섭취 및 식사의 질 평가
A Study Evaluating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Coffee Consumption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2, 2009년, pp.128 - 138  

배윤정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coffee consump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3-day dietary records with 353 studen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tudents who did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하여 커피는 대학생에게 있어 하루에 1∼2회 마시는 음료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Park 등 1999), 최근 섭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이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등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보고되고 있고(Seo 등 2003; Kim 등 2007; Lee 등 2007) 커피의 섭취에 따른 식품과 영양섭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인기로 들어서면서 커피의 섭취가 증가하는 대학생들의 커피 섭취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및 식사의 질을 조사하여 커피 음용과 식사섭취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영양교육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식사를 식품군별로 다양하게 섭취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군별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DDS)를 조사하였다. DDS는 Kant 등(1991)에 의해 개발된 방법으로 식품을 곡류군, 육류군, 유제품군, 채소군, 과일군 등으로 분류하여 육류군, 채소군, 과일군의 경우 고형식품은 30 g, 액체식품은 60 g, 곡류군과 유제품군의 경우 고형식품은 15 g, 액체식품은 30 g 이상을 섭취한 것을 기본으로 계산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 한 잔에 들어있는 카페인의 양은?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에는 약 40∼108 mg의 카페인이, 카페인 제거 커피에는 2∼4 m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는데(Gilbert 등 1976; McCusker 등 2003), 커피의 섭취는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의 영향으로 인체에 여러 생리적, 약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yed 1976). 커피 섭취는 흡연과 강한 상관성을 보여 흡연자들에게서 커피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Paul 등 1968; Kim 등 2007).
여대생을 커피의 섭취량에 따라 분류하여 식습관, 영양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평가한 결과는? 1. 평균 연령은 커피 비섭취군, 경도섭취군 및 중등도 섭취군에서 각각 20.5세, 20.4세, 20.0세로 세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도 커피 비섭취군(162.0 cm, 53.6 kg, 20.4), 경도섭취군(162.3 cm, 53.4 kg, 20.3) 및 중등도섭취군(163.7 cm, 52.9 kg, 2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커피 비섭취군, 경도섭취군 및 중등도섭취군의 1일 커피 섭취량은 각각 0 ml, 140.7 ml, 433.5 ml로 나타났다. 2. 질병 유무, 운동 및 흡연 여부와 같은 생활습관에서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일 알코올 섭취량은 커피 중등도섭취군이 경도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3. 1일 열량 섭취량은 커피 비섭취군, 경도섭취군 및 중등도섭취군 각각 1800.8 kcal, 1724.9 kcal, 1729.7 kcal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1일 식품섭취량도 커피섭취에 따른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식이섬유소, 비타민 A, 카로틴 및 엽산의 경우 커피 비섭취군이 경도섭취군과 중등도섭취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인 INQ를 조사한 결과 비타민 A, 나이아신 및 비타민 B6에서 커피 비섭취군이 경도섭취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편 채소류의 섭취에서는 커피 비섭취군이 경도섭취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군별 점수(DDS)는 커피 비섭취군, 경도섭취군 및 중등도섭취군에서 각각 3.9, 4.1, 4.0으로 나타났으며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폐경 후 여성의 카페인 섭취가 높을 때 동반하는 건강상의 위험성은? 커피 섭취는 흡연과 강한 상관성을 보여 흡연자들에게서 커피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Paul 등 1968; Kim 등 2007). 또한 커피 속의 설탕 섭취량과 심근경색과의 양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으며(Yudkin & Morland 1967), 칼슘의 섭취수준이 낮은 폐경 후 여성에게 있어 카페인 섭취가 높을수록 카페인 섭취가 낮은 여성에 비해 유의적인 골손실 증가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Harris & Dawson-Hughes 1994). 반면, 커피 성분중 존재하는 antioxidant가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시켜 인슐린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연구(Wu 등 2005)도보고되어 커피 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MK, Lee YS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coffee consumpti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Korean adult men and women. Korean J Food & Nutr 20(4):460-466 

  2. Gilbert RM, Marshman JA, Schwieder M, Berg R (1976): Caffeine content of beverages as consumed. Can Med Assoc J 114(3):205-208 

  3. Harris SS, Dawson-Hughes B (1994): Caffeine and bone los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60(4):573-578 

  4. Jin YH (1999):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ffee and vision of 21C in Korea. Culinary Research 5(2):5-28 

  5. Jung YW (2006): A study on the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coffee house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4):1-17 

  6. Kang SU, Na YS (2004): The analysis toward consumptionstate, import and export in the world coffee market -The case of Korea, U.S.A., Japan market-.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0(3):65-82 

  7.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91(12):1526-1531 

  8. Kim HD, Kim DS, Kim SS (1994): Milk and beverage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3(3):420-428 

  9. Kim HK, Hwang SY, Yoon SB, Chun DS, Kong SK, Kang KO (2007):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ffee beans by roasting and extracting condition. Korean J Food & Nutr 20(1):14-19 

  10. Kim SY (1998): The analysis of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hypercholesterolemia in postmenopausal women. Doctor theses. Hanyang University 

  11. Lee SY, Hwang IK, Park MH, Seo HS (2007):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luted espresso(Americano) in relation to dilution rat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839-847 

  12. McCusker RR, Goldberger BA, Cone EJ (2003): Caffeine content of specialty coffees. J Anal Toxicol 27(7):520-522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 behavior of adult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14. Mosdol A, Christensen B, Retterstol L, Thelle DS (2002): Induced changes in the consumption of coffee alter ad libitum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Br J Nutr 87(3):261-266 

  15. Park MH, Choi YS, Cho SH, Ha TS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ssociated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5(1):21-28 

  16. Paul O, MacMillan A, McKean H, Park H (1968): Sucrose intake and coronary heart-disease. Lancet 2(7577):1049-1051 

  17. Seo HS, Kim SH, Hwang IG (2003):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ly consumed coffees at coffee shops in Seoul downtown. Korean J Food Cookery Sci 19(5):624-630 

  18. Sohn KH, Lee MJ, Min SH, Lee HJ (2000):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 of coffee and tea among female in Seoul. Korea J Food Culture 15(5):398-412 

  19. Song KH (1999): A study on food habits, beverage intake and body fat content in college students. Abstract of 1999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Seoul. pp.112 

  20. Sorenson AW, Wyse BW, Wittwer AJ, Hansen RG (1976): An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for a balanced diet. New help for an old problem. J Am Diet Assoc 68(3):236-242 

  21. Syed IB (1976): The effects of caffeine. J Am Pharm Assoc 16(10):568-572 

  2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3. Wu T, Willett WC, Hankinson SE, Giovannucci E (2005): Caffeinated coffee, decaffeinated coffee, and caffeine in relation to plasma C-peptide levels, a marker of insulin secretion, in U.S. women. Diabetes Care 28(6):1390-1396 

  24. Yudkin J, Morland J (1967): Sugar intake and myocardial infarction. Am J Clin Nutr 20(5):503-5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