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급식소의 배식용기 표면에 대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위생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설정
Setting Guidelines for ATP Bioluminescence Hygiene Monitoring of Distribution Trays in Used Children's Foodservi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6 no.4, 2020년, pp.243 - 253  

문혜경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new guidelines for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 hygiene monitoring of distribution trays at children's foodservices. Five dietitians visited 223 foodservices (95 institutional, 128 small) to examine whether they adhered to the norms of 'Keeping d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소 223개소를 대상으로 배식용기 표면의 위생 모니터링에 적합한 새 ATP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식용기를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활용 위생점검 및 일반세균수와 ATP 값의 병행 측정을 실시하여 어린이 급식소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해 배식용기 표면에 적합한 새 ATP 가이드라인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ATP 위생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enosine triphosphate의 특징은 무엇인가? Adenosine triphosphate(ATP)는 모든 식물, 동물, 그리고 미생물 세포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으로 환경 표면에 존재할 경우, luciferase에 의한 화학적 반응에 의해 ATP 양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빛의 양으로 전환된다(Griffith 등 2000). ATP luminometer는 이 빛을 측정하는 장치로 생물발광단위(relatively light unit, RLU)로 간접 측정을 가능하게 해준다(Griffiths 1993).
ATP bioluminescence technique의 장점은 무엇인가? Kim 등(2010)이 급식소의 칼, 도마, 고무장갑 표면에서 동시에 도말한 시료를 luminometer와 건조필름배지에 적용하여 ATP 값과 일반세균수(aerobic plate count, APC) 간 유의적 양의 상관성이 존재함을 보고하여 실시간적 표면 위생 모니터링 도구로 ATP 청결도가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미생물 검사에서는 세균수만 위생의 척도로 하는 반면 ATP bioluminescence technique에서는 세균뿐만 아니라 유기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찌꺼기나 세척제 등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폭넓게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미생물 증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Moon 등 2016).
배식용기의 새 ATP 가이드라인은 무엇인가? 5. ATP luminometer의 적합/부적합 한계치 설정방법을 활용하여 ‘적합 250 RLU/100 cm2 미만’, ‘주의 250∼349 RLU/100 cm2, ‘부적합 350 RLU/100 cm2 이상’으로 배식용기에 대한 새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3M Food Safety (2014): Setting pass/fail limits for the 3M $^{TM}$ clean hygiene monitoring system. Technical Bulletin 215186. 3M Food Safety. St. Paul. pp.1-6 

  2. Ahn SH (2019): Perception and usage status of the ATP hygiene monitoring in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65-67 

  3. Bang HJ (2018): 3M $^{TM}$ Clean-Trace $^{TM}$ Hygien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3M Korea Food Safety Division. Seoul. pp.62 

  4. Cunningham AE, Rajagopal R, Lauer J, Allwood P (2011): Assessment of hygienic quality of surfaces in retai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based on microbial counts and real-time detection of ATP. J Food Prot 74(4):686-690 

  5. Griffith CJ, Cooper RA, Gilmore J, Davies C, Lewis M (2000): An evaluation of hospital cleaning regimes and standards. J Hosp Infect 45:(1)19-28 

  6. Griffiths MW (1993): Applications of bioluminescence in the dairy industry. J Dairy Sci 76(10):3118-3125 

  7. Jang JS, Hwang SH (2015): Evauation of hygienic status of high school foodservice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 microorganism test strips. Korean J Food Nutr 28(5):918-925 

  8. Joo SJ, Kwon SC, Ahn SJ, Park SY, Shim SJ, Lim CR, Lee KJ, Kim MR (2016): Improvement of sanitary management by training visits made to children's foodservice utilizing ATP. 2016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Jeju. p.402 

  9. Jun JH, Park SK, Ko NH, Kim SH, Kim TH, Kim HE, Park JY, Lee YO, Yu SB, Cha KH (2017): A study on improving refrigerator handle contamination level at children's foodservice by utilizing ATP. 2017 Fall Symposium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Seoul. pp.224-225 

  10. Kim BY, Song HY, Park IS, Kim YS, Lee YS, Ha SD (2009):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s in Seoul. J Food Hyg Saf 24(3):277-284 

  11. Kim YS, Moon HK, Kang SI, Nam EJ (2010):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ATP luminometer as the monitoring tool for surface hygiene in food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719-1723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2011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book of year-end sess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ju. pp.104, 380-381 

  13. McSwane DZ, Rue N, Linton R (1998): Essentials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pp.225-257 

  14.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Sanitation management guideline book for school foodservices. 2nd e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pp.120-122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2017 Guideline book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s://ccfsm.foodnara.go.kr/home/?menuno164. Accessed July 30, 2020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2020 Guideline book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s://ccfsm.foodnara.go.kr/home/?menuno164. Accessed July 30, 2020 

  17. Moon HK (2017): Comparison of the sanitary inspection results and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equipment in children's foodservices. Korean J Food Cook Sci 33(4):461-470 

  18. Moon HK, Shin JK, Kim YS (2016): A study on the optimal variable transformation metho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TP and APC. KDISS 27(6): 1465-1475 

  19. Seo S, Moon S, Choi J (2011):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food service workers' sanitation performance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7(2):142-160 

  20. Seo YJ, Jeon MS (2015):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sanitation status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6):447-459 

  21. Seo JE, Kim HJ, Lee MJ, Lee SA, Chae MJ, Jung NY (2016): Effects of hand sanitation training to workers at children's foodservice of below 100 children at Gyeyang-gu area,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8 Spring Symposium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Seoul. p.212 

  22. Zottola EA, Sasahara KC (1994): Microbial biofilms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should they be a concern? Int J Food Microbiol 23(2):125-1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