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 첨가 조청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a Grain Syrup, with Appl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 2010년, pp.132 - 137  

양혜진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류기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이용성 증진과 새로운 전통식품의 소재화를 목적으로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전통적인 조청 제조공정에 사과를 첨가하여 품질특성(pH, 당고형분, 환원당, 포도당 당량, 총 페놀성 화합물, 색도, 유기산, 관능검사)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과와 멥쌀의 비, 사과의 성상과 투입단계에 따른 사과를 첨가한 조청을 예비실험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A)과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B), 사과청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C)과 사과와 말티톨을 혼합하여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D)이다. 실험결과 pH는 식품공전의 엿류 규격기준(4.5~7.0) 범위에 모두 포함되었고,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인 A가 환원당 함량이 $68.10\pm6.71$%, 총 페놀성 화합물$7.36\pm0.85$ mg/g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당고형분 함량은 사과즙액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B가 $87.25\pm0.27$%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포도당 당량은 사과청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C, 색도는 사과와 말티톨을 혼합하여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D가 높게 측정되었다.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유기산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주된 유기산은 malic acid였으며, A와 D에서 사과보다 많은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사과를 가공 처리한 후에도 유기산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사과즙액을 첨가한 조청인 A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사과를 첨가한 조청 제조 시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이 전체적인 기호도나 조청 고유의 품질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과가 갖는 장점 등을 조청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e and maltitol as ingredients on the quality of Jochung, a grain syrup. Four kinds of Jochung products were prepared from steamed-rice, apple juice, heated-apple sarcocarp (at $70^{\circ}C$, 60 min), and a mixture (sarcocarp : m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 품질저하와 태풍이나 우박 등 천재지변에 의해 폐기되고 있는 사과를 이용하여 조청을 제조하면 사용빈도와 범위를 다양화 할 수 있고, 부가가치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현재 사과를 첨가한 조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이용성 증진과 새로운 전통식품의 소재화를 목적으로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사과와 멥쌀의 비, 사과의 성상과 투입단계에 따라 제조한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품질특성을 통해 다양한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 는 전분질만을 기질로 하여 당화를 행할 때 당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19). 본 실험에서는 순수한 전분질을 원료로 한 것은 아니나 당화 정도를 예측하기 위한 참고 결과로 이용하기 위하여 곡류와 사과를 당화시켜 제조한 조청의 D.E. 변화를 살펴보았다(Table 1).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A)은 84.
  •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이용성 증진과 새로운 전통식품의 소재화를 목적으로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전통적인 조청 제조공정에 사과를 첨가하여 품질특성(pH, 당고형분, 환원당, 포도당 당량, 총 페놀성 화합물, 색도, 유기산, 관능검사)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과와 멥쌀의 비, 사과의 성상과 투입단계에 따른 사과를 첨가한 조청을 예비실험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A)과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B), 사과청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C)과 사과와 말티톨을 혼합하여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D)이다.

가설 설정

  • 3)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란? 사과(Malus pumila var. dulcissima)는 분류학상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식물로서, 과실은 관능특성이 좋고 영양학적으로 당, 식이섬유, 칼륨 및 비타민 C 등이 풍부하여 과실로서 뿐만 아니라 주스, 잼 등 다양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1).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능금으로 재배되어 왔으나, 약 300년 전에 사과라고 부르는 능금보다 훨씬 더 큰 과실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2), 지금은 홍옥, 부사, 아오리 등의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사과는 영양학적으로 무엇이 풍부한가? 사과(Malus pumila var. dulcissima)는 분류학상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식물로서, 과실은 관능특성이 좋고 영양학적으로 당, 식이섬유, 칼륨 및 비타민 C 등이 풍부하여 과실로서 뿐만 아니라 주스, 잼 등 다양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1).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능금으로 재배되어 왔으나, 약 300년 전에 사과라고 부르는 능금보다 훨씬 더 큰 과실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2), 지금은 홍옥, 부사, 아오리 등의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유기산 함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유기산 함량은 Table 4와 같다. 사과의 유기산 성분은 malic acid가 0.90%로 가장 높아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citric acid(0.04%), formic acid(0.04%), succinic acid(0.07%)가 검출되었다. Do 등(34)의 연구에 의하면 사과의 유기산은 mal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가 주요 성분이라고 보고한바 있다. 주요 유기산인 malic acid의 함량은 C에서 4.10±0.02%로 기존 사과보다 4~5배 높게 측정되었다. A가 2.21±0.03%, B가 1.32±0.01, C가 1.38±0.01%로 측정되었다.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인 A에서 사과에서도 검출되지 않은 acetic acid가 0.09±0.01%, citric acid가 0.35±0.00%, formic acid가 0.68±0.0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과와 말티톨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D에서 lactic acid(0.81±0.02%), malic acid(4.10±0.02%), succinic acid(4.10±0.02%)가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him 등(35)은 매실의 성숙 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한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매실주의 제조 중에 많이 용출된다고 보고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도 기존 사과보다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유기산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조청의 당화 과정 중 생성되어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un HJ, Lim SY, Hur JM, Jeong JW, Yang SH, Kim DH. 2007.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Preserv 14: 239-246. 

  2. Whang HJ, Kim SS, Yoon KR. 2000.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Nutr 29: 181-187. 

  3. Choi YH, Lee SJ. 2005. A survey on uses,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apple. Korean J Food Cul 20: 204-213. 

  4. Whang HJ, Kim SS. 1999. Analysis of mineral in Korean apple juice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Korean J Food Nutr 12: 344-349. 

  5. Kang SJ, Yun YS. 1970. A study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apple by gas chromatography. J Korean Home Eco Ass 8: 87-92. 

  6. Kim SM. 1968. Study ascorbic acid in apple by treatment of mixer and salt solution. J Korean Home Eco Assoc 6: 891-896. 

  7. Kim TR, Whang HJ, Yoon KR. 1996. Mineral contents of korean and appl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0-98. 

  8. Lee JH, Kim YC, Kim MY, Chung HS, Chung SK. 2000.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f apple poma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08-913. 

  9. Hong JS, Kim MG, Yoon S, Yoo NS, Kim YK. 1993. Preparation of noodle supplemented with treated apple pomace and soymilk residue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J Korean Agric Chem Soc 36: 80-85. 

  10. Hong JS, Kim MG, Yoon S, Yoo NS. 1993. Preparation of dietary fiber source using apple pomace and soymilk residue. J Korean Agric Chem Soc 36: 73-79. 

  11. Kim IW, Shin OS. 2002. Effects of the diet with apple peel powder on fat accumulation and serum lipid profile in growing sprague-dawley rats. J Basic Sci 16: 75-88. 

  12. Park MH. 1994. The current flow of vegetables and fruits storage. Korean J Post Sci Technol 1: 67-79. 

  13. Lee HJ. 1991. Hankook minjok moonhwa dae baikgwa sajeo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oongjin press, Seoul, Korea. Vol 15, p 462-464. 

  14. Lee KH. 1999. The method of Jochung preparation with fruits. Korean Patent 1999-062369. 

  15. Jung HC, Chung OR. 1997. Simulation for improving the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rice-yeot plant. Food Eng Pro 1: 29-57. 

  16. Kim HW, Lee YK, Shim GS, Chang YK. 1999.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21-1426. 

  17. Yoo GH. 1975.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method Korean jelly and caramelization using lycories. J Korean Soc Food Nutr 4: 67-70. 

  18. Rhee CO, Park KH, Seog HM. 1992.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Chang-pyung yeot (taffy-like foods) with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15-518. 

  19. Kim HS, Kang YJ. 1994. Optimal condition of saccharification for a traditional malt syrup in ch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59-664. 

  20.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21. KFDA. 2007.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56-57. 

  22.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28: 49-55. 

  23. KFDA. 2007.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154-155. 

  24. Park JS, Na H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 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68-775. 

  25. Lee SW, Kim KS, Kim SD. 1953. Food chemistry. Su-hak sa, Seoul, Korea. p 24-32. 

  26. Milaszewski RM. 1985. Carbohydrates: chemistry, occurrence and food applications. In Food Chemistry and Nutritional Biochemistry. Zapsalis C, Beck RA, eds.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p 315-414. 

  27. Lee JH, Lee SR.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28. Shin SJ, Kwon SK, Lee KH, Sung ND, Choi WY. 1994.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components from the roots of evening primrose (Onenothera odarata Jacquin). J Agric Sci 21: 54-59. 

  29. Wang H, Cao G, Prior RL.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30. Van der Sluis AA, Dekker M, Jongen WMF. 1997. Flavonoids as bioactive components in apple products. Cancer Lett 114: 107-108. 

  31.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32.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33. Kim SD, Do JH, Oh HJ. 1981.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browning products. J Korean Agric Chem Soc 24: 161-166. 

  34. Do YS, Whang HJ, Ku JE, Yoon KR. 2005. Organic acids content of the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22-927. 

  35. Shim KH, Sung NK, Choi JS. 1988. Changes in major components during preparation of apricot wine. J Inst Agr Res Util 22: 139-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