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커피섭취량에 따른 커피섭취행동, 식습관 및 식사 영양소 섭취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3, 2017년, pp.270 - 283  

김선효 (공주대학교 기술.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남 공주시 K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식사조사를 통해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커피섭취행동, 식습관, 식사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자기기입식으로 응답되었으며, 식사조사는 주중 2일간 식사기록법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1년간 1일 커피 섭취 수준 및 대상자 분포를 고려해 조사대상자를 커피를 섭취하지 않은 무섭취군 (non coffee group, NCG), 1일 1~2잔을 섭취한 저섭취군 (low coffee group, LCG), 1일 3잔을 섭취한 고섭취군 (high coffee group, HCG)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는 남자 47.3%, 여자 52.7%로 비슷하였으며, 평균 만나이는 남자 $21.2{\pm}2.12$세, 여자 $20.1{\pm}1.4$세이었다. 1일커피섭취수준에 따라 거주형태는 LCG에서 자취 비율이 높았으며, 자가나 기숙사/하숙 비율이 낮았다 (p < 0.05). 그러나 1일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최근 1년간 잠시간의 충분한 정도나 하루 운동시간의 차이가 없었다. 1일 커피 섭취 수준에 따라 커피섭취횟수는 HCG가 LCG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p < 0.001). 주로 마신 커피 종류는 블랙 원두추출 커피가 LCG 25.2%, HCG 42.7%로 가장 많았으며, 1일 커피 섭취 수준에 따라 HCG는 LCG보다 블랙 원두추출 커피, 우유나 설탕을 넣은 원두추출 커피를 마시는 비율이 높았다 (p < 0.05). 커피를 주로 마시는 시간은 LCG와 HCG 모두 주로 18~24시 이전이었으며, 장소는 카페가 가장 많았다. 커피 섭취군의 최근 1년간 커피나 동반간식 선택시 두군 모두 '열량과 관계없이 좋아하는 것을 고른다'는 비율이 각각 80% 정도로 많았다. 식사대신 동반간식을 섭취한 횟수는 LCG와 HCG 모두 '없다'가 75% 이상을 차지했으나, HCG가 LCG보다 주 1~2회나 주 3~4회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p < 0.05). 조사대상자는 아침 결식율과 패스트푸드 섭취율이 높았고, 1일 3회 이상 채소반찬 (김치제외)을 섭취하는 횟수는 주 1~2회 이하가 33.0%이었으며, 과일 섭취 횟수는 주 1~2회 이하가 68.7%이어서 채소와 과일 섭취 횟수가 매우 낮았다. 1일 커피 섭취 수준에 따라 아침식사일수 및 과일 섭취 횟수가 차이가 없었으며, 1일 3회 분량 이상 채소반찬 (김치제외) 섭취 횟수는 전반적으로 LCG와 NCG가 HCG보다 높았다 (p < 0.05). 전체대상자에서 탄산음료 및 단음료 섭취 횟수는 주 3~4회 이상이 각각 30.3%, 40.0%로 나타나 많았으며, 섭취 횟수 분포로 볼 때 LCG와 HCG가 NCG보다 많았다 (p < 0.01). 1일 1컵 정도의 우유 섭취 횟수는 1일 1회 이상이 5.0% 뿐이어서 매우 낮았으며, 1일 커피 섭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음주 횟수는 월 3~5일 이상이 50.7%로 나타나 많았으며, LCG와 HCG가 NCG보다 많았다 (p < 0.01). 커피섭취군에서 1일 평균 커피로 섭취한 열량은 LCG $0.88{\pm}5.62$ kcal/일, HCG $7.07{\pm}16.93$ kcal/일이어서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는 본 조사에서 커피섭취자의 대부분이 블랙 커피를 마셨기 때문이다. 남녀 전체에서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1, 니아신, 인, 아연, 남자에서 엽산과 철의 1일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이나 충분섭취량을 거의 충족하여 양호하였다. 그러나 남녀 전체에서 에너지의 1일 섭취량은 에너지필요추정량의 72% 미만으로 낮았고, 비타민 C 및 칼슘의 1일 평균 섭취량은 평균필요량보다 낮았으며, 비타민 D의 1일 섭취량은 충분섭취량의 24~34% 수준으로 낮았다. 여자에서는 엽산 및 철의 1일 평균 섭취량은 평균필요량보다 낮았다. 비타민 $B_2$의 1일 섭취량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university students randomly selected in Gongju. Dietary survey was administered during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대생의 경우 커피 섭취가 영양 섭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친다고 조사되었나? 이밖에도 커피 섭취는 영양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경우 커피섭취군이 커피 비섭취군보다 식이섬유, 비타민 A 및 엽산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 커피 섭취가 이들의 식사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이렇게 볼 때 대학생의 커피섭취량에 따른 커피섭취행동, 음료류 섭취를 포함하는 식습관, 영양섭취의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선행연구에서도 보고되고있는 주된 대학생의 식생활 문제는? 한편, 대학생은 가정과 학교급식을 통해 식생활이 이루어졌던 청소년 시기까지와 달리 갑자기 혼자 지내면서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식생활이 불량하게 이루어지기 쉽다. 선행연구에서도 대학생의 식생활 문제가 자주 보고되고 있는데, 주요 식생활 문제로 아침 결식, 채소 및 과일 섭취 부족 등 식품 섭취의 다양성 결여, 잦은 단음료 섭취 등으로 인한 당류 과다 섭취 등이 지적되었다.10-13 구체적으로 보면, 대학생을 포함하는 19~29세군의 아침 결식률은 전체생애주기 중 가장 높고, 채소나 과일 섭취 횟수도 아동이나 청소년 다음으로 적으며 이들 식품군의 권장 섭취 횟수를 충족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커피섭취량이 증가하고있는 이유는? 최근 글로벌 식문화의 확산, 식생활에서 추구하는 가치의 변화, 음료시장의 다변화 등과 함께 커피는 한국인의 대표 음료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한국인의 커피섭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런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TH, Chae SJ, Kim CW. A study on the coffee consumption behavior by lifestyle. Korean J Hosp Adm 2013; 22(2): 93-112. 

  2. Kim KH, Choi SK. Comparison on coffee shop brand personality image and consumer behavior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types: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J Foodserv Manage 2014; 17(3): 31-51. 

  3. Yoo YS. A study on the changes in green tea consumption and tea culture awar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Tea Soc 2013; 19(1): 25-33. 

  4. Joongang Daily (KR). Korean coffee consumption in 2016 by data [Internet]. Seoul: Joongang Daily; 2017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news.joins.com/article/21501143.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6. Bae YJ, Kim MH. A study evaluating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coffee consumption. J Korean Diet Assoc 2009; 15(2): 128-138. 

  7. Choi YS, Kim YT, Jhee OH.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ffee shop us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ulinary Res 2009; 15(1): 287-295. 

  8. Lim YH, Kim SH. Survey on consumption of coffee beverages and energy contribution ratios of coffee beverages and accompanying snacks by college students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012; 27(3): 240-250. 

  9. Starbucks (KR). Classic scone [Internet]. Seoul: Starbucks; [cited 2017 May 9]. Available from: http://www.istarbucks.co.kr/menu/food_view.do?product_cd9300000000112. 

  10. Chang HS.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u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of university students in Jeonbuk. Korean J Hum Ecol 2016; 25(1): 73-88. 

  11. Joung HS, Koo NS. The dietary and late-night eating behavior according to residence type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Hum Ecol 2014; 23(4): 721-732. 

  12. Kim SY, You JS, Chang KJ.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Korean J Nutr 2013; 46(2): 166-176. 

  13. Ahn Y, Kim KW.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13. 

  14. Cavadini C, Siega-Riz AM, Popkin BM. US adolescent food intake trends from 1965 to 1996. Arch Dis Child 2000; 83(1): 18-24. 

  15. Bae YJ, Yeon JY.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carbonated drink consumption in male adolescents: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5; 48(6): 488-495. 

  16. Lee YJ, You JS, Chang KJ. Dietary habits score,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related to coffee consumption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J Nutr Health 2013; 46(6): 560-572. 

  17. Kim JY.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coffee: focused on Seoul region. J Table Food Coord 2010; 5(2): 33-42. 

  18. Yeon JY, Bae YJ, Kim MH, Jo HK, Kim EY, Lee JS, Kim MH.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bone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alorie consumption from coffee containing beverage. Korean J Food Nutr 2009; 22(3): 430-442. 

  19. Kim EK, Jun DW, Jang EC, Kim SH, Choi HS. Effect of coffee and green tea consumption on liver enzym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2; 13(6): 2570-2578. 

  20. Jung SY, Choi MJ. Nutrient intake in accordance with green tea and beverage consumption of adult men in Daegu area. J Korean Tea Soc 2015; 21(2): 91-100. 

  21. Huh KO, Ju YA, Lee HJ. A factor analysis of green tea and coffee consumption and frequency of visits and consumer satisfaction regarding green tea and coffee shops. Consum Policy Educ Rev 2011; 7(2): 1-22.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3. Shin J, Kim SY, Yoon J. Status of coffee intake in South Korea: analysis of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6; 27(1): 83-93. 

  24. Choi SI, Yim ES, Moon HS. Market segmentation by preferable kind of coffee type. J Korea Contents Assoc 2012; 12(6): 475-485. 

  25. Kim SH, Lee GA, Lee HS, Kim MH, Kim JM, Lee OH. Eating & health, Seoul: Power book; 2013. 

  26. Chung KH, Shin KO, Jung TH, Choi KS, Jeon WM, Chung DK, Lee DS. Study on the dietary habit,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ir majors among college women in Sahmyook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6): 826-836. 

  27. An R, Shi Y. Consumption of coffee and tea with add-ins in relation to daily energy, sugar, and fat intake in US adults, 2001-2012. Public Health 2017; 146: 1-3. 

  28. Lee KW, Shin D, Song WO. Total water intake from beverages and foods is associated with energy intake and eating behaviors in Korean adults. Nutrients 2016; 8(10): E617. 

  29. Shamah-Levy T, Garcia-Chavez CG, Rodriguez-Ramirez S. Association between plain water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total energy intake among mexican school-age children. Nutrients 2016; 8(12): E710. 

  30. Hu FB, Malik VS.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risk of obesity and type 2 diabetes: epidemiologic evidence. Physiol Behav 2010; 100(1): 47-54. 

  31. Kavey RE. How sweet it is: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in childhood. J Am Diet Assoc 2010; 110(10): 1456-1460. 

  3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The 1st ('16-'20) sugar reducing comprehensive plan.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