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많은 내분비 질환이 유전적 요소를 갖고 있다. 단일 유전자 질환에서는 유전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나 다인자성 질환에서는 환경과 생활습관 등이 함께 병인으로 작용한다.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병인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최근 많은 발전이 있어 왔으며 분자유전학적 기술의 응용으로 질환에 대한 이해와 이를 이용한 진단 및 유전 상담에 도움이 되고 있다. 유전학적 검사로 특정 질환의 돌연변이를 증명하는 것은 진단이 모호한 경우에서 정확한 진단과 산전 진단, 보인자 검사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 검사만으로 임신 중절과 관련된 산전 진단에 이용하는 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endocrine disorders have a genetic component. The genetic component is the major etiologic factor in monogenic disorders, while multiple genes in conjunction with environmental and lifestyle factor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in complex disorders. The development of the molecular basis of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내분비 질환에 있어 분자유전학의 발전은 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 및 이를 이용한 조기 진단 및 유전 상담에 응용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내분비 질환 중 주로 영아기 또는 소아기에 진단되어 평생 관리가 필요하며, 분자유전학적 원인이 규명되어 임상에서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진단이 가능한 질환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상하부-뇌하수체-인슐린양성장인자-1 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시상하부-뇌하수체-인슐린양성장인자-1 축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로 인해 복합뇌하수체기능저하증, 단독 성장호르몬결핍증, 성장호르몬 저항성 등을 초래한다3, 4) (Table 1). 뇌하수체전사인자 유전자인 HESX1, PROP1, POU1F1, LHX3, LHX4의 결함에 의해 다양한 표현형을 갖는 복합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발생하며, 성장호르몬-IGF-1 축에 관여하는 GHRHR, GH1, GHR, STAT5B, IGF1, IGFALS, IGF1R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저신장이 야기된다5, 6) (Table 2).
단일유전자 질환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분자유전학의 발전으로 인해 내분비 질환뿐 아니라, 외상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질환에서 유전적 병인이 밝혀지고 있다. 단일유전자 질환(monogenic disorder)은 유전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며, 복합성 질환(complex disorders)에서는 여러 가지 유전자와 환경, 생활습관 등의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다인자성(polygenic) 또는 다인성(multifactorial) 질환이라고도 한다1, 2). 내분비 질환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생리학적 연구에서부터 분자유전학적 연구까지 최근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분자유전학적 검사에만 의존하여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주의를 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유전학적 지식을 이용하여유전 상담,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함으로써 예후가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많은 유전성내분비 질환의 병인 및 표현형과 유전형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것만이 밝혀져 있으며 유전학적 지식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 등 치료에의 적용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만 의존하여 산전 진단과 인공 유산을 결정하는 등의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는 주의를 요하며,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개인의 유전 정보의공개에 대해서도 신중을 기해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pp PA. Genetics and genomics. In: Brook C, Clayton P, Brown R, eds. Clinical pediatric endocrinology. 6th ed. Oxford: Wiley-Blackwell, 2009:1-23. 

  2. Yoo HW. Genetic testing in clinical pediatric practice. Korean J Pediatr 2010;53:273-85. 

  3. Savage MO, David A, Camacho-Hubner C, Metherell LA, Clark AJL. Phenotypic aspects of growth hormone-and IGF-1-resistant syndromes. Endocr Dev 2009;14:143-50. 

  4. Mullis PE. Genetic control of growth. Eur J Endocrinol 2005;152:11-31. 

  5. Lopez-Bermejo A, Buckway CK, Rosenfeld RG. Genetic defects of the growth hormone-insulin-like growth factor axis. Trends Endocrinol Metab 2000; 11:39-49. 

  6. Kelberman D, Dattani T. Hypothalamic and pituitary development: novel insights into the etiology. Eur J Endocrinol 2007;157:S3-S14 

  7. Walenkamp MJE, Wit JM. Genetic disorders in the growth hormone-insulin-like growth factor-1 axis. Horm Res 2006;66:221-30. 

  8. Kopp P. Perspective: Genetic defects in the etiology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Endocrinol 2002;143:2019-24. 

  9. Park SM, Chatterjee VKK. Genetics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J Med Genet 2005;42:379-89. 

  10. Choi JH. Molecular aspects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09;14: 87-93. 

  11. Lin L, Ferraz-de-Souza B, Achermann JC. Genetic disorders involving adrenal development. Endocr Dev 2007;11:36-46. 

  12. Goncalves J, Friaes A, Moura L.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focus on the molecular basis of 21-hydroxylase deficiency. Expert Rev Mol Med 2007; 9:1-23. 

  13. Yoo HW, Kim GH. Molecular and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patients with congenital lipoid adrenal hyperplasia. J Pediatr Endocrinol Metab 1998; 11:707-11. 

  14. Choi JH, Shin YL, Kim GH, Kim Y, Park S, Park JY, Oh C, Yoo HW. Identification of novel mutations of the DAX-1 gene in patients with X-linked adrenal hypoplasia congenita. Horm Res 2005;63:200-5. 

  15. Hiort O, Gillessen-Kaesbach G. Disorders of sex development in developmental syndromes. Endocr Dev 2009;14:174-80. 

  16. Forest MG.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orders of sexual development. In: DeGroot LJ, Kameson JL, eds. Endocrinology. 5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2006:2779-830. 

  17. McPhaul MJ. Androgen receptor mutations and androgen insensitivity. Mol Cell Endocrinol 2002;198:61-7. 

  18. Choi JH, Kim GH, Seo EJ, Kim KS, Kim SH, Yoo HW. Molecular analysis of the AR and SRD5A2 genes in patients with 46,XY disorders of sex development. J Pediatr Endocrinol Metab 2008;21:545-53. 

  19. Cohen MM. Persistent hyperinsulinemic hypoglycemia of infancy. Am J Med Genet 2003;122A:351-3. 

  20. James C, Kapoor RR, Ismail D, Hussain K. The genetic basis of congenital hyperinsulinism. J Med Genet 2009; 46:189-99. 

  21. Jin HY, Choi JH, Kim GH, Ko JM, Yoo HW. A case of hyperinsulinism/hyperammonemia (HI/HA) syndrome due to a mutation in the glutamine dehydrogenase gene (GLUD1).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09;14: 168-72. 

  22. Layman LC.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Endocrinol Metab Clin N Am 2007;36:283-96. 

  23. Dode C, Hardelin JP. Kallmann syndrome. Eur J Hum Genet 2009;17:139-46. 

  24. Bhagavath B, Layman LC. The genetics of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Semin Reprod Med 2007; 25:272-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