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 억제 효과
Anti-wrinkle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in Ultraviolet B (UVB)-induced Photoag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42 - 46  

박금주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박승희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김재기 (정산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UVB 조사에 따른 광노화에서의 피부 주름 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콜라게네이즈 효소 억제에서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효능을 가지며, CCD-986SK 사람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실제적인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UVB가 조사된 무모 생쥐에서 경구투여를 실시한 결과, 피부조직에서 주름의 형성 및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자외선에 의한 피부주름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wrinkle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S) on ultraviolet B (UVB)-induced photoaging with wrinkle formation. AS extract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 ${\mu}g/mL$ as $IC_{50}$) and collagenase inhibition (1.5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은 생체막에서 지질과산화 반응 중 전자를 공여 받아 산화 또는 환원 변화에 따라 색을 띄는 radical로 시료의 라디칼 제거능력을 흡광도 측정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시험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UVB 조사에 따른 광노화에서의 피부 주름 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콜라게네이즈 효소 억제에서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효능을 가지며, CCD-986SK 사람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콜라겐 합성 및 콜라게네이즈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자외선으로 주름을 유발시킨 무모쥐에 투여하여 광노화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 현재 주름개선의 치료제나 약물로 이용되는 것들은 비타민 A와 그 유도체, 비타민 C와 그 유도체, 그 외 많은 항산화제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질들을 화장품에 적용시 피부에 대한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주름개선 소재를 탐색하여 미용기능식품으로 개발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노화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피부노화는 다양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현상으로 지금까지 보고된 피부노화 과정은 반복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히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로 구분되고 있다(2,3). 노화된 피부의 대표적 증상은 탄력저 하에 의해 유발된 잔주름 및 주름의 발생이다.
가시오가피는 러시아에서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는 한반도와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의 고지대에 분포하는 오가피속(Acanthopanax) 식물로 줄기에는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있다(15). 러시아에서는“시베리아 인삼”이라고도 불리는 가시오가피는 강장제로서 인삼에 버금가는 신진대사 작용(adaptogenic activity)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에서 주로 강장, 중풍, 고혈압, 당뇨병 및 노인성 질환을 위한 한약재의 하나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시 오가피의 성분은 eleutheroside A, B, C, D, E, I, K, L, M과 sesamin, chiisanoside,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ampesterol, 비타민, 미네랄 등이 있으며, 여러 논문에서 가시오가피의 항염, 항암 및 항당뇨에 대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16-22).
피부노화의 대표적 증상은 무엇인가? 피부노화는 다양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현상으로 지금까지 보고된 피부노화 과정은 반복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히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로 구분되고 있다(2,3). 노화된 피부의 대표적 증상은 탄력저 하에 의해 유발된 잔주름 및 주름의 발생이다. 이는 피부진피조직의 교원질 중 피부 탄력 성분 단백질인 콜라겐의 현저한 감소에 의해서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aar M, Gilchrest BA. 1998. Aging versus photo aging: postulated mechanisms and effectors. J Investing Dermatol Symp Proc 3: 47-51. 

  2. Li JJ, Dong Z, Dawson MI, Colburn NH. 1996. Inhibition of tumor promoter-induced transformation by retinoids the transrepress AP-1 without trasnsactivation retinoic acid response element. Cancer Res 56: 483-489. 

  3. Huang C, Ma WY, Dawson MI, Rincon M, Flavell RA, Dong Z. 1997. Blocking activator protein 1 activity, but not activation retinoic response effect of retinoic acid. Proc Acad Sci 94: 5826-5832. 

  4. Fantone JC, Ward PA.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 397-418. 

  5. Davies KJA. 1987.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9906. 

  6. Foote CS. 1976. Photosensitized oxidation and singlet oxygen; consequences in biological systems. Pryor WA, ed.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31. 

  7. Park SN. 1989. Application of plant extracts for whitening cosmetics (Cosmeceutical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205-220. 

  8. Park S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50: 329-341. 

  9. Park SN. 2003.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0-514. 

  10. Park SN.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 657-662. 

  11. Meinhard W, Iliana TP, Lale N, Wenjian M, Lars AS, Ziba RW, Jutta SI, Karin SK.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63: 41-51. 

  12. Karin SK, Peter B, Jutta W, Gernot H, Weijan M, Lale N, Christian M, Meinhard W. 2000. Photoaging of the skin from phenotype to mechanisms. Exp Gerontol 35: 307-316. 

  13. Yaar M, Gilchrest BA. 2007.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 874-887. 

  14. Seo JY, Choi HR, Rhie GE, Youn CS, Choi WW, Kim JA, Chung JH, Cho KH, Eun HC. 2001. The effect of retinoic acid and vitamin C on the expression of the procollagen a1 (I), tropoelastin, an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 Kor J Invest Dermtaol 8: 23-28. 

  15.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1994. 본초학. 영림사, 서울. p 283. 

  16. Zhou CC. 1985. Anti-inflammatory ac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Zhong Yao Tong Bao 10: 37-41. 

  17. Rabin LK, Henkin Y. 2000. Age-related changes in the visual perception of phonologically significant contrasts. Br J Audiol 34: 363-374. 

  18. Wang YM, Chen CX, Ji M, Lin KH. 1986. A study of pharmacological actions of flos Acanthopanacis senticosi. J Tradit Chin Med 6: 297-300. 

  19. Shan BE, Zeki K, Sugiura T, Yoshida Y, Yamashita U. 2000. Chinese medicinal herb, Acanthopanax gracilistylus, extract induces cell cycle arrest of human tumor cells in vitro. J Cancer Res 91: 383-389. 

  20. Lee S, Kim BK, Cho SH, Shin KH. 2002.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Arch Planta Med 25: 280-284. 

  21. Kang JS, Linh PT, Cai XF, Kim HS, Lee JJ, Kim YH. 200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letheroside B and E from Acanthopanax speci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24: 407-411. 

  22.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서울. p 87. 

  2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5. 

  24. Han CJ, Kang SM. 2008. The Effect of collagen supplementation from pork skin on serum collagen, serum sex steroid hormone, serum lipid and skin crack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3: 912-9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