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TP Bioluminescence와 간이미생물배지를 이용한 고등학교 급식시설의 위생상태 조사연구
Evauation of Hygienic Status of High School Foodservice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 Microorganism Test Strip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5, 2015년, pp.918 - 925  

장재선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33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in Yongin city by using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microbe inspection petrifilm (APC,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of food utensils during use. The 2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지역 고등학교에서 학교급식 위생·안전 점검표를 사용하여 급식시설의 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작업 중 조리종사자가 접촉하는 설비 접촉면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알아보고자 ATP 생물발광기와 3M 미생물배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향후 학교급식시설의 위생관리와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경기도 일부 지역 고등학교에서 학교 급식 위생·안전 점검표를 사용하여 급식시설의 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작업 중 조리종사자가 접촉하는 설비 접촉면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알아보고자 ATP luminometer와 3M 미생물배지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지역 고등학교에서 학교급식 위생·안전 점검표를 사용하여 급식시설의 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작업 중 조리종사자가 접촉하는 설비 접촉면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알아보고자 ATP 생물발광기와 3M 미생물배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향후 식품위생관리방안과 위생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의 목적은 무엇인가? 학교급식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적절한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심신의 건전한 발달과 편중된 기호의 교정 및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국민건강 개선에 기여함에 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4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학교급식이 영양적으로 완전하며, 또한 위생적으로도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이 학교급식의 최우선과제라 볼 수 있다(Kwon & Park 2015).
생물발광법이란 무엇인가? 최근에 미생물 품질관리의 모니터링 지표로서 무균 실험에 필요한 복잡한 기술이나 장비가 없이 오염지표로서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사용하여 미생물 오염 유무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는 고감도 생물발광법(bioluminescence assay) 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Hunter & Lim 2010; Yue & Bai 2013). 생물발광법은 살아 있는 세포의 ATP 분해과정에서 방출되는 빛으로 이를 측정함으로써 생균수를 간접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알아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미생물검사의 주된 대상은 식재료와 직접 접촉하는 칼, 도마, 식판, 행주 등과 같은 기구설비에 한정되어 조사되었는데, 그 외에도 조리원들이 작업 중 접촉하는 접촉면 특히 각종 설비의 손잡이는 조리 중 문을 열기 위해 장갑을 벗지 않고 접촉 하는 경우가 많아, 이 때의 접촉은 바로 다음의 조리작업과 연결되어 식품으로의 오염 가능성을 의심하게 한다(Kim 등 2010; Park YS 2000).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에 따르면 학교급식의 위생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가? 이에 따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 2000년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제도가 학교급식시설에서도 적용하게 되었고,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를 펴내게 되었다. 이에 따르면 학교급식의 위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위생․ 안전 점검표를 사용하여 관리하며, 미생물검사는 연1회 이상의 정기검사와 미생물 간이검사법을 활용한 간이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리 및 배식에 사용하는 기구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세척, 소독, 건조된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적절치 못한 세척은 미생물과 잔여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되는 식품의 안전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잔여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초기 낮은 수로 존재하는 미생물에게는 충분한 영양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표면의 세척 후 사용하기까지의 시간 동안 충분히 미생물을 성장시킬 수 있어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Lee & Oh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JM, Kim HA. 2013.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39-1147 

  2. Bae HJ, Chun HJ. 2003.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s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e improvement by HACCP system. Korean J Food Cookery Sci 19:231-240 

  3. Chen FC, Godwin SL. 2006. Comparison of a rapid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standard plate count methods for assessing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sumers' refrigerators. J Food Prot 69:2534-2538 

  4. Han JS, Lee YE. 2011.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and sanitation knowledge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Kor J Human Ecol 20:637-649 

  5. Han MS, Yoon ST, Lim J, Lim JS. 2006. Effects of microbe inspections in school food service systems. J Kor Soc Hlth Educ Prom 23:53-63 

  6. Harrigan WF, McCance ME. 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7. Hunter DM, Lim DV. 2010. Rapi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l pathogens by using ATP bioluminescence immunoassay. J Food Safety 73:739-746 

  8. Hwang SS, Chon MY, Kim JM, Choi SH, Lee JA, Yoo IY, Jung MH. 2008. Hygiene.safety and HACCP system by management type of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5:372-382 

  9. Jeon IK, Lee YK. 2004.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non-hea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154-1161 

  10. Kim JG. 2003.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 J Env Hlth 29:87-93 

  11. Kim JH, Kim YS, Han JS. 2004.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 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653-1660 

  12. Kim YS, Jeon YS, Han JS. 2002.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965-970 

  13. Kim YS, Moon HK, Kang SI, Nam EJ. 2010.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ATP luminometer as the monitoring tool for surface hygiene in food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719-1723 

  14. Kook SJ, Rho HO. 2009. Survey on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manag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in Chonbuk area, Korea. J Kor Soc Hlth Educ Prom 18:1135-1145 

  15. Kwon DJ, Park OJ. 2015.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about sanitation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safety of school food service. J Kor Assoc Safety Sec 8:119-144 

  16. Lee JM, Oh SW. 1998. Hygiene monitoring using ATP bioluminescence. Bulletin of Food Technology 11:129-138 

  17. Lee KE, Lee HS. 2005. Influence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barriers to HACCP implementation on foo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Gyeongbuk province. J Kor Diet Asso 11:179-189 

  18. Leon MB, Albrecht JA. 2007. Comparison of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 and aerobic plate counts (APC) on plastic boards. J Foodservice 18:145-152 

  19.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Hygiene Management Guide in School Food Service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Food Poisoning stat.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cited 2015 September] 

  21. Park YS. 2000.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Korean J Soc Food Sci 16:195-201 

  22. Song IS, Chae IS. 2008.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 J Nutr 41:870-886 

  23. Yue WW, Bai CJ. 2013. Improved design of automatic luminometer for total bacteria number detection based on ATP bioluminescence. J Food Safety 3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