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인삼의 마이크로파 처리 효과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3, 2010년, pp.405 - 410  

이재학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의 저장 가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단독처리로 수삼을 처리한 후 일반 성분, 색도, 밀도, 사포닌의 조성 및 미세구조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100 Watt와 200 Watt에서 각각 1시간과 3시간 동안 수삼을 처리하고 $60^{\circ}C$ 열풍건조기에서 96시간 건조한 후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삼의 초기 수분 함량인 76.26%에서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조건에 따라 13.12~10.77%까지 건조되었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회분 함량은 처리 과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마이크로파 출력과는 상관없이 처리 시간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 후 건조하기 전 수삼의 단백질 함량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함을 보이고 있으나, 처리 시간이나 출력과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는다. 처리군의 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더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인삼의 색도의 변화는 출력보다 가열 처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수삼의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열 시간이나 출력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사포닌 ginsenoside-$Rb_1$$Rb_2+Rb_3$, Rc, Rd, Re, Rf, $Rg_1$, $Rg_2+Rh_1$, $Rg_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보다 2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의 함량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예외적으로 200 Watt에서 가열했을 때, ginsenoside-$Rb_2+Rb_3$와 ginsenoside-Rc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미세구조는 마이크로파 건조 후 더 치밀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was studi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moisture, crude lipid, crude ash, crude protein, total dietary fiber and saponin contents, as well as changes in density, color and microstructure. Korean ginseng was treated with 100 or 200 watts of microw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 단독 처리로 초기 투자 비용 절감과 함께 시료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인삼을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후 홍삼의 일반 성분, 색도, 밀도, 사포닌의 조성 및 미세구조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가공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인삼의 장기 보존을 위한 가공 방법의 개발은 고려인삼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Jeon 등 1995). 인삼은 가공 방법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밭에서 4~6년간 재배한 후 8월과 10월 사이에 수확한 후 가공하기 전의 상태를 수삼, 수삼을 찌지 아니하고 껍질을 제거하여 건조한 삼을 백삼, 수삼을 쪄서 건조하여 제조한 것을 홍삼이라고 한다. 수삼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1차 가공물이 백삼과 홍삼이라 할 수 있다.
수삼을 저온 저장 후 냉동 건조할 경우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인삼의 건조 및 홍삼 제조 시 열풍 처리하거나 열탕 처리를 하여 기능성 성분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제조 후에도 색도의 변화로 품질이 열악한 경우가 있다. 수삼을 저온 저장 후 냉동 건조한 경우 수분 감소와 건조 수축이 발생하며, 곰팡이의 발생이 증가하고 pH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인삼 사포닌의 변화는 없다고 보고되었다(Jang & Shim 1994).
인삼에 마이크로파의 공정을 적용한 후 사포닌 등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마이크로파의 공정은 기존의 공정보다 초기 추가 설치 비용은 증가하나 공정의 시간 감소, 작업 환경, 품질의 우수성 증가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삼의 경우,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이용한 가공 방법(Kum 등 1999)이 개발되었는데, 마이크로파 조사 후 주요 사포닌 등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건조 시간에 따라 ginsenosides의 감소가 나타났다. 개별 ginsenoside의 함량은 함유 조성 부위보다는 가공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Choi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ttele S, Wu J, Yuan CS. 1999. Ginseng ph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chem Pharmacol 58: 1685-1693 

  3. Beke J, Mujumdar AS, Giroux M. 1997. Some fundamental attributes of corn and potato drying in microwave fields. Drying Technology 15:539-554 

  4. Benishin CG, Lee R, Wang LCH, Liu HJ. 1991. Effects of ginsenosides $Rb_{1}$ on the central cholinergic metabolism. Pharmacology 24:223-229 

  5. Choi JE, Nam KY, Li XG, Kim BY, Cho HS, Hwang KB. 2010.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cessing method. Kor J Medicinal Crop 18:118-125 

  6. Choi JH, Kim DH, Sung HS, Kim WJ, Oh SK. 1982. Kinetic studies on the thermal degradation of ginsenosides in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14:197-202 

  7. Geddes JP. 1967. Seek new uses for microwave. Food Eng 39:63-65 

  8. Hong HD, Kim YC, Rho JH, Kim KT, Lee YC. 2007. Changes on physiolog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J Ginseng Res 31:222-229 

  9. Huxsoll CC, Morgan AL Jr. 1968. Microwave dehydration of potatoes and apples. Food Technol 22:47-52 

  10. Jang JK, Shim KH. 199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 dried ginseng from the fresh ginseng stored at low temperature. Korean J Ginseng Sci 18:60-65 

  11. Jeon BS, Sung HS, Yang JW, Park CK, Chang KS. 1995. Effect of control atmosphere and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n the apparent quality and saponin component of fresh and red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19:62-72 

  12. KFDA. 2001. Code of Korea Food Regulation pp. 396-39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3. Kim AJ, Lim HJ, Kang S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ginseng jelly. Korean J Food & Nutri 23:196-202 

  14. Kim JH, Hong SK. 2009. Manufacturing sui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ridge containing added oligopeptides from pork meat and isolated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 Nutri 22:633-638 

  15. Kim UJ, Youn JY, Kim HS.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92-697 

  16. Ko SK, Lee CR, Choi YE, Im BO, Sung JH, Yoon KR. 2003. Analysis of ginsenosides of white and red ginseng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36-539 

  17. Korean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1991. Analysis Method of Ginseng Composition. Cheil II Co., Dae Jeon, pp.65 

  18. Kum JS, Park KJ, Lee CH, Im JS. 1998.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nchovy subjected to microwave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3-109 

  19. Kum JS, Park KJ, Lee CH, Kim YH. 1999. Changes in saponin compositon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by microwave vacuum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27-432 

  20. Kum JS, Park KJ, Lee CH, Kim YH. 1999.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dried with lower power and pulse microwav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22-127 

  21. Lee BY, Kim EJ, Park DJ, Hong SI, Chun HS. 1996. Composition of saponin and white ginsengs with processing condition. Korean J of Food Sci Technol 28:22-927 

  22. Li TSC, Wang LCH. 1998. Physiological components and health effects of ginseng. Echinaceae and sea buckthorn In: Functional Food-Biochemical & Processing Aspects. pp. 329-356. Technomic Publishing, Lancaster, USA 

  23. Mochizuki M, Yoo YC, Matsuzawa K, Sato K, Saiki KI, Tono- Oka S, Samukawa KI, Azuma I. 1995. Inhibitory effects of tumor metasis in mice by saponins, ginsnoside $Rb_{2}$ , 20(R)- and 20(S)-gingenoside- $Rg_{3}$ of red ginseng. Biol Pharm Bull 18:1197-1202. 

  24. Park JD, Jeon HM, Choi BK, Kum JS, Lee HY. 2006. Quality properties of legumes subjected to salt solution and microwave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686-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