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라인의 환경미생물 오염도 측정을 위한 ATP 검사법의 이용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Measure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resh-cut Produce Processing L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1, 2012년, pp.62 - 66  

최지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이혜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창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원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지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편이 농식품 시장의 빠른 성장과 함께 안전관리기준도 강화되고 있어 제조 시설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 3개소를 대상으로 생산에 사용되는 도구와 기기에 대한 미생물수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검사법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 3개소의 신선편이 가공 시설, 장비에서 채취된 총 50개 시료의 ATP bioluminescence assay 값과 일반세균수와의 상관계수 (r)은 0.8772로 나타났다. ATP 검사법은 신속, 간편, 일관성을 바탕으로 신선편이 농식품 산업체에서 미생물 배양법을 대체하여 위생 환경 개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apid growth of fresh-cut produce market, the South Korean fresh-cut industry is facing the challenge of ensuring food safety. As the estimation of the microbial numbers in fresh-cut produce processing lines (tools, and equipment) using the conventional microbiological techniques takes da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의 채소, 과일 가공 환경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ATP bioluminescence방법에 의한 ATP값과 건조필름법에 의한 일반세균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신선편이 가공라인의 오염관리 수단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신선편이 농식품 시장의 빠른 성장과 함께 안전관리기준도 강화되고 있어 제조 시설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 3개소를 대상으로 생산에 사용되는 도구와 기기에 대한 미생물수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검사법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 3개소의 신선편이 가공 시설, 장비에서 채취된 총 50개 시료의 ATP bioluminescence assay 값과 일반세균수와의 상관계수 (r)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TP법이란? 표준한천배지 및 건조필름배지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법은 결과를 얻는데 일반적으로 24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미생물 실험장비 구비,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어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제조 라인이 오염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단해야하므로 산업체에서 활용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하다(4). ATP법은 그 이름과 같이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모든 생명체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으로 세포에 존재하는 ATP 양을 파악하는 것으로 종합적인 오염도를 신속하게 평가하는 방법이다(5). 여러 가지 ATP검사 키트가 판매되고 있는데 그 측정원리는 반디불이 곤충의 발광기에서 일어나는 효소 반응을 이용한다.
ATP검사 키트의 측정 원리는? ATP법은 그 이름과 같이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모든 생명체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으로 세포에 존재하는 ATP 양을 파악하는 것으로 종합적인 오염도를 신속하게 평가하는 방법이다(5). 여러 가지 ATP검사 키트가 판매되고 있는데 그 측정원리는 반디불이 곤충의 발광기에서 일어나는 효소 반응을 이용한다. ATP는 루시페린과 산소가 존재하면 루시퍼라제 효소 반응에 의해 AMP로 변화하면서 빛 에너지를 방출한다.
ATP bioluminescence방법의 활용 가치가 높은 이유는? 이와 같은 판정은 수십 초에 얻을 수 있어 단시간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다. ATP bioluminescence assay법은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객관적인 오염 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ATP 효소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이나 식품이 접촉하는 표면에 대한 미생물수를 예측하는 데 흔히 이용되고 있으나(6,7), 국내 신선편이 농식품 생산업체 위생관리에 활용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Lee YS, Kim SH, Kim DH (2009) Current Status of Fresh-Cut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REI R-602 

  2. KFDA (2007) Reform on standard and specification of food. KFDA Notification No 2007-63 

  3. KFDA (2006) Manual of HACCP Application and Management.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42-66 

  4. Park YH, Seo KS, Ahn JS, Yoo HS, Kim SP (2001) Evaluation of the petrifilm plate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 and coliforms in retailed meat samples. J Food Prot, 64, 1841-1843 

  5. Goldschmidt MC, Fung DYC (1979) Automated instrumentation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Food Technol, 3, 63-70 

  6. Ukuku DO, Sapers GM, Fett WF (2005)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estima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of fresh-cut melon. J Food Prot, 68, 2427-2432 

  7. Griffiths MW (1996) The role of ATP bioluminescence in the food industry: new light on old problems. Food Technol, 50, 63-72 

  8. Beuchat LR (1995)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 204-216 

  9. Ukuku DO, Fett WF (2002) Effectiveness of chlorine and nisin-EDTA treatments of whole melons and fresh-cut pieces for reducing native microflora and extending shelf-life. J Food Saf, 22, 231-253 

  10. Kang HM, Eom YS, An HS, Kim CJ, Choi KH, Chung CI (2000)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method for measure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raw meat, meat and dairy processing line. J Fd Hyg Safety, 15, 252-255 

  11. Kim BY, Song HY, Park IS, Kim YS, Lee YS, Ha SD (2009)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s in Seoul. J Fd Hyg Safety, 24, 277-284 

  12. Velazquez M, Feirtag JM (1997) Quenching and enhancement effects of ATP extractants, cleansers, and sanitizers on the detection of the ATP bioluminescence signal. J Food Prot, 60, 799-8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