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가피 잎·뿌리·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Roots, Stems and Fruits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7 = no.135, 2011년, pp.1052 - 1059  

허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안희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강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이재홍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수용성, 에탄올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linoleic acid 과산화지질,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 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열수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 16.04%,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2.67%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1.43%로 가장 높았다.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K, Ca 및 Mg 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ents of bioa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rat hepatocyte microsome, and Fe/Cu reducing pow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ere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시오가피는 나무 줄기 외에도 잎, 열매, 뿌리 등 부위에 따라 약리적 효능이 다를 것으로 판단되지만 부위별 용매 추출을 달리하여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열매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물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lignan (eleutheroside E)과 같은 화합물(acanthoside D)이 발견된 이래로 (-)-sesamine, phenolic glycoside, syringgaresinol diglucoside, B-sitosterol, isofraxidin, friedelin, syringin 등이 있고, 그 동안 이들 개별성분에 대한 기능분석이 주요 연구대상이 되어왔다[16]. 가시오가피의 효능은 대단히 광범위하고, 독성이 거의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이며[4], 계절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적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9].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식물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 할 수 있는 플라보노이드나 폴리페놀을 비롯한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15]. 식물 유래의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s, flavonoids, tocopherol 등의 생리활성물질은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들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각종 한방 생약재 또는 과채류 등의 식용식물을 충분히 섭취하게 되면 노화방지 및 심혈관질환과 같은 성인성 만성질환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가시오가피의 효능은 광범위하고 독성이 거의 무시될 정도이며 계절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적다는 특징을 가짐으로써 장점은 무엇인가? 가시오가피의 효능은 대단히 광범위하고, 독성이 거의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이며[4], 계절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적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9]. 이와 같은 특징은 장기간 복용하는데 유리한 특성을 지니며, 재료식물의 채취시기 등이 까다롭지 않다는 장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보고된 약리 효과는 혈당강하[19], 체내 지질대사 개선[27], 항바이러스 활성[12], 심근경색치료 효과[2], 항산화체계 강화 기능[11] 등 가시오가피에 대한 많은 임상적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주로 나무의 근피나 줄기에서 추출된 것에 한정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fanaseva, T. N. and N. P. Lebkova. 1987. Effect of Eleutherococcus on the subcelluolar structures of the heart in experimental myocardianl infarct. Biull. Eksp. Biol. Med. 103, 212-215.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4. Brekhman, I. I. 1975. Ancient ginseng and pharmacology of the future. Symposium of Gerontololy, April 9-12, Lugano. 1-12. 

  5.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6. Cha, J. Y.,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7. Cha, J. Y., H. Y. Ahn, K. E. Eom, B. K. Park, B. S. Jun, and Y. S. Cho.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8. Cha, J. Y., Y. S. Cho, I. Kim, T. Anno, S. M. Rahman, and T. Yanagita. 2001. Effect of hesperetin, a citrus flavonoid, on the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orotic acid-fed rats. Plant Foods Human Nutr. 56, 349-358. 

  9. Dardymov, I. V., G. N. Bezdetko, and I. I. Brekhman. 1972. Incorporation of phosphorus-32 into rat liver RNA during physical exercise and under the effect of glycosides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Vop. Med. Khim. 18, 267-269. 

  10.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11. Ferrando, A, L. Vila, J. A. Voces, A. C. Cabrol, A. I. Alvarez, and J. G. Prieto. 1999. Effects of ginseng extract on various haematological parameters during aerobic exercise in the rat. Planta Med. 65, 288-290. 

  12. Glatthaar-Saamuller, B., F. Sacher, and A. Esperester. 2001. Antiviral activity of an extract derived from root Eleutherococcus senticos. Antiviral Res. 50, 223-228 

  13. Jayaprakasha, G. K., R. P. Singh, and K. K. Sakariah.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14. Jia, Z.,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ie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5. Johnson, J. E., R. Walford, D. Harma, and J. Miquel. 1986. In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en R. Liss, N.Y. 

  16. Kim, C. W. and H. Y. Lee. 1990.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seed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 inermis Harms. Korean J. Pharmacogn. 21, 235-238. 

  17.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8. Kim, S. J., M. Y. Heo, K. H. Bae, S. S. Kang, and H. P. Kim. 2003.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 (III): Fifty Korean indigenous plants. J. Applied Phamacol. 11, 245-248. 

  19. Ko, S. K., J. S. Kim, Y. E. Choi, S. J. Lee, K. S. Park, and S. H. Chung. 2002. Anti-diabetic effects of mixed water extraction from Gingseng Radix rubra acanthopanacis cortex and cordyceps. Korean J. Pharmacogen. 33, 337-342. 

  20. Lee, J. J., A. R. Kim, Y. N. Seo, and M. Y. Lee.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Korean J. Food Preserv. 16, 94-100. 

  21. Masamoto, Y., H. Ando, Y. Murata, Y. Shimoishi, M. Tada, and K. Takahata. 2003.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sculetin isolated from seeds of Euphorbia lathyris L.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631-634. 

  22. Oh, S. L., S. S. Kim, B. Y. Min, and D. H. Chung.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23. Ohkawa, H.,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4. Plaa, G. L. and H. Witschi.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131. 

  25. Saito, M. 1988. Interaction between lipid peroxide formation and nutritional status. J. Jpn. Soc. Nutr. Food Sci. 41, 343-349. 

  26.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7. Szolomicki, J., L. Samochowies, M. W. J. Drozdzik, and S. Szolomicki. 2000. The influence of active componen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on cellular defense and physical fitness in man. Phytother. Res. 14, 30-35. 

  28. Vile, G. F. and R. M. Tyrrell. 1995. UVA radiation-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 Med. 18, 721-730. 

  29. Wong, S. F., B. Holliwell, R. Richimond, and W. R. Skowroneck. 1981.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by ascorbic acid. J. Inorganic. Biochem. 14, 127-134 

  30. Yang, H. J., E. M. Kim, and K. S. Jang. 2008. Identification of the polyacetylenes extracted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by petroleum ether. J. Agri. Sci. 35, 11-17 

  31. Zhu, Q. V., R. M. Hackman, X. X. Jodilensunsa, R. R. Holt, and C. L.Keen.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olong tea. J. Agric. Food Chem. 50, 6229-6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