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안전을 고려한 노상주차실태조사 연구 - 생활도로와 간선도로를 대상으로 -
The Effect of Illegal Parking on Residential Area Roads and Arterial Roads on Traffic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0 no.5D, 2010년, pp.485 - 496  

황인철 ((주)성광종합기술개발 교통계획부) ,  강일형 ((주)성광종합기술개발) ,  임수길 (경기대학교 대학원 도시.교통공학과)

초록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주차공간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차량 증가로 인한 주택가의 주차문제는 획기적인 교통환경개선을 보이고 있지 않다. 특히 편안함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할 생활도로 공간이 불법주차로 인해 상시 점용됨으로써 노약자와 어린이의 안전한 보행환경이 크게 저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차 대 보행자" 교통사고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또한 불법주차문제는 간선도로변에서도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다. 야간 밤샘주차를 목적으로 하는 대형차량의 간선도로변 불법주차 증가로 인해 주행차량과의 야간추돌 사고도 빈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차시설정비지구와 미정비지구내의 생활도로 및 간선도로를 대상으로 보행자 및 주행차량의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불법주차실태와 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생활도로와 간선도로의 장 단기적인 교통안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crease in number of vehicles owned by individuals worsens the conditions of parking in residential areas. So to speak, the pedestrians' safety is seriously threatened by illegally parked vehicles on the residential area roads. As a result, the number of vehicle-to-pedestrian accidents has bee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가 주차공간의 부족요인은 무엇인가? 주택가 주차공간의 부족요인으로는 주차제도의 미흡과 행정력 부족 등을 들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주민 스스로가 소유차량의 차고지를 확보하지 않은 채 차량구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승용차 보유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았을 때, 어떤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나? 한편 승용차 보유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면, 전체의 63.4%가 출퇴근 교통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통계청, 2007). 또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승용차 출퇴근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대부분은 소득격차와 관계없이 출퇴근에 승용차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대 보행자 교통사고가 매년 증가 추세인 이유는? 급변하는 국제경제의 어려움 속에서도 국내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힘입어 자동차보유대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주차시설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문제는 쉽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쾌적한 주거환경과 보행권이 최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주택가 생활도로 안에서도 도로 공간이 불법주차로 상시 점용됨으로써 노약자와 어린이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 이로 인한 「차대 보행자」교통사고도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교통안전공단(2002) 고령자 및 장애인 교통안전대책 연구. 

  2. 교통안전 9월호(2003) 자동차반사번호판 도입효과. 

  3. 김황배, 권영인(2001), 제주시 주차문제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전략, 교통 및 주차정책세미나. 

  4. 서울특별시(1999) 노상주차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5. 서울특별시(2006) Green-Parking 2006 사업시행매뉴얼. 

  6. 양천구청(2008) 2008년도 앙천구의 교통일반현황. 

  7. 최동석(1997) 지구도로에서 소방차량 접근성 확보를 위한 적정 주차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8. 통계청(2007) 통근 및 통학 이용교통수단 분포, 한국의 사회지표. 

  9. 황인철(2003) 주차계획 및 시설관리, 인천광역시 지방 공무원교육원. 

  10. 황인철(1998) 국내의 주차문제와 정책방향, 대한교통학회 학술세미나, 대한교통학회. 

  11. AASHTO (1994)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reets, Reports of the Steering Group and Working. 

  12. HMSO (1963) Group Appointed by Minister of Transport Traffic in Towns. 

  13. 交通新聞社(2000) 高田邦道, $CO_2$ と交通. 

  14. 日本建設省都市局(1992) ゆとり社會と街づくり道づくり. 

  15. TOYOTA都市交通?究所(1994) 住宅地の駐車空間. 

  16. 國際交通安全(1996) 地域コミュニティからみた交通改善. 

  17. 日本警視廳(2008) 違法駐車問題懇談會の資料, http://www.npa.go.jp/ 

  18. 東京警視廳(2008) 違法駐車キャンペ?ン資料, http://www.keishicho.metro.tokyo.jp/ 

  19. 警察交通局(2007) 新しぃ駐車對策.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