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식소 식품접촉표면 위생 모니터링 도구로서의 ATP Luminometer 적합성 확인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ATP Luminometer as the Monitoring Tool for Surface Hygiene in Foodserv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719 - 1723  

김양숙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혜경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성일 (한국 3M 기술연구소) ,  남은정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ACCP 지원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원시 소재 단체급식소 4개소에서 사용하는 칼($12\;cm^2$), 도마($100\;cm^2$), 고무장갑(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의 표면을 대상으로 ATP Luminometer와 일반세균수용 건조필름을 이용한 미생물 배양법을 함께 적용하여 ATP(RLU)와 APC (CFU)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3가지 조리도구 모두에서 ATP(RLU)와 APC(CFU)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각 도구별 상관계수는 칼 0.84(p<0.001), 도마 0.79(p<0.001), 고무장갑 0.78(p<0.001)로 나타났다. 본 실은 단체급식 현장에 적합한 ATP Luminometer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기에 앞서 실시간적인 표면 위생 모니터링 도구로서의 사용 적합성을 살펴 본 예비실험이며, 도출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도구별 ATP(RLU)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검증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feasibility of using a ATP Luminometer, real-time hygiene monitoring tool for food contact surfaces in foodservices. For this, 54 cutting boards, 70 knives, 21 rubber gloves in 4 institutional foodservices were studied. ATP (RLU: relatively light unit) valu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들(8-10)에서 ATP와 APC 사이에 높은 상관성이 존재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모두 실험실의 통제된 상황에서 ATP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소거제로 제거한 후 시행된 결과로서 실제 급식 현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식소의 조리도구 표면에 대해 사전처리 없이 ATP(RLU)와 APC(CFU: 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여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밝힘으로 ATP Luminometer의 위생 모니터링 도구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가이드라인 작성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TP bioluminescence의 원리는? ATP bioluminescence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ATP는 살아있는 생물체의 에너지원으로 ATP 측정을 위해 반딧불이에서 볼 수 있는 luciferin과 luciferase를 이용하여 ATP 양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빛의 양으로 전환하여 분석한다. ATP luminometer는 이 빛을 측정하는 장치로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ATP를 측정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RLU(Relatively Light Unit, 생물발광단위) 값으로 간접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3).
급식의 미생물 안전성 확인을 위한 미생물 배양 검사는 결과 도출까지 시간이 얼마나 소요되는가? 급식의 미생물 안전성 확인을 위한 미생물 배양 검사는 배지 제조와 같은 사전준비와 숙련된 인력 및 검사 장비가 필요하며 결과 도출까지 최소 24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기존의 미생물 배양 검사로는 급식소 현장의 조리도구 표면에 대한 실시간적 위생 모니터링을 수행하기가 불가능하며, 단지 사후 확인에 그칠 뿐이다.
ATP Luminometer 사용의 장점은? ATP Luminometer 사용의 장점은 미생물뿐만 아니라 다른 유기물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하지만 식품에 존재하는 세균을 측정하기 위해 이를 활용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식품에도 소량의 ATP가 함유되어 있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riffith J, Blucher A, Fleri J, Fielding L. 1994. An evaluation of luminometry and comparison of six commercially available luminometers. Food Sci Technol Today 8: 209-216. 

  2. Griffith J, Davidson CA, Peters AC, Fielding LM. 1997. Towards a strategic cleaning assessment programme: hygiene monitering and ATP luminometry, an optional appraisal. Food Sci Technol Today 11: 15-23. 

  3. Griffiths MW. 1993. Applications of bioluminoscence in the dairy industry. J Dairy Sci 76: 3118-3125. 

  4. Kang SI. 2007. Hygiene/cleanliness inspection and sterilization inspection system used ATP. Safe Food 2: 63-64. 

  5. Hawronskyj JM, Holah J. 1997. ATP: A universal hygiene monitor. Trends Food Sci Technol 8: 79-84. 

  6. Korea Food and DA. 2009. 2009 Public announcement. Project plan of diagnosis service for Foodborne disease prevention (2009.4.07). Avaliable from: http://kfda.go.kr/index.kfda?mid51&seq557&cmdv Accessed December 16, 2009 

  7. KFDA Department of Foodborne Disease Prevention & Management. 2010. Manual of HACCP assessment (for the staff) . p 65. 

  8. Park YS. 2000.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Korean J Soc Food Sci 16: 195-201. 

  9. Oh SW, Jo JH, Lee NH. 1999.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a rapid estimation of microbial levels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45-1348. 

  10. Kang HM, Eom YS, An HS, Choi KH, Chung CI. 2000.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method for measure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raw meat, meat and dairy processing line. J Fd Hyg Safety 15: 252-255. 

  11. Marena C, Lodola L, Zecca M, Bulgheroni A, Carretto E, Maserati R, Zambianchi L. 2002. Assessment of handwashing practices with chemical and microbiologic methods: Preliminary results from a prospective crossover study. Am J Infect Control 30: 334-340. 

  12. Aycicek H, Oguz U, Karci K. 2006. Comparison of results of ATP bioluminesence and traditional hygiene swabbing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surface cleanliness at a hospital kitchen. Int J Hyg Eviron Health 209: 203-206. 

  13. Kim BY, Song HY, Park IS, Kim YS, Lee YS, Ha SD. 2009.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 in Seoul. J Fd Hyg Safety 24: 277-284. 

  14. Harrigan WF, McCance ME. 1976. The examination of food processing plant. In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p 23-236. 

  15. Lappalainen J, Loikkanen S, Havana M, Karp M, Sioberg A, Wirtanen G. 2000. Microbial testing methods for detection of residual cleaning agents and disinfectants-Provention of ATP bioluminescence measurement errors in the food industry. J Food Prot 63: 210-215. 

  16. Jeong BH. 2008. Reduction effect of bacterial populations by education of employee's in restaurant for hygiene and washing method.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Korea. p 16-17. 

  17. Yeon HH, Kim IJ, Park KH, Park BK, Park HK, Park DW, Kim YS. 2006. Treatment and effect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in animal food manufacturing pl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9-603. 

  18. Kim YS, Jeon YS, Han JS. 2002.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65-970. 

  19. Park HC. 2005. Modern Statistics used SPSS 12.0K.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angwon, Korea. p 216-226. 

  20. Chen FC, Godwin SL. 2006. Comparison of a rapid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standard plate count methods for assessing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sumers' refrigerators. J Food Prot 69: 2534-2538. 

  21. Leon MB, Albrecht JA. 2007. Comparison of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 and aerobic plate counts (APC) on plastic boards. J Foodservice 18: 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