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를 이용한 기상관측소 기준증발산 추정 Estimation on Trends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of Weather Station Us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원문보기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REF-ET)는 ASCE 및 FAO 기준증발산량을 포함한 총 17개의 FAO Penman-Monteith (PM) 방정식의 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REF-ET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함께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REF-ET의 효용성을 논하였다. REF-ET는 각종 PM 방정식들에 대한 시일 월 단위 모의와 지역적 특성의 반영 및 결측자료에 대한 보정 등이 가능하다. REF-ET를 이용하여 서울 기상관측소의 29년간 증발산량을 모의한 결과, 일복사량에 주로 좌우되는 FAO24-Rd 식과 1957-Makk 식의 상관계수가 각각 0.89와 0.88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형증발접시를 이용한 기준증발산량 관측값이 공기 동력학적 증발량만을 주로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MSE/bias 분석을 통해 기준증발산 방정식들에 의한 계산값이 증발접시로부터의 기준증발산량에 비해 다소 과대평가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이 경우에도 1957-Makk 식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위 시계열 분석시 1957-Makk 식은 여름철의 증발산량을 저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1.06 mm/day의 오차로 증발산량을 모의 가능하였다. 차후 기상관측자료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들과 REF-ET를 병행한다면, 해당 지역 및 기간에 대한 증발산량 모의 및 관련 특성인자를 파악하는 연구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REF-ET)는 ASCE 및 FAO 기준증발산량을 포함한 총 17개의 FAO Penman-Monteith (PM) 방정식의 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REF-ET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함께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REF-ET의 효용성을 논하였다. REF-ET는 각종 PM 방정식들에 대한 시일 월 단위 모의와 지역적 특성의 반영 및 결측자료에 대한 보정 등이 가능하다. REF-ET를 이용하여 서울 기상관측소의 29년간 증발산량을 모의한 결과, 일복사량에 주로 좌우되는 FAO24-Rd 식과 1957-Makk 식의 상관계수가 각각 0.89와 0.88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형증발접시를 이용한 기준증발산량 관측값이 공기 동력학적 증발량만을 주로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MSE/bias 분석을 통해 기준증발산 방정식들에 의한 계산값이 증발접시로부터의 기준증발산량에 비해 다소 과대평가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이 경우에도 1957-Makk 식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위 시계열 분석시 1957-Makk 식은 여름철의 증발산량을 저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1.06 mm/day의 오차로 증발산량을 모의 가능하였다. 차후 기상관측자료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들과 REF-ET를 병행한다면, 해당 지역 및 기간에 대한 증발산량 모의 및 관련 특성인자를 파악하는 연구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REF-ET) supports computational guidelines for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seventeen FAO Penman-Monteith (PM) equations simultaneously such as the ASCE and FAO standardized forms. The REF-ET can conveniently consider missing data predic...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REF-ET) supports computational guidelines for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seventeen FAO Penman-Monteith (PM) equations simultaneously such as the ASCE and FAO standardized forms. The REF-ET can conveniently consider missing data predictions and regional site characterizations, when reference ET is computed on monthly, daily, and hourly time steps. The applicability of the REF-ET was estimated to simulate the reference ET using hourly weather data from Seoul weather station for 29 years. The result found that the FAO24-Rd and 1957-Makk equations closely concerned with solar radiation parameter which we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to reference ET computed by pan coefficient. In addition, the 1957-Makk equati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correct computational method for reference ET by analysis of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The 1957-Makk equation could predict the reference ET within the error of less than 1.06 mm/day, though all the other equations tended toward overestimation of predicting the reference ET in comparison with refecence ET of 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F-ET will be applicable to support reference ET estimation for a variety of field condition and time-scale.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REF-ET) supports computational guidelines for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seventeen FAO Penman-Monteith (PM) equations simultaneously such as the ASCE and FAO standardized forms. The REF-ET can conveniently consider missing data predictions and regional site characterizations, when reference ET is computed on monthly, daily, and hourly time steps. The applicability of the REF-ET was estimated to simulate the reference ET using hourly weather data from Seoul weather station for 29 years. The result found that the FAO24-Rd and 1957-Makk equations closely concerned with solar radiation parameter which we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to reference ET computed by pan coefficient. In addition, the 1957-Makk equati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correct computational method for reference ET by analysis of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The 1957-Makk equation could predict the reference ET within the error of less than 1.06 mm/day, though all the other equations tended toward overestimation of predicting the reference ET in comparison with refecence ET of 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F-ET will be applicable to support reference ET estimation for a variety of field condition and time-scal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REF-ET(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Software)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준증발산량 모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REF-ET는 각종 기준증발산량 계산을 위해 미국 Idaho 대학의 Kimberly R&E 센터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Allen, 2000).
REF-ET는 ASCE와 FAO에서 제시한 표준 기준증발산량 산정법을 포함하여 총 17개의 방정식을 잔디및 알팔파 기준작물에 대해 한 번의 실행으로 모의 가능하므로 각종 기준증발산량 산정식을 일일이 모의하는 수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에 가장 정확도가 높은 PM 방정식을 선정하는 데에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기상관측소의 1980년도부터 2008년까지 약 30년에 걸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REF-ET 모의를 수행하고 각 기준증발산식의 추이를 분석하며, 최종적으로 서울 지역의 기준증발산량 산정에 가장 정확도가 높은 기준증발산식을 제시함으로써 REF-ET의 효용성을 입증함을 목표로 한다.
25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인 서울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와 가장 부합하는 기준증발산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자료를 필요로 하는 CIMIS Penman 및 FAO-24 Pan evapotranspiration 식을 제외한 16개 기준증발산식들의 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 후 모의값은 입력자료와 마찬가지로 ASCII 파일로 저장되며, 이를 워크시트로 변환하여 종합·분석하였다.
이렇게 증발접시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식은 그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Sumner and Jacobs, 2005), 최근에는 침루계(lysimeter)나 현열플럭스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실제증발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서울의 경우 실질적으로 증발산량 산정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는 증발접시 측정값 뿐이므로, 어느정도의 부정확성을 감안하더라도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AO PM 방정식들을 이용한 기준증발산량 산정시 체계적인 구성과 간편한 인터페이스로 보다 정확한 기준증발산량 계산을 가능하게 해 주는 REF-ET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REF-ET 프로그램은 1회의 기상관측데이터 입력으로 17개의 기준증발산식 계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결측자료에 대한 보정도 가능하다.
가설 설정
이 때에는 풍속계·온도계·상대습도계 등의 높이와 관측소의 경도·위도 및 해발높이 등을 고려하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 기상관측소의 제원을 참조하여 위도 37.3417°, 해발고 85.45 m를 입력하였고, 풍속계(anemometer) 및 온도·습도계의 높이는 백엽상의 평균높이로서 각각 10 m와 1.5 m로 가정하였다.
5 m로 가정하였다. 이 외에도 REF-ET의 기준작물인 잔디 식생의 높이는 FAO-56의 권고 표준안을 참조하여 0.12 m로 가정하였다.
2에서 제시한 기상관측소 관련 특성 변수들을 입력하고 ④ 마지막으로 계산을 수행할 기준증발산식들을 선택한 후 REF-ET를 실행하였다. 이 때 단위는 SI단위를 사용하였고 잔디와 알팔파의 높이 기본값은 각각 0.12 m와 0.5 m로 가정하였으며, 식생밀도가 큰 국내 환경을 감안하여 ETr/ETo 비율을 FAO-56 권고치의 최대값인 1.25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인 서울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와 가장 부합하는 기준증발산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자료를 필요로 하는 CIMIS Penman 및 FAO-24 Pan evapotranspiration 식을 제외한 16개 기준증발산식들의 계산을 수행하였다.
1에 나타내었으며, 별도로 R2값을 Table 5에 정리하였다. 각 기준증발산식의 ETr 및 ETo 계산값(Y축)은 소형증발접시로부터의 기준증발산값(X축)과 함께 표현하였으며, 이 때 X축의 기준증발산값은 서울 기상관측소의 소형증발접시 가능증발량 관측치를 고려하여 증발접시계수(pan coefficient)를 0.72로 가정, 기준증발산량으로 변환 후 적용하였다(Allen et al., 1998; 윤용남, 2008). 이렇게 증발접시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식은 그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Sumner and Jacobs, 2005), 최근에는 침루계(lysimeter)나 현열플럭스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실제증발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Bias 분석결과 이러한 기준증발산량의 과대평가 양상은 1957-Makk(ETo) 식을 제외한 모든 식에 걸쳐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Penman법으로 추정한 기준증발산량이 실제 기준증발산량보다 과대평가된다는 기존의 여러 연구결과와 일치한다(정하우 외, 1988; 류상범과 김영아, 2000).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 판단할 수 있는 가정은, 첫째로 소형증발접시를 이용한 기준증발량값에 적용된 증발접시계수(0.72)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둘째로 기준증발량값이 토양저항에 대한 고려가 배재된 값이기 때문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관측기간 중 Penman법의 가정에 위배되는 토양수분이 충분하지 못한 시기가 상대적으로 많아 각 기준증발산식이 과대평가된 계산값을 도출했을 가능성 등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제안 방법
계산 후 모의값은 입력자료와 마찬가지로 ASCII 파일로 저장되며, 이를 워크시트로 변환하여 종합·분석하였다.
3 과정을 통해 구축된 서울 기상관측소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먼저 엑셀로 정리한 기상자료를 텍스트 형식의 ASCII 파일로 변환한 후, ② 각 항목에 대한 REF-ET 변수를 지정하였으며, ③ 2.2에서 제시한 기상관측소 관련 특성 변수들을 입력하고 ④ 마지막으로 계산을 수행할 기준증발산식들을 선택한 후 REF-ET를 실행하였다. 이 때 단위는 SI단위를 사용하였고 잔디와 알팔파의 높이 기본값은 각각 0.
REF-ET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서울 기상관측소의 1980년~2008년 기상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15개 기준증발산식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소형증발접시로부터 변환된 기준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관측소 중 서울 기상관측소를 선택하여 REF-ET에 적용하였다. 기상관측자료는 기상청(www.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관측소 중 서울 기상관측소를 선택하여 REF-ET에 적용하였다. 기상관측자료는 기상청(www.kma.go.kr)과 WAMIS(www.wamis.go.kr)에서 제공되는 1980년도부터 2008년까지 서울 기상관측소(종로구 송월동)의 일단위 순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 중 다음 Table 3에 해당하는 관측항목들을 REF-ET에 입력하였다.
데이터처리
각 기준증발산식 계산값과 증발접시 관측값의 유의성을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관측값에 대한 REF-ET 계산값들의 상관도 분석 결과를 Fig.
증발접시 기준증발산량 대비 EF-ET 계산값의 오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RMSE (Root Mean Square Error) 및 bia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Table 5), 그 결과 오차 및 편향성이 가장 적은 식은 앞선 R2 및 상관분석시와 마찬가지로 1957-Makk 식으로 나타났다. 특히 1957-Makk 식의 ETo는 모의기간 전체에 걸쳐 관측값과 1.
이론/모형
가장 낮은 R2값을 나타낸 식은 1985-Harg(1985 Hargreaves temperature method) 및 1961-Turc(Turc radiation and temperature method) 식으로서(R2=0.61, R2=0.60), 두 식 모두 일단위 기온 및 복사량을 주로 고려한다는 점에 있어 R2값이 높은 FAO24-Rd 및 1957-Makk 식과 유사점이 있으나, 1985-Harg 식은 청명한 날의 외계태양복사(extraterrestrial solar radiation)를 사용하고(Jacobs et al., 2004), 1961- Turc 식은 일평균기온이 -10°C 이상일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 본 연구 사례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성능/효과
, 1995). 본 연구에서 가정한 증발접시계수는 실험을 통해 구한 값이 아니므로 FAO-24 식의 정확성에 대한 논의는 엄밀히 단정 지을 수 없으나, 지역 및 기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증발접시계수를 도출할 경우 일평균기온과 복사량 관측 데이터만으로도 실제 기준증발산량과 거의 유사한 모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1957-Makk 식은 지열(soil heat flux)의 비중을 줄이고 순복사량에 따른 잠열(latent heat) flux를 상대적으로 크게 고려한 Priestley-Taylor 방정식의 단순화 형태로서(Jacobs et al.
REF-ET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서울 기상관측소의 1980년~2008년 기상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15개 기준증발산식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소형증발접시로부터 변환된 기준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각 방정식들의 계산값과 소형증발접시 관측값에 대한 상관도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잔디 식생을 기준으로 한 ETo 값이 알팔파 식생을 기준으로 한 ETr 값보다 정확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ASCE 기준증발산식이나 FAO-56 기준증발산식 보다도 FAO-24 및 1957-Makk 식의 상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형증발접시를 이용한 증발산량 관측값이 공기동력학적 저항만을 반영하고 상대적으로 지표면 저항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나, 보다 정확하게 산정된 증발접시계수 적용시 일평균 기온 및 복사량 관측값 만으로도 정확도 높은 기준증발산량 모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이는 소형증발접시를 이용한 증발산량 관측값이 공기동력학적 저항만을 반영하고 상대적으로 지표면 저항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나, 보다 정확하게 산정된 증발접시계수 적용시 일평균 기온 및 복사량 관측값 만으로도 정확도 높은 기준증발산량 모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또한 RMSE 및 bias 분석을 통해 계산된 기준증발산값들의 과평가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1957-Makk(ETo) 식이 기준증발산량을 가장 충실하게 모의한 식으로 선정되었다. 1957-Makk(ETo) 계산값과 관측데이터의 일단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데이터가 완전히 결측된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에서 기준증발산량 변화 추이를 잘 반영하였으며, 29년간의 기준증발산량을 평균 1.
또한 RMSE 및 bias 분석을 통해 계산된 기준증발산값들의 과평가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1957-Makk(ETo) 식이 기준증발산량을 가장 충실하게 모의한 식으로 선정되었다. 1957-Makk(ETo) 계산값과 관측데이터의 일단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데이터가 완전히 결측된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에서 기준증발산량 변화 추이를 잘 반영하였으며, 29년간의 기준증발산량을 평균 1.06 mm/day 오차로 모의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만약 1957-Makk 식의 계산시 잠열항의 값을 측정기간 별로 상세하게 대입할 수 있다면 그 정확도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2에서 그래프의 y축은 상관계수를 의미하며 각 식의 상관도는 막대 그래프 내에 표현하였다. 분석 결과, R2값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ETr에 비해 ETo가 상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FAO24-Rd 및 1957-Makk 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계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른 식들과 달리 ASCE-PM, ASCE-PMrs 및 ASCE-stPM 식들은 ETr과 ETo가 서로 다른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식들의 경우 ETo 산정 후 ETr/ETo 비율을 이용하여 ETr을 모의하는 반면, 위 3개의 식들은 잔디 및 알팔파로 대표되는 식생 높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하여 ETr과 ETo를 따로 계산하기 때문이다(Allen, 2000).
06 mm/day 내외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앞선 모든 분석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비록 소형증발접시의 관측값이 지표면 저항요소를 간과한 것임을 감안하여야 하나, 적어도 서울 기상관측소의 공기동력학적 저항을 가장 충실하게 모사하는 식은 1957-Makk(ETo)으로 선정할 수 있다. 반면에 FAO24-Rd 식은 R2및상관분석 결과와 달리 RMSE 및 bias 분석에서는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의기간 전체에 걸쳐 FAO24-Rd 계산값이 관측값과 변화 양상은 비슷하되 지속적으로 과대평가 된 기준증발산량을 산출하였기 때문이다.
후속연구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7-Makk 식의 계산값은 다른 연도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는데, 이는 1957-Makk 식 계산시 공기동력학적 저항 관련 항목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처럼 극단적 상황을 제외한 환경에서는 1957-Makk 식은 기준증발량을 높은 재현성으로 모의하고 있으며, 따라서 공기동력학적 저항만을 고려한 기준증발산 모의시 1957-Makk 식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6 mm/day 오차로 모의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만약 1957-Makk 식의 계산시 잠열항의 값을 측정기간 별로 상세하게 대입할 수 있다면 그 정확도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REF-ET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기준증발산 산정식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 또는 기간에 가장 잘 부합하는 모의식을 선정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경감하고 계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계산값들을 비교하여 기준증발산량 산정시 영향을 미치는 특성인자를 찾기 수월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1개의 입력자료를 이용하는 만큼 입력 DB의 구축에 보다 신중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욱 정확한 모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엄밀한 실험을 통한 증발접시계수의 산정과 지표면 저항을 반영한 정확한 증발산량 관측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는 위성 영상자료 등을 이용한 증발산량의 추정 및 보정(윤진일, 2004; 윤진일 등, 2004; 김해동 등, 2006)이 그 좋은 예로서 차후 REF-ET 모의와 위성원격탐사기법이 함께 접목될 경우 기준증발산을 이용한 연구에 많은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1개의 입력자료를 이용하는 만큼 입력 DB의 구축에 보다 신중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욱 정확한 모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엄밀한 실험을 통한 증발접시계수의 산정과 지표면 저항을 반영한 정확한 증발산량 관측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는 위성 영상자료 등을 이용한 증발산량의 추정 및 보정(윤진일, 2004; 윤진일 등, 2004; 김해동 등, 2006)이 그 좋은 예로서 차후 REF-ET 모의와 위성원격탐사기법이 함께 접목될 경우 기준증발산을 이용한 연구에 많은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발산량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측정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관측 방법의 한계는?
증발산량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측정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관측과 증발산 모형을 이용한 간접적인 산정 방법이 있으며, 전자의 경우 최근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에디공분산플럭스 관측이 대표적인 예이나 이는 관측지에 대한 지형적 제한사항이 상존하고 에너지 수지 관측 및 해석의 어려움이 있어(윤진일 등, 2004; 강민석 등 2008) 아직까지는 연구단계의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증발산 추정 방법은 후자인 모형을 이용한 간적접인 산정법이며, 그 중에서도 Penman(1948)에 의해 제시되고 Monteith(1965)에 의해 일반화된 Penman-Monteith(이하 PM) 복합방정식(combination equation)이 대표적이다.
증발산량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증발산량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측정장비를 이용한 직접적인 관측과 증발산 모형을 이용한 간접적인 산정 방법이 있으며, 전자의 경우 최근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에디공분산플럭스 관측이 대표적인 예이나 이는 관측지에 대한 지형적 제한사항이 상존하고 에너지 수지 관측 및 해석의 어려움이 있어(윤진일 등, 2004; 강민석 등 2008) 아직까지는 연구단계의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증발산 추정 방법은 후자인 모형을 이용한 간적접인 산정법이며, 그 중에서도 Penman(1948)에 의해 제시되고 Monteith(1965)에 의해 일반화된 Penman-Monteith(이하 PM) 복합방정식(combination equation)이 대표적이다.
최초의 Penman-Monteith 복합방정식 특징은?
따라서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증발산 추정 방법은 후자인 모형을 이용한 간적접인 산정법이며, 그 중에서도 Penman(1948)에 의해 제시되고 Monteith(1965)에 의해 일반화된 Penman-Monteith(이하 PM) 복합방정식(combination equation)이 대표적이다. 최초의 PM 복합방정식은 열과 수증기에 의한 확산 저항의 고려가 부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상황 하의 증발산을 비교적 정확히 모의할 수 있다. 따라서 대다수 연구자들은 이를 기준증발산(reference evapotranspiration) 산정의 새로운 기준으로 수용하고 진단적 기능과 예측적 가능성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참고문헌 (19)
강민석, 박성빈, 권호정, 홍진규, 임종환, 김경하, 최영진, 김 준(2008) 복사 결합된 Penman-Monteith 방정식을 이용한 한국의 숲과 농경지에서 관측된 증발산 해석, 2008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344-345.
김해동, 임진욱, 이순환(2006)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구광역시의 상대적 증발산 효율 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한국지구과학회, 제27권, 제6호, pp. 677-686.
홍진규, 김준(1996) 식물에서 대기로의 증발산: 미기상학적 고찰, 1996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162-165.
황숙지, 김 준, 남재철, 윤진일, 임종환(2000) Penman-Monteith 복합 방정식을 이용한 산림에서의 증발산 추정, 2000년도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작물학회, pp. 112-113.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ISBN 92- 5-104219-5.
Allen, R.G. (2000) REF-ET,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or Version Windows 2.0, University of Idaho Research and Extension Center, Kimberly, Idaho.
Brutsaert, W. and Parlange, M.B. (1998) Hydrologic cycle explains the evaporation paradox, Nature, Vol. 396, No. 30, pp. 30.
Chiew, F.H.S., Kamaladasa, N.N., Malano, H.M., and McMahon, T.A. (1995) Penman-Monteith, FAO-24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and class-A pan data in Australia, Agriculture Water Management, Vol. 28, No. 1, pp. 9-21.
Jacobs, J.M., Anderson, M.C., Friess, L.C., and Diak, G.R. (2004) Solar radiation, longwave radiation and emergent wetland evapotranspiration estimates from satellite data in Florida, USA, Journal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49, pp. 461-476.
Kang, M., Park, S., Kwon, H., Choi, H.T., Choi, Y.-J., and Kim, J. (2009) Evapotranspiration from a deciduous forest in a complex terrain and a heterogeneous farmland under monsoon climate,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5, No. 2, pp. 175-191.
Sumner, D.M. and Jacobs J.M. (2005) Utility of penman-monteith, priestley-tayl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an evaporation methods to estimate pasture evapotranspi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08, pp. 81-1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