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var. coloratum)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6, 2012년, pp.919 - 924  

강서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겨우살이를 천연소재 및 천연 보존료로서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겨우살이의 methanol 조추출물과 n-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의 식중독 세균 억제 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Ethyl ether와 ethyl acetate 분획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9~1.8 mm의 inhibition zone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thyl ether는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겨우살이의 ethyl ether 분획물은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낮은 6.25 mg/mL의 MIC를 나타내었다. 겨우살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겨우살이의 총 페놀함량은 ethyl ether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n-hexane, butanol 및 methanol 조추출물과 water 획분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ethyl ether 획분의 강한 항균활성과 항산화 활성은 획분중에 풍부한 총페놀화합물과 상관이 있으므로 향후 이 획분중의 활성물질의 분리 연구가 한국산 겨우살이의 기능성 소재화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Korean mistleto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e.g. n-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Ethyl ether fraction against Bacillus cereus showed stronger activities than benzoic acid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의 메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에 대하여 주요 식중독세균의 증식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을 증진하고 나아가 천연보존료 개발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산 겨우살이란? 한국산 겨우살이 (Korean Viscum album var. coloratum)는 겨우살이과 (Loranthaceae)에 속하며 참나무, 팽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및 자작나무 등에 기생하는 늘푸른떨기나무이다. 또한 한국산 겨우살이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알카로 이드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특히 당단백성분인 lectin을 함유하고 있어서 강한 항암활성 및 면역증강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5), 잎과 줄기 이외에도 열매 추출물에서 마우스의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활성화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6).
국내산 겨우살이를 천연소재 및 천연 보존료로서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된 실험에서 methanol 조추출물과 n-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 중 총페놀화합물 함량이 가장 풍부했던 것은 무엇인가? 겨우살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겨우살이의 총 페놀함량은 ethyl ether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n-hexane, butanol 및 methanol 조추출물과 water 획분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ethyl ether 획분의 강한 항균활성과 항산화 활성은 획분 중에 풍부한 총페놀화합물과 상관이 있으므로 향후 이 획분 중의 활성물질의 분리 연구가 한국산 겨우살이의 기능성 소재화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식품부패미생물이나 병원성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보존료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어떤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가? 국제교역과 해외여행의 급속한 증가로 국가와 민족 사이의 식생활이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종 대장균을 비롯하여Salmonella, Vibrio, Listeria 속 등의 식중독세균이 광범위하게 오염 및 분포하면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식품부패미생물이나 병원성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보존료 중 일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돌연변이나 기형 유발 등의 안정성이 문제가 되고 있어 그 위험성이 우려되고 있다(1). 따라서 위생적인 식품의 보존과 유통을 위해 안정성이 확인된 천연 보존제의 개발과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향신료와 한약재와 같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식중독 세균을 비롯하여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Nutr, 27, 239-243 

  2.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3. Park SW, Woo CJ, Chuhg SK, Chung KT (1994)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Humulous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64-470 

  4. Lee IE, Cho SH (2000) Antimicrobial Effect of Aristolochia contorta Bge. Extract on the growth of pathogenic and putrefactive microorganism. Kor J Food Sci Technol 29, 1107-1111. 

  5. Her SM, An H, Kim DK, Kim YH, Yoon JT, Kim BJ (2011) Immunoadjuvant activity of Korean mistletoe lectin B-chain. Kor J Pharmacogn, 42, 246-252 

  6. Lee J, Jeon YH, Yang HS, Lee KB, Song KS, Kang TB, Kim JB Yoo YC (2010)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the water-extract of Korean mistletoe fruit to activate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Kor J Pharmacogn, 41, 122-129 

  7. Pfuller U (2000) Chemical constituents of European mistletoe (Viscum album L.). Med Aromatic Plants-Industrial Profiles, 16, 101-122 

  8. Ohta N, Tagishita K (1970) Isolation and structure of new flavonoids, flavoyadorinin A, flavoyadorinin B, and homoflavoyadorinin B, in the leaves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epiphyting to Pyrus communis. Agric Biol Chem 34, 900-907 

  9. Khwaja TA, Varven JC, Pentecost S, Pande H (1980) Isol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lkaloids from Korean mistltoe Visum album, coloratum. Experienta 36, 599-600. 

  10. Ham S, Kang S, Choi K, Park W, Lee D (1998) Antimutagen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59-365 

  11. Ju MJ, Do J, Kwon J,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from Viscum alb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29-534 

  12.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1) Physiological properties of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extracts by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e, 18, 72-78 

  13. Lee SJ, Lee MK, Choi GP, Yu CY, Roh SK, Kim JD, Lee HY, Lee JH (2003) Growth enhancement and cytotoxicity of Korean mistletoe fractions on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62-70 

  14.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155 

  15.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ic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6. Blois MS (1958) Antioxidants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8. Kwak YS, Yang JW, Lee KS (1993) Screening of herb drug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Food Hygiene, 8, 141 

  19. El-Shenawy MA, Marth EH (1989) Behavior of L. monocytogenes in presence of sodium propionate. J Food Microbiol, 8, 85-89 

  20. El-Shenawy MA, Marth EH (1988) Inhibition of inactivation of L. monocytogenes by sorbic acid. J Food Prot, 51, 842-847 

  21. Lee JH, Lee SR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22. Shin SJ, Kwon SK, Lee KH, Sung ND, Choi WY (1994)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components from the roots evening primrose (Onenothera odarata Jacquin). J Agric Sci, 23, 54-59 

  23. Clark, AM, El-Feraly, F.S, Li W.S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24. Kim JY, LEe JA, Yoon WJ, Oh DJ, Jung YH, Lee WJ (2006) Park S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99-706 

  25. Choi S, Chung S, Kim S, Yoo Y, Lee K, Kim J, Kim J, Song K (2004) An antioxidant homo-flavoyadorinin-B from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c. coloratum),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9-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