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Eating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2, 2010년, pp.265 - 271  

방소연 (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이 (혜천대학 간호과) ,  양경미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eating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Eight hundred fifty-nine college students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examine eating habits, self-effic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섭식장애 정도를 확인하고,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중 및 체형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최근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생의 섭식장애 정도를 확인하고 자기효능감, 우울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도가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섭식장애 정도를 확인하고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섭식장애 정도를 확인하고 자기 효능감, 우울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섭식장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건강한 섭식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섭식장애란 무엇인가? 섭식장애란 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부적절한 행위의 대표적인 형태로, 일관성 없는 섭식행동을 보이며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과 신경성 대식증(bulima nervosa) 같은 생리적, 사회문화적, 행동적 구성요소를 갖는 복잡한 장애이다(Gidwani & Rome, 1997). 즉, 자신의 외모에 대한 비정상적인 태도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섭식행동을 보이며 음식섭취와 관련된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연구대상자의 섭식장애 정도는 0에서 4의 점수 범위중 평균 2.01점(±0.58)으로, 대상자의 섭식장애는 보통 정도이 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섭식장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 전공분야와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전공분야의 경우 의학 및 보건관련학문 전공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거주 형태의 경우 자신의 집에서 생활하거나 자취를 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섭식장애는 우울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고, 자기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우울이며, 이러한 요인들은 섭식장애를 10.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의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극단적인 방법의 다이어트나 장기간의 다이어트로 자신의 신체적 요구를 감당할 수 없게 되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음식을 섭취하거나 폭식행동을 하게 되고 다시 원래의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자발적인 구토를 하며 결국은 섭식장애로 까지 발전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섭식장애는 개인에게 신체적 손상과 심리적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섭식행동이 점점 불규칙해지면서 정신적 부작용도 더욱 심해져 모든 사회적 활동과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각할 경우 생명의 위협까지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정신질환 중 가장 사망률이 높으며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Gerber,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윤희 (1990). 부부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2. 김정내, 임성문 (2007). 부모 및 또래애착과 대학생의 섭식장애행동과의 관계: 자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4(5), 315-344. 

  3. 김지선 (1997). 내-외향성과 우울수준에 따른 섭식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4. 김찬열 (2010). 규칙적인 운동에 따른 섭식장애 여성의 자기불일치 차이 검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5. 송경애, 박재순 (2003). 서울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습관, 섭식장애 발생경향, 체중조절형태 및 비만 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457-466. 

  6. 오현수 (1993).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23(4). 617-630. 

  7. 이경혜, 김숙경, 천기정, 한숙희 (2003). 여자대학생들의 섭식장애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390-399. 

  8. 이상미, 이은옥 (2005). 간호연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9. 이영호, 송종용 (2002).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0(1), 98-113. 

  10. 이임순 (1997). 정상인의 섭식유형 및 다이어트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16(1), 87-100. 

  11. 최명숙, 천숙희 (2007). 여대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 내재화, 체형만족도, 분노 및 식이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3(4), 327-335. 

  12. 한오수, 유희정, 김창윤, 이철, 민병근, 박인호 (1990). 한국인의 식이장애의 역학 및 성격특성. 정신의학, 15(4), 270-287. 

  13. 황란희 (2009). 여대생의 섭식장애,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관계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4), 328-335. 

  14. 황란희, 신혜숙 (2000). 여고생의 섭식장애와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1), 129-139. 

  15. Ainsworth, M. D. S.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 Psychol, 44(4), 709-716. 

  16. Anderson, C. B., & Bulik, C. M. (2004). Gender differences in compensatory behaviors, weight and shape salience, and drive for thinness. Eat Behav, 5, 1-11. 

  17. Bandura, A. (1989).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Am Psychol, 44, 1175-1184. 

  18. Barnes, H., & Olson, D. H. (1982). Pat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 model. Child Dev, 56, 438-447. 

  19.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20. Berg, P., Wertheim, E. H., Thompson, J. K., & Paxton, S. J. (2002). Development of body image, eating disturbance, and general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adolescent females: A replication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an Australian sample. Int J Eat Disord, 32, 46-51. 

  21. Button, E. J., Loan, P., Davis, J., & Sonuga-Barke, E. J. (1997). Self-esteem, eating probl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hort of schoolgirls aged 15-16: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tudy. Int J Eat Disord, 21, 39-47. 

  22. Garner, D. M. (1991). Eating disorder inventory-2: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3. Gerber, A. F. (2005). Trauma, culture and eating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es, Boston. 

  24. Gidwani, G. P., & Rome, E. S. (1997). Eating disorder, Clin Obstet Gynecol, 40(3), 601-615. 

  25. Kiang, L., & Harter, S. (2006). Sociocultural values of appearance and attachment processes: An integrated model of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Eat Behav, 7(2), 134-151. 

  26. Lewinsohn, P. M., Seely, J. R., Morek, K. C., & Striegel- Moore, R. H. (2002).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 symptoms in young adults. Int J Eat Disord, 32, 426-440. 

  27. Lindeman, M., & Stark, K. (2001). Emotional eating and eating disorder psychopathology. Eat Disord, 9, 251-259. 

  28. Schlicht, W. (2001). Self efficacy: Educational aspec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Oxford: Elsevier Science Ltd. 

  29.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51, 663-671. 

  30. Sobra, M., & Geliebter, A. (2002). Body image disturbance in obese outpatients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in relation to race, gender, binge eating and age of onset of obesity. Int J Eat Disord, 31, 416-4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